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Cl 처리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on Growth and Physiologycal Activity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4, 2017년, pp.789 - 804  

남현화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이주희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추병길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염(NaCl) 처리 시 눈개승마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0, 100, 200, 300 mM의 농도로 염 처리를 하였다. 처리 30일 후 초장, 엽폭, 엽장 및 무기 이온 함량을 측정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 및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 저하되었으며 염 농도 100, 200, 300 mM 처리구 간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이온 함량은 염 처리시 $Na^+$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K^+$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Ca^{2+}$ 함량은 염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Mg^{2+}$ 함량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Na^+$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에 따라 식물 생장에 불리한 $K^+/Na^+$, $Ca^{2+}/Na^+$, $Mg^{2+}/Na^+$ 비를 초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mM 이상의 염 농도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환원력에서도 대조구에 비해 염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염 처리 시 눈개승마의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cell에서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CK assay와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염 처리구에서 모두 10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생산량의 경우 항산화 활성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대조구에 비해 100 mM 이상의 염 처리구에서 NO 생산 억제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염 처리시 100 mM 이상의 농도에서 눈개승마의 생육과 항산화, 항염증 활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 스트레스로 인해 생장과 생리활성 저하를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눈개승마의 경우 100 mM 미만의 농도에서 생육 및 생리활성 유지에 적합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physiologycal activiti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under the NaCl treatment conditions (0, 100, 200, 300 mM). After 30 days treatment, the growth and physiologycal activitis were investigated. In the growth of pla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염(NaCl) 처리 시 눈개승마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0, 100, 200, 300 mM의 농도로 염 처리를 하였다. 처리 30일 후 초장, 엽폭, 엽장 및 무기 이온 함량을 측정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 및 염증 생성 물질인 NO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 현재 눈개승마는 해양성 기후 조건인 울릉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소득 작물로서 열악한 환경과 염 환경에서 비교적 재배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어 염(NaCl)을 처리한 눈개 승마의 생육조사 및 항산화 활성 분석을 통해 생리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간척지나 염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약용작물 재배 시 기능성 및 약효의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NaCl) 처리가 눈개승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염(NaCl) 처리가 눈개승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염 농도 0, 100, 200, 300 mM의 4단계로 30일 동안 처리하였고, 처리 30일 후 눈개승마의 초장, 엽폭, 엽장을 측정하여 생육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 초장 36.1 cm, 엽폭 8.8 cm, 엽장 13 cm로 나타났고, 100 mM의 농도에서는 초장 31.3 cm, 엽폭 4.2 cm, 엽장 8.6 cm, 200 mM의 농도에서는 초장 30.9 cm, 엽폭 4.1 cm, 엽장 9.6 cm로 나타났으며 300 mM의 농도에서는 초장 31.5 cm, 엽폭 4.9 cm, 엽장 9.9 cm로 대조구에 비해 생육이 저하되었다. 초장의 경우 대조구의 86~87%로저하되었고 엽폭은 47~56%, 엽장은 66~76%의 수준으로 염 처리구에서 모두 생육이 저하 되었으며 염 농도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Table 1).
토양 중에 Na+과 Cl-가 고농도로 존재할 경우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은? 토양 중에 Na+과 Cl-가 고농도로 존재할 경우 식물은 염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염 스트레스는 이온의 독성, 수분포텐셜의 저하, 이온의 흡수 및 수송을 억제하여 영양 및 삼투압 불균형을 초래한다(Munns and Termaat, 1986; Kim et al., 2010).
염 스트레스에 의한 이온농도의 불균형의 특징은? , 2010). 염 스트레스에 의한 이온농도의 불균형은 식물체내의 Na+ 이온농도의 증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식물체내 영양결핍, 대사장애 등의 중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Singh and Prasad, 2009) 식물의 생장과 발육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한발, 건조, 고온, 저온, 강광, 고염 및 환경오염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의 지속 시간이나 강도 및 식물의 연령 등에 따라 활성 산소를 증가시키는데 발생한 활성 산소는 세포 내 여러 소기관을 과산화 시켜 세포를 파괴시키고 특히, 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불포화지질을 과산화지질로 바꾸며 세포에 손상을 주게 된다(Lee and Oh, 1994; Kim and Hyu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2. Chae, S. K., G. S. Kang, S. J. Ma. K. W. Bang, M. W. Oh, and S. 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Paju, Korea. p.381-382. 

  3. Choi, W. Y., K. M. Cho, S. Kim, J. H. Jeong, S. H. Lee, K. B. Lee, G. H. Lee, and K. H. Park. 2015. Effect of PE Film Mulching and Irrigation Method on the Growth, Yield and Antioxidant Activity for Potatoes Grown in Winter Season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Korean J. Crop Sci. 60(1): 63-69. 

  4. Choi, Y. and M. H. Jang. 2015. Effects of NaCl Treatment on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nts. J. People Plants Environ. 18(1): 53-60. 

  5. Fox, T. C. and M. L. Guerinot. 1998. Molecular biology of cation transport in plants. Anun.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9: 669-696. 

  6. Green, L. C., D. A. Wagner, J. Glogowski, P. L. Skipper, J. S. Wishnok, and S. R. Tannenbaum.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1): 131-138. 

