$\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무조건에 따른 달 착륙선 항법시스템 요구성능 분석
Requirement Analysis of Navigation System for Lunar Lander According to Miss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5 no.9, 2017년, pp.734 - 745  

박영범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찬국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재욱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류동영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달 착륙선항법 시스템은 자율 정밀 항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관성측정기와 별추적기, 고도계, 속도계, 지형상대항법 카메라 등 다양한 항법용 전장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착륙선의 착륙 시나리오와 임무 요구 성능에 따라 적합한 성능의 항법용 전장부품 선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달 착륙선에 요구되는 항법용 전장부품의 사양을 공분산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77차 상태변수로 구성되는 기준 시스템 오차모델과 센서의 측정모델을 정의하고 착륙선의 임무 요구 성능은 90m($3{\sigma}$) 착륙 위치 정확도를 요구하는 정밀탐사 임무와 6km($3{\sigma}$)의 착륙 오차가 허용되는 영역탐사 임무로 구분하였다. 자율항법 시작 시점에 따라 PDI(Powered descent initiation)와 DOI(Deorbit initiation) 시나리오로 나누고 항법용 전장부품의 조합과 착륙 시나리오에 따른 성능 분석을 통해 가상의 임무 요구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항법 시스템의 요구사양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vigation system of lunar lander are composed of various navigation sensors which have a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such as inertial measurement unit, star tracker, altimeter, velocimeter, and camera for terrain relative navigation to achieve the precision and autonomous navigation capa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달 착륙선에 요구되는 항법용 전장부품의 요구 사양을 공분산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공분산해석을 위해 관성측정기와 별추적기, 고도계, 속도계, TRN 카메라에 대한 오차 모델링을 통해 선형화된 기준 시스템 오차 모델 및 측정모델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달 착륙선의 가상 임무목표를 Table 1과 같이 달에 대한 일반적인 과학 탐사를 위해 특정 영역 내에 비교적 큰 항법오차로 착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와 달의 특정 지점에 대한 정밀한 과학 탐사를 위해 정밀한 착륙이 요구되는 경우로 나누었다. 영역 탐사 임무의 착륙 위치 정확도는 창어 3호의 사례를 참고하여 6km(3σ)로 설정하였고 특정지점 정밀탐사 임무의 경우 NASA의 사례를 참고하여 90m(3σ)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δxvel∊R9x1는 속도계의 바이어스 오차, 환산계수 오차, 비정렬 오차로 구성되고 δxcmr∊R26x1는 5개의 특징점을 매칭 하였다고 가정하고 카메라의 비정렬 오차, 픽셀 바이어스 오차, 맵 비정렬 오차 및 맵 해상도 오차를 포함한다.
  • MIMU(Miniature IMU)와 LIMU(LN-200s IMU)는 우주 탐사선에 많이 적용되는 관성측정기이고[17,18] KIMU (KARI IMU)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한국형 발사체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 중인 광섬유자이로 기반 관성측정기이다[19]. 3가지 관성측정기의 비직교성 오차는 모두 20arcsec로 가정하였다.
  • 달 착륙선의 전장품 요구성능 분석을 위해 착륙 시나리오를 자율항법 시작 시점에 따라 DOI 시나리오와 PDI 시나리오로 분류하였다. DOI 시나리오는 DOI 직전에 DSN으로 추정된 궤도정보로 항법 시스템을 초기화한 후 착륙까지 4320초 동안 자율항법을 수행하며 PDI 시나리오는 착륙선이 고도 약 17km의 타원궤도로 천이한 후에 타원 궤도를 선회하면서 착륙을 준비하고 PDI 직전에 DSN을 통해 항법 시스템을 초기화한 후 720초 동안 자율항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5km 이하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TRN 카메라는 10초 간격으로 특징점 정보를 제공하며 기본 동작 고도는 15km로 가정하였다.
  • 항법 시스템은 DSN을 통해 추정된 궤도정보와 별추적기의 자세를 이용하여 초기화 되며, 초기 위치오차와 속도오차는 Table 3과 같고[4] 초기 자세오차는 Table 4의 별추적기(ST) 오차 규격을 기준으로 50arcsec로 설정하였다[4]. 고도계(ALT)와 속도계(VLO), TRN 카메라(CMR) 및 데이터베이스 맵 오차의 크기는 Table 5 ~ 7에 정리 하였으며[4,6,20], 별추적기는 1초 간격으로 전구간에서 자세를 측정하고 고도계와 속도계는 1 초 간격으로 고도 3.5km 이하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TRN 카메라는 10초 간격으로 특징점 정보를 제공하며 기본 동작 고도는 15km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각국이 달에 우주선을 착륙시키기 위한 달 탐사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를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달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우주 자원탐사, 우주 개발 전초기지로서의 중요성으로 인해 세계 각국은 달에 우주선을 착륙시키기 위한 달 탐사 계획을 수립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각국에서 추진 중인 달 탐사는 과학적 중요도가 높은 특정 지점이나 달의 극지방과 같이 험준한 지형을 포함하는 지역을 탐사 목표로 하기 때문에 달착륙선의 항법시스템은 90m(3σ) 수준의 정밀한 착륙 위치정확도를 확보하도록 요구되고 있다[1].
본 논문에서 수행한, 달 착륙선의 자율항법 시나리오와 가상 임무 요구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항법용 전장부품의 성능을 공분산해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논문에서는 달 착륙선의 자율항법 시나리오(PDI 및 DOI 시나리오)와 가상 임무 요구조건(영역 탐사 및 특정지점 정밀탐사)에 따라 요구되는 항법용 전장부품의 성능을 공분산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분석 결과, 자율항법 시나리오와 임무 요구조건에 따라 달착륙선에 적용되어야 할 항법용 전장부품의 조합과 각 부품의 성능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 착륙선의 항법 시스템이 자율 정밀 항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구성되는가? 달 착륙선의 항법 시스템은 자율 정밀 항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관성측정기와 별추적기, 고도계, 속도계, 지형상대항법 카메라 등 다양한 항법용 전장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착륙선의 착륙 시나리오와 임무 요구 성능에 따라 적합한 성능의 항법용 전장부품 선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달 착륙선에 요구되는 항법용 전장부품의 사양을 공분산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ye, B., Stephen, P., and Timothy, C., "GN&C Development for Future Lunar Landing Missions," AIAA Guidance, Navigation, and Control Conference. 2010. 

