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위한 Bayesian Copula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Bayesian Copula model for a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1, 2017년, pp.745 - 758  

김진영 ((주)이산) ,  김진국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조영현 (한국수자원공사)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pula 함수 기반의 모형들은 가뭄빈도해석 및 수문시계열분석 등 수문학적 모델링을 위해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Copula 함수 및 주변확률분포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의 개발 사례는 국내외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Copula 모형Bayesian 기법을 도입하여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모의자료를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모형 적용결과 가정한 매개변수를 정확하게 재추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기 개발된 Bayesian Copula 함수 기반의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모형을 한강유역에 적용하여 최근 2013~2015년에 가뭄 사상을 평가하였다. 서울, 경기 및 강원 지역에서 특히 가뭄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결합재현기간이 100년을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의 검증과정과 도출된 결과를 기준으로 판단해보면 가뭄자료의 분포특성 및 자료간의 상관성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pula-based model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hydrological modeling including drought frequency analysis and time series modeling. However, uncertainty estimation associated with the parameters of these model is not often properly addressed. In these contex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뭄 지속시간과 심도의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선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BIC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도만을 가지고 최적분포형을 선택하는 경우 모분포의 자유도가 후보모델의 자유도보다 낮은 경우 잘못된 모분포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Akaike, 1974).
  • 산정결과 가정된 5개 매개변수 모두 불확실성 구간의 50% 구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사후분포의 중앙값(median)과 비교하였을 때 다소 편의(bias)된 부분이 있지만, 이는 이변량 Copula 함수의 모형 내에서 발생하는 표본 오차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형의 검증 결과 해당 모형을 활용해도 무방할 것이라 판단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3~2015년도 한강유역의 가뭄을 평가하기 위해서 한강유역 내 위치한 기상청 강우관측소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Bayesian Copula 모형을 적용하여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Fig. 1에 도시된 연속이론을 기반으로 가뭄 특성인자 추출을 위해 기상청 강우관측소의 6개월 누적 월 강우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정상년 강수량을 기준으로 강수의 Anomaly를 구분하고자 Eq. (1)과 같이 가뭄절단 수준을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평가하는데 대표적인 변량인 가뭄 지속시간과 심도를 대상으로 이변량 가뭄 빈도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모형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Bayesian 모형을 기존 Copula 모형과 연계한 해석방안을 도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이변량 빈도해석 기법 이론을 기반으로 매개변수의 정량적인 불확실성 평가가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앞서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한강유역 내 기상청 관측소 별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결합확률 관점에서 이 변량 가뭄빈도해석의 결합재현기간 TDDS는 단변량 가뭄빈도해석 결과의 최소, 최대값, 그리고 T'DDS 보다 커야하며, 다음 Eq.
  •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가뭄 특성인자에 대상으로, 한강유역 전반의 평균적인 특성을 확인하고자 Thiessen 망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Figs. 4 and 5에 도시하였다.
  • 본 절에서는 Copula 함수를 활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이론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Bayesian Copula 함수 추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수록하였다. 기존 Copula 함수 모형의 경우 국내외에서 연구가 다수가 수행되어졌으므로 핵심적인 부분만 간략히 기술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Archimedean Copula 함수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Bayesian 기법과 연계하여 정량적으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산정이 가능한 Bayesian Copula 기반의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변확률분포와 Copula 함수의 매개변수를 동시에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확률분포와 주요 Archimedean Copula 함수의 우도함수(likelihood function)를 연계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매개변수의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를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Copula 함수 매개변수 θ는 Copula 이론의 기본 가정에 근거하여 균등 분포(Uniform distribution)로 가정하였다.
  • 매개변수는 각각 Log-normal (1,0.5), Gamma (3,1),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p) 는 0.85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Archimedean Copula 함수 별 모의된 자료는 Fig. 7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빈도해석 시 Copula 함수를 활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사용하는 이유는? , 201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뭄의 경우 일반적으로 복합적인 인자가 동시에 고려되기 때문에, 가뭄빈도해석 시 단변량 가뭄빈도해석보다 다변량 가뭄빈도해석의 적용이 타당하다고 알려져 있다(Shiau and Shen, 2001). 이러한 점에서 국내외에서는 가뭄 지속시간(duration)과 심도(severity)를 활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Copula 함수 기반의 모형의 활용도는 무엇인가? Copula 함수 기반의 모형들은 가뭄빈도해석 및 수문시계열분석 등 수문학적 모델링을 위해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Copula 함수 및 주변확률분포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의 개발 사례는 국내외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국내외에서는 가뭄빈도해석 시 어떤 방법을 활용하고있는가? 국내외에서는 가뭄빈도해석 시 일반적으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Chun et al., 2015; Lee and Son, 2016; 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Vol. 19, No. 6, pp. 716-723. 

  2. Bonaccorse, B., Cancelliere, A., and Rossi, G. (2003). "An analytical formulation of return period of drought severity." Vol. 17, No. 3, pp. 157-174. 

