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의 전이 현상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확률 예측
Bayesian networks-based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hydrological drought considering drought propag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1, 2017년, pp.769 - 779  

신지예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가뭄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전대응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가뭄에 대한 효과적인 사전대응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가뭄 예측 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확률론적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뭄의 전이현상을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에 반영하였다. 가뭄의 전이현상을 고려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가뭄 예측 모형(PBNDF)은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다중 모형 앙상블 예측결과와 가뭄전이 관계를 결합하여 새로운 수문학적 가뭄 예측 결과를 생산하도록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 PBNDF 모형은 파머수문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가뭄을 확률적으로 예측하는데 적용되었다. PBNDF 모형의 ROC 분석 결과 ROC 점수가 0.5 이상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 실제 예측 모형으로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모형(지속성 예측, 베이지안 네트워크 예측 모형)과 평균제곱오차의 제곱근(RMSE), 기술 점수(SS)를 활용하여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PBNDF 모형의 RMSE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지며, SS는 약 0.1~0.15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예측성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occurrence of drought is recently on the rise, the reliable drought forecasting is required for developing the drought mitigation and proactiv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This study developed a probabilistic hydrological drought forecasting method using the Bayesian Networks and drought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은 가뭄 예측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기후지수와 가뭄과의 상관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가뭄을 예측하는데 기후지수를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Lee,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상태를 수문학적 가뭄의 유발인자로 가정하고,수문학적 가뭄의 예측인자로 가뭄 전이 관계를 활용함으로써 Shin et al. (2016)에서 개발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가뭄 예측 모형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7)와 유사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 예측 모형인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이전 달의 SPI의 정보를 활용한 PHDI 값을 예측하기 위한 노드를 추가하였다.
  • (2016)에서 활용한 MME 예측 정보 기반의 미래 가뭄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가뭄이 전이되는 관계를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수문학적 가뭄의 예측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최근에는 가뭄의 예측성 향상을 위하여 가뭄 유발인자(trigger)와 예측인자(predictor)를 활용한 연구와(Maity etal.
  • 본 연구는 1973년부터 강우량과 온도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낙동강 유역의 10개 지점(Fig. 1)을 대상으로 Palmer Hydrological Drought Index (PHDI)를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문학적 가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예측 모형에는 과거 관측자료와 미래 예측 자료가 함께 활용되었다.
  • 수문학적 가뭄 예측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을 활용하여 확률론적 가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복잡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 시스템을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로 간단히 표현가능하며, 손쉽게 변수들을 추가하거나 제외할 수 있어 가뭄 예측과 연관된 다양한 인자들을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모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전이로 나타나는 4가지 특성은 무엇인가? (1987)과 Eltahir and Yeh (1999)가 다양한 수문 변량의 평균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면서 처음 제시되었다. 가뭄이 전이되면서, 4가지 특성(풀링, 감쇠, 지체, 연장)이 발생하게 된다(Van Loon, 2015).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이발생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 수문학적 가뭄이 발생되는 지체 현상을 가뭄 예측에 활용하였다.
PHDI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수문학적 가뭄을 평가할 만큼의 장기적이고 신뢰성 있는 하천 유량 자료가 많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 산정을 위한 입력 자료(온도, 강수량)의 확보가 가능한 PHDI를 활용하였다. PHDI는 수자원시스템 내에서 장기간의 가뭄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수문학적 가뭄지수로,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산정과정이 유사하다. 물수지 방정식의 수요-공급 개념을 바탕으로 강수량과 기온 및 유효토양수분량을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증발산량, 함양량, 유출량 및 손실량,그리고 잠재증발산량, 잠재함양량, 잠재유출량 및 잠재손실량 등 물수지방정식의 기본 항목들을 산정한다.
가뭄 예측기법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가뭄 예측기법은 과거의 자료를 활용하여 미래를 추정하는 통계학적 기법과 기후예측모형의 예측결과를 활용하는 역학적 기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Madadgar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onaccorso, B., Cancelliere, A., and Rossi, G. (2015).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drought class transitions in Sicily (Italy)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North Atlantic oscillation index." Journal of Hydrology, Vol. 526, pp. 136-150. 

  2. Changnon Jr., S. A. (1987). Detecting drought conditions in Illinois (Vol. 169). Illinois State Water Survey. 

  3. Chen, S. T., Yang, T. C., Kuo, C. M., Kuo, C. H., and Yu, P. S. (2013).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ing in Southern Taiwan using El Nino-Southern Oscillation Index." Terrestrial, Atmospheric & Oceanic Sciences, Vol. 24, No. 5, pp. 911-924. 

  4. Cutore, P., Di Mauro, G., and Cancelliere, A. (2009). "Forecasting palmer index using neural networks and climatic indexe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4, No. 6, pp. 588-595. 

  5. Dey, S., and Stori, J. A. (2005). "A Bayesian network approach to root cause diagnosis of process vari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Tools and Manufacture, Vol. 45, No. 1, pp. 75-91. 

  6. Eltahir E. A., and Yeh, P. J. F. (1999). "On the asymmetric response of aquifer water level to floods and droughts in Illino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pp. 1199-1217. 