  7. Jeon, S. R. 2013. Studies on the Photosynthesis Responses and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ticus.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8. Kang, C. H., W. Y. Choi, Y. J. Yoo, K. H. Choi, H. J. Kim, Y. J. Song, and C. K. Kim. 2014. The Growth Phase and Yield Difference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on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 Crop Sci. 59(4): 511-520. 

  9. Khan, M. A. 2001. Experimental assessment of salinity tolerance of Ceriops tagal seedlings and saplings from the Indus delta, Pakistan. Aquatic Botany. 70(3): 259-268. 

  10. Khan, M. A., I. A. Unjar, and A. M. Showalter. 2000. Effects of sodium chloride treatments of growth and ion accumulation of the halophyte Haloxylon recurvum. COMMUN. SOIL SCI. PLANT ANAL. 13: 2763-2774. 

  11. Kim, D. H., B. J. An, S. G. Kim, T. S. Park, G. H. Park, and J. H. Son. 2011b. Antimelanogenic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runcus dioicus Extracts from Ullung Island in Murine Melanoma Cells. J. Life Science. 21(2): 297-285. 

  12. Kim, D. H., B. J. An, S. G. Kim, T. S. Park, G. H. Park, and J. H. Son. 2011c.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ence. 21(5): 678-683. 

  13. Kim. J. S. and T. K. Hyun. 2011. Effects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tioxidant Materials, and Inorganic Ion Content in Head Lettuce Seedlings. Kor. J. Hort. Sci. Technol. 29(5): 433-440. 

  14. Kim, J. S., I. S. Shim, and M. J. Kim. 2010. Physiological Response of Chinese Cabbage to Salt Stress. Kor. J. Hort. Sci. Technol. 28(3): 343-352. 

  15. Kim, M. J. and Y. K. Lee. 2011. Antioxidative Ability of Some Produces in Ulleungdo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affy Made from the Produc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1): 60-67. 

  16. Kim, M. S. and H. Y. Sohn. 2014. Anti-thrombosis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J. Life Science. 24: 515-521. 

  17. Kim, M. S., K. H. Kim, J. E. Jo, J. J. Choi, Y. J. Kim, J. H. Kim, S. A. Jang, and H. S. Yook. 2011a.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 47-55. 

  18. Kim, S. K., S. C. Lee, S. P. Lee, and B. S. Choi. 1998.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Fertilization Amounts on Growth and Yield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Korean J. Plant. Res. 11(2): 142-145. 

  19. Kim, S. W., Y. B. Kim, B. G. Choi, S. J. Lim, and D. K. Hong. 2015. Characteristics of farming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on the fields of Goat beard (Aruncus dioicus Fern.). Korean J. Soil Sci. Fert. 2015(12): 93-94. 

  20. Lee, B. M., S. I. Shm, S. G. Lee, B. H. Kang, I. M. Chung, and K. H. Kim. 1999. Physiological Response on Saline Tolerance between Halophytes and Glycophytes. Korean J Environ Agric. 18(1): 61-65. 

  21. Lee, H. J. and S. E. Oh. 1994. Inter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stresses,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tress-ethylene. Korean J. Ecol. 17: 91-100. 

  22. Lee, S. H., G. J. Choi, D. G. Lee, J. Y. Mun, K. Y. Kim, H. J. Ji, H. S. Park, and K. W. 2014. Effects of Sodium Chloride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J. Kor. Grassl. Forage Sci. 34(2): 108-113. 

  23. Lee, S. O., H. J. Lee, M. H. Yu, H. G. Im, and I. S. Lee.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 233-240. 

  24.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上). 鄕文社, Korea. p.515. 

  25. Moncada, S., R. M. Palmer, and E. A. Higgs. 1991.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ogical Reviews. 24: 109-142. 

  26. Munns, R. and Termaat. 1986. Whole-plant responses to salinity. Australia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3: 143-160. 

  27. Oyaizu, M. 1999.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Eiyogaku zasshi. 44(6): 307-315. 

  28. Park, E. J., Y. G. Sohn, J. C. Park, and J. J. Lee. 2006. Effects of NaCl on the Growth and Inorganic Ion Contents of Green Pepper 'Nokwang' and Bell Pepper 'Newace'. Kor. J. Hort. Sci. Technol. 24(1): 1-7. 

  29. Park, H. C. 2012.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 기준.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pp. 313-756. 

  30.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 1231-1237. 

  31. Shin, J. W., S. I. Lee, M. H. Woo, and S. D. Kim. 2008.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Goat's Beard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 939-948. 

  32. Singh, A. and R. Prasad. 2009. Salt stress effects growth and cell wall bound enzymes in Arachis hypogaea L. seed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ive Biology. 7: 117-123. 

  33. Velioglu, Y., G. Mazza, L. Gao, and B. Oomac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34. Youn, J. S., S. Y. Shin, Y. X. Wu, J. Y. Hwang, J. H. Cho, Y. G. Ha, J. K. Kim, M. J. Park, S. H. Lee, T. H. Kim, and T. W. Kim. 2012. Antioxidant and Anti- wrinkling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3): 39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