  2. Brady, T. and Schwartz, J., "ALHAT System Architecture and Operational Concept," IEEE Aerospace Conference, 2007. 

  3. DeMars, K. J. and Bishop, R. H., "Precision Descent Navigation for Landing at the Moon," Advances in the Astronautical Sciences, 129(2), 2008, pp. 1027-1050. 

  4. Geller, D.K. and Christensen, D., "Linear Covariance Analysis for Powered Lunar Descent and Landing,"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46(6), 2009, pp. 1231-1248. 

  5. Melloni, S., et al, "GNC Solutions for Next-Moon Lunar Lander Mission," 2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ce Flight Dynamics, 2009. 

  6. Ely, T. A., Heyne, M., and Riedel, J. E., "Altair Navigation During Translunar Cruise, Lunar Orbit, Descent, and Landing,"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49(2), 2012, pp. 295-317. 

  7. Ku, P. M., Park, Y. B., and Park, C. G., "Performance Analysis of Batch Process Terrain Relative Navigation Using Area based Terrain Roughness Index for Lunar Lander," Jouranl of The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44(7), 2016, pp. 629-639. 

  8. Li, S., Jiang, X., and Tao, T., "Guidance Summary and Assessment of the Chang'e-3 Powered Descent and Landing," Journal of Spacecraft and Rockets, 53(2), 2016, pp. 258-277. 

  9. Huxel, P. J. and Cohanim, B. E., "Small lunar lander/hopper navigation analysis using linear covariance," IEEE Aerospace Conference, 2010. 

  10. Gelb, A., Applied Optimal Estimation, MIT Press, Cambridge, MA, 1974. 

  11. Titterton, D. and Weston, J. L., Strapdown Inertial Navigation Technology, 2nd Edition, Reston, VA,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4. 

  12. Robert, H.B., et al., "An Inertial Dual-State State Estimator for Precision Planetary Landing with Hazard Detection and Avoidance," AIAA Guidance, Navigation, and Control Conference, 2016. 

  13. Pittelkau, M. E., "Kalman Filtering for Spacecraft System Alignment Calibration," Journal of Guidance, Control, and Dynamics, 24(6), 2001, pp. 1187-1195. 

  14. Zanetti, R., Advanced Navigation Algorithm for Precision Landing,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7. 

  15. Trawny, N., et al., "Vision-aided inertial navigation for pin-point landing using observations of mapped landmarks," Journal of Field Robotics, 24(5), 2007, pp. 357-378. 

  16. Chatfield, A. B., Fundamentals of High Accuracy Inertial Navigation, Reston, VA,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1997. 

  17. Honeywell, Miniature Inertial Measurement Unit, 2006. 

  18. Northrop Grumman, LN-200s Inertial Measurement Unit, 2013. 

  19. Roh, W. R., et al., "Development of Fiber Optic Gyro for KSLV-II Inertial Navigation Guidance Unit," KSAS Fall Conference, 2015. 

  20. Lorenz, R. D., "Radar Altimeters on Probes and Landers (and Doppler Radars)," 12th Interplanetary Probe Workshop,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