  3. Chun, S.-Y., Kim, Y.-T., and Kwon, H.-H. (2015).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hidden markov chain model and bivariate copula func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8, No. 12, pp. 969-979. 

  4. Fernandez, B., and Salas, J. D. (1999). "Return period and risk of hydrologic events. I: Mathematical formulatio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4, No. 4, pp. 297-307. 

  5. Findley, D. F. (1991). "Counter examples to Parsimony and BIC." Annals of the Institute of Statistical Mathematics, Vol. 43, No. 3, pp. 505-514. 

  6. Gelfand, A. E., and Smith, A. F. (1990). "Sampling-based approaches to calculating marginal dens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85, No. 410, pp. 398-409. 

  7. Gelman, A., and Hill, J. (2006). Data analysis using regression and multilevel/hierarchical mod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Gelman, A., Carlin, J. B., Stern, H. S., and Rubin, D. B. (2003). Bayesian data analysis. CRC press, United States of America. 

  9. Gelman, A., Carlin, J. B., Stern, H. S., and Rubin, D. B. (2004). Bayesian data analysis (2nd ed.). Boca Raton: Chapman and Hall/CRC. 

  10. Geman, S., and Geman, D. (1984). "Stochastic relaxation, Gibbs distributions, and the Bayesian restoration of image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6, pp. 721-741. 

  11. Joe, H. (1997). Multivariate models and dependence concept. Chapman & Hall, London. 

  12. Kim, J. S., Jain, S., and Yoon, S. K. (2012). "Warm season streamflow variability in the Korean Han river basin: links with atmospheric teleconn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 10.1002/joc.2290. 

  13. Kim, J.-Y., So, B.-J., Kim, T.-W., and Kwon, H.-H. (2016). "A development of tr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approach using copula func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9, No. 10, pp. 823-833. 

  14. Kim, T.-W., Valdes, J. B., and Yoo, C. S. (2003). "Nonparametric approach for estimating return periods of droughts in arid reg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8, No. 5, pp. 237-246. 

  15. Kim, T.-W., Valdes, J. B., and Yoo, C. S. (2006). "Nonparametric approach for bivariate drought characterization using palmer drought index."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1, No. 2, pp. 134-143. 

  16. Kuo, J.-T., Hsu, Y.-C., Tung, Y.-K., Yeh, K.-C., and Wu, J.-D. (2008). "Dam overtopping risk assessment considering inspection program."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2, pp. 303-313. 

  17. Kwak, J. W., Kim, D. G., Lee, J. S., and Kim, H. S. (2012).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3B, pp. 161-168. 

  18. Kwon, H.-H, Casey, B., and Lall, U. (2008). "Climate informed flood frequency analysis and prediction in montana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5, L05404. 

  19. Kwon, H.-H., and Lall, U. (2016). "A copula-base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for the 2012-2015 drought in Californi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2, No. 7, pp. 5662-5675. 

  20. Lee, J.-J., and Kwon, H.-H. (2011). "Analysis on spatio-temporal pattern and regionalization of extreme rainfall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1B, pp. 13-20. 

  21. Lee, T. S., and Son, C. Y. (2016). "Analyzing the drought event in 2015 through statistic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9, No. 3, pp. 177-186. 

  22. Melching, C. S., Wenzel, H., and Yen, B. C. (1987). "Application of system reliability analysis to flood forecasting." Application of Frequency and Risk in Water Resources, Edited by V. P. Singh, Reidel Publishing Company. 

  23. Na, B.-K., Kim, J.-Y., Kwon, H.-H., and Lim, J.-Y. (2014). "Improvement of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model considering uncertaintyof hydrologic analysis proces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7, No. 10, pp. 853-865. 

  24. Nelssen, R. B. (2006). "An introduction to Copula." Springer, New York, pp. 109-115. 

  25. Shiau, J. T., and Modarres, R. (2009). "Copula-based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in Iran." Meteorological Applacations, Vol. 16, No. 4, pp. 481-489. 

  26. Shiau, J.-T., and Shen, H. W. (2001). "Recurrence analysis of hydrologic droughts of differing severity."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7, No. 1, pp. 30-40. 

  27. Sklar, M. (1959). Fonctions de repartition a n dimensions et leurs marges. Universite Paris 8. 

  28. Yevjevi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Hydrology Paper, No. 23,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pp. 4-18. 

  29. Yoo, J. Y., Lee, J. H., and Kim, T. W. (2016). "Estimation of drought risk through the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9, No. 3, pp. 217-225. 

  30. Yoo, J. Y., Shin, J. Y., Kim, D. K., and Kim, T.-W. (2013). "Drought risk analysis using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and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6, No. 1, pp. 425-437. 

  31. Yu, J. S., Yoo, J. Y., Lee, J.-H., and Kim, T.-W. (2016). "Estimation of drought risk through the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e, Vol. 49, No. 3, pp. 217-2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