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f Care for Families with Mentally Disabled an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229 - 241  

이유리 (경산복지재단 사랑밭) ,  최희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사회적 지지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사회복귀시설과 정신건강증진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가족 10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이 그들 자녀를 돌보면서 경험하는 보호부담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탄력성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위요인 모두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는 보호부담과 삶의 질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노력과 이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urden of care for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f 102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registered in the mental h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의 영향을 완충할 것으로 보여지는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채택하여, 이 두 조절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해서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 효율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 관련한 조절변수로서 정신장애인 가족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개입 필요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둘째, 정신장애인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 본 연구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함께 보고자 하는 이유는 인간과 환경은 서로 분리되어 생각할 수 없고, 이 두 양자 간의 환경속의 인간이란 통합적 관점으로 바라볼 때 개인 및 이를 둘러싼 다양한 체계들 간의 역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족탄력성은 개인의 미시적 차원에서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중시적 차원에서 함께 고려하여 보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제도적, 정책적 차원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신장애의 특성상, 오랜 기간 가족들이 자녀를 돌보는 상황에서 경제적 부담이 크며, 이를 위해서 제도적, 정책적 차원에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소득을 일정 부분 보장하거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제반노력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박세정[23]은 삶의 질은 객관적 상황이나 물리적 요소가 일정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심리적 부분에만 치우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견해를 종합하여, 삶의 질은 개인의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안녕감을 포괄하며, 삶의 여러 영역에서 객관적 요소들과의 관계로 인해 스스로 인지하는 주관적 안녕감이라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 셋째,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 여기서는 사회적 지지를 다양한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얻게 되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정신장애인 가족의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면서 느끼는 어려움 속에서 얻게 된 타인의 실제적 도움이다.
  • 또한 Walsh[28]는 ‘어려움에 직면하여 정서적으로 활기를 띄게 되고 도전과 어려움을 감당하고 긍정적으로 접근하는 가족의 능력’으로 보았다. 이는 가족탄력성에 대해 가족스트레스보다 강점관점을 주요 개념으로 하여 가족과정의 차원에서 구조ㆍ기능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29], 본 연구에서는 역동적 가족을 다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는 것으로 본 Walsh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가족탄력성은 가족이 직면한 역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극복하는 가족의 능력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의 영향을 완충할 것으로 보여지는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채택하여, 이 두 조절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해서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 효율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신념체계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이 가족들이 정신장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는지에 따라 이를 대처해가는 방법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신념체계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은 가족들이 정신장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는지에 따라 이를 대처해가는 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념체계는 가족을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서 바라보며 역경을 극복하고 다루는 데 있어 영향을 주는 가족 고유의 강점이나 잠재력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결함관점에서 벗어나 가족 스스로 탄력성의 개념을 올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혹은 집단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정신장애인 가족이 느끼는 부담감이란 무엇인가? 정신장애인 가족이 느끼는 부담감이란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면서 막연히 느껴지는 두려움, 돌봄의 의무나 책임으로 인한 스트레스, 희생 및 어려움과 불편한 감정이라 할 수 있다[8]. 그 중 보호부담이란 정신장애의 발병 이후로부터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며 가족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로 정의된다[9].
정신장애인 가족이 느끼는 부담감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정신장애인 가족이 느끼는 부담감으로는, 정신장애로 인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 확실치 않은 병의 예후, 정신장애인 자녀가 있다는 죄책감, 치료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 등을 들 수 있다[1]. 또한 가족은 정신건강 체계 속에서 갈등상황으로 인한 의견충돌, 사회적 자원의 부족, 지속적 돌봄 제공, 정보 확보, 정신건강 전문가들과의 의사소통 등 여러 부분에서 부담감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최현미,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6권, pp.45-59, 2002. 

  2. C. G. Francell, V. S. Conn, and D. P. Gray, "Families' perceptions of burden of care for chronic mentally ill relative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Vol.39, No.12, pp.1296-1300, 1988. 

  3. 강동호, 김철권, 변원탄,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1호, pp.193-203, 1995. 

  4. 김은지, 정신분열 환자의 개인.사회적 기능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 양옥경, "정신장애인 가족에 관한 연구: 가족의 보호부담, 대처기제, 서비스 욕구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3호, pp.809-829, 1995. 

  6. 최재순,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자연,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장애아동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최인희, 희귀.난치성 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9. 김용분, 이정섭, "정신분열병환자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456-477, 1999. 

  10. J. A. Clausen and M. R. Yarrow, "Mental illness and the family," Journal of Social Issues, Vol.11, No.4, pp.3-5, 1955. 

  11. J. Grad and P. Sainsburry, "Mental illness and the family," The Lancet, Vol.281(7280), pp.544-547, 1963. 

  12. J. Hoening and M. W. Hamilton, "The Schizophrenic patient in the community and his effect on the househol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Vol.12, No.3, pp.165-176, 1966. 

  13. S. Platt, "Measuring the burden of psychiatric illness on the family: an evaluation of some rating scales," Psychological medicine, Vol.15, No.2, pp.383-393, 1985. 

  14. S. Pai and R. L. Kapur, "The burden on the family of a psychiatric patient: development of an interview schedu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38, No.4, pp.332-335, 1981. 

  15. M. Scazufca and E. Kuipers, "Links between expressed emotion and burden of care in relative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68, No.5, pp.580-587, 1996. 

  16. 김현진, 가족기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7. 이정자,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및 가족부담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07. 

  18. 이세금,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과 서비스 욕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9. 전재현, 주거시설 서비스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양옥경, 지역사회 정신건강, 경기: 나남, 2005. 

  21. A. Campbell,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Research, Vol.31, No.2, pp.117-124, 1976. 

  22. A. F. Lehman, "The effects of psychiatric symptoms on quality of life assessments among the chronic mentally ill,"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6, No.2, pp.143-151, 1983. 

  23. 박세정,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4. 김정숙,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현실요법중심-정신재활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5. 최정주, 가족탄력성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6. H. I. McCubbin and M. A. Thompson,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Vol.37, No.3, pp.247-254, 1988. 

  27. L. Valentine and L. L. Feinauer,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erci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1, No.3, pp.216-224, 1993. 

  28. F. Walsh, Strengthening falily resilien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8. 

  29. 송유미,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235-254, 2016. 

  30. 임안나, 박영숙,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319-328, 2017. 

  31.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3, 1976. 

  32.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467-486, 1993. 

  33. 전미리, 취업정신장애인 가족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신분열증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4. 김성희, 우울증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정신건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5. 김인경,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6. 채인숙, 정신장애인 성인자녀를 돌보는 가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주보호자의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7. 이민아, 가족탄력성이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8. 송순인, "정신장애인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6권, 제2호, pp.133-156. 

  39. 최영신,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40. 윤명숙, 박은아, 최수연,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제21권, pp.91-112, 2013. 

  41. WHO Quality of Life Group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WHOQOL): pos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41, No.10, pp.1403-1409, 1995. 

  42. 김철권, 조진석, 서지민, 김용관, 김호찬, 김현수, 김상수, 제영묘,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개발에 대한 예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8권, 제3호, pp.539-553, 1999. 

  43. M. T. Sixbey, Development pf the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 to identify family resilience construc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2005. 

  44. P. A. Brandt and C. Weinert, "The PRQ-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Vol.30, No.5, pp.277-280, 1981. 

  45. 조광호,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삶의 질과 정신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6. 박은경,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주보호자의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