  7. Epstein, E. S., (1969). "A scoring system for probability forecasts of ranked categori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8, No. 6, pp. 985-987. 

  8. Guttman, N. B., (1991).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Palmer hydrologic drought index."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7, pp. 797-807. 

  9. Heim, R. R., Jr. (2000). "Drought indices: a review." Drought: a global assessment, Edited by Wilhite, D. A., Routledge, London, pp. 159-167. 

  10. Hwang, Y., and Carbone, G. J. (2009). "Ensemble forecasts of drought indices using a conditional residual resampling techniqu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Vol. 48, No. 7, pp. 1289-1301. 

  11. Jacobi, J., Perrone, D., Duncan, L. L., and Hornberger, G. (2013). "A tool for calculating the Palmer drought indic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9, No. 9, pp. 6086-6089. 

  12. Keyantash, J., and Dracup, J. A. (2002). "The quantification of drought: an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3, No. 8, pp. 1167-1180. 

  13. Kim, J.-S., Seo G.-S., Jang, H.-W., and Lee, J.-H. (2017).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orean spring drought and large-scale teleconnection patterns for drought forecasting"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1, No. 1, pp. 458-466. 

  14. Kim, T. W., and Valdes, J. B. (2003) "Nonlinear model for drought forecasting based on a conjunction of wavelet transforms and neural network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8, No. 6, pp. 319-328. 

  15. Kim, Y. O., Lee, J. K., and Palmer, R. N. (2012). "A drought outlook study in Korea."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7, No. 6, pp. 1141-1153. 

  16. Lee, C. J., and Lee, K. J. (2006). "Application of Bayesian network to the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of nuclear waste disposal." Reliability Engineering & System Safety, Vol. 91, No. 5, pp. 515-532. 

  17. Lee, D. R. (1999). "Relationship between El Nino/Southern Oscillation and drought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2, No. 2, pp.111-120. 

  18. Lee, J. H., Kwon, H. H., Jang, H. W., and Kim, T. W. (2016). "Future changes in drought characteristics under extreme climate change over South Korea." Advances in Meteorology, Vol. 2016, No. 9164265, pp. 1-19. 

  19. Madadgar, S., and Moradkhani, H. (2014). "Spatio-temporal drought forecasting within Bayesian networks." Journal of Hydrology, Vol. 512, pp. 134-146. 

  20. Madadgar, S., AghaKouchak, A., Shukla, S., Wood, A. W., Cheng, L., Hsu, K. L., and Svoboda, M. (2016). "A hybrid statistical dynamical framework for meteorological drought prediction: Application to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2, No. 7, pp. 5095-5110. 

  21. Maity, R., Ramadas, M., and Govindaraju, R. S. (2013). "Identification of hydrologic drought triggers from hydroclimatic predictor variabl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9, No. 7, pp. 4476-4492. 

  22. Mishra, A. K., and Desai, V. R. (2005). "Drought forecasting using stochastic model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19, No. 5, pp. 326-339. 

  23. Mishra, A. K., and Singh, V. P. (2011). "Drought modeling: a review." Journal of Hydrology, Vol. 403, No. 1-2, pp. 157-175. 

  24. Mishra, A., Desai, V., and Singh, V. (2007). "Drought forecasting using a hybrid stochastic and neural network mode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2, No. 6, pp. 626-638. 

  25. Morid, S., Smakhtin, V., and Bagherzadeh, K. (2007). "Drought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ime series of drought ind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No. 15, pp. 2103-2111. 

  26. Mwangi, E., Wetterhall, F., Dutra, E., Di Giuseppe, F., and Pappenberger, F. (2014). "Forecasting droughts in East Afric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8, No. 2, pp. 611-620. 

  27. Russell, S., and Norvig, P. (1995).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Englewood Cliff, Prentice Hall. 

  28. Santos, J. F., Portela, M. M., and Pulido-Calvo, I. (2014). "Spring drought prediction based on winter NAO and global SST in Portugal." Hydrological Processes, Vol. 28, No. 3, pp. 1009-1024. 

  29. Shin, J. Y., Ajmal, M., Yoo, J., and Kim, T.-W. (2016). "A Bayesian network-based probabilistic framework for drought forecasting and outlook." Advances in Meteorology, Vol. 2016, No. 9472605, pp. 1-10. 

  30. Sohn, S. J., Min, Y. M., Lee, J. Y., Tam, C. Y., Kang, I. S., Wang, B., Ahn, J. B., and Yamagata, T. (2012). "Assessment of the long-lead probabilistic prediction for the As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1983-2011) based on the APCC multimodel system and a statistical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7, No. D4, pp. 1-12. 

  31. Van Koten, C., and Gray, A. R. (2006). "An application of Bayesian network for predicting object-oriented software maintainability."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Vol. 48, No. 1, pp. 59-67. 

  32. Van Loon A. F. (2015). "Hydrological drought explained."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Water, No. 2, pp. 359-392. 

  33. Yoon, J. H., Mo, K., and Wood, E. F. (2012). "Dynamic-model-based seasonal predic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over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3, No. 2, pp. 463-4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