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 관리방안
A Management Plan of the Resources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at Disaster Sit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3, 2019년, pp.46 - 53  

송영섭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  서상욱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  윤유상

초록

최근 화재나 지진 등의 대규모 재난에 대한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재난의료대응을 위한 자원관리체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에서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으나, 응급의료시설관련 자원은 에어텐트와 음압텐트가 장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등 투입시점, 존치기간, 운송 및 설치 방법과 같은 시설특성을 반영한 관리체계는 구축되어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재난관리 공동활용시스템에서 자재와 장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응급의료 시설자원을 고려한 응급의료 시설자원 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은 장비로 분류되는 의료자원과의 복합적인 연계를 통해 관리되어야 하므로, 현재 자재와 장비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에서의 반영이 요구되며, 재난관리자원 투입에 따른 금액을 고려한 시설구축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need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s increasing due to a large-scale disaster.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Disaster Resource Sharing System (DRSS). In this system, only air tent and negative pressure tent, which are classified and manag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을 고려한 재난관리자원 분류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재난자원 중 응급의료시설 구축과 관련된 자원 정보의 효율적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응급의료 투입을 고려한 시설자원 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에 투입되어야 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 시스템에 응급의료 시설자원을 고려한 자원분류체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그러나 위의 분류에 따른 의료시설은 기존 시설분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신규 설치를 고려한 자원 분류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응급의료원에서 발주하여 현재 구축 중인 이동형 병원 구성자원을 기반으로 재난 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관리자원이란 무엇인가? 행정안전부는 자원관리 확대의 필요성이 대두된 후 재난 수습활동에 필요한 장비, 자재 및 인력을 재난관리자원으로 정의하고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isaster Resource Sharing System, 이하 DRSS)을 구축하여 각 기관별로 분산·관리되고 있는 자원의 현황정보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 비축 및 관리 계획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있어 적정량의 자원비축이 어려워 낭비가 발생하고 있으며(Lee et al.
현재 운영 중인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행정안전부는 자원관리 확대의 필요성이 대두된 후 재난 수습활동에 필요한 장비, 자재 및 인력을 재난관리자원으로 정의하고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isaster Resource Sharing System, 이하 DRSS)을 구축하여 각 기관별로 분산·관리되고 있는 자원의 현황정보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 비축 및 관리 계획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있어 적정량의 자원비축이 어려워 낭비가 발생하고 있으며(Lee et al., 2015), DRSS의 재난관리자원 분류 체계에 에어텐트와 음압텐트를 제외하고는 재난현장 응급 의료시설과 관련된 분류기준은 없는 상태이다. 행정안전 부에서는 자원의 이동문제로 인해 재난관리자원에서 제외 되었던 시설자원에 대한 추가방안 검토가 요구되고 있으며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의료와 관련된 시설자원도 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국내 재난의료체계의 현황은 어떠한가? 특히 감염성 질환이나 지하 복합공간에서의 화재, 지진 및 해일 등 대규모 재난에서는 의료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장기적 대응이 요구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재난의료지원 계획과 선택적인 자원의 분배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Emergency medical research foundation, 2016). 국내 재난의료체계는 재난의료지원팀(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이하 DMAT)이 현장응급의료소 설치 후 중증도에 따라 의료활동을 시행하고 있으나 재난대응 상황에 따른 응급의료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부족하며(Yang et al., 2017), 긴급구조 환자의 응급처치를 위한 시설 및 장비 투입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Suh, 2018). 재난현장에 필요한 의료 기능을 신속히 구현할 수 있는 재난현장 응급 의료시설의 하나로 최근 이동형 병원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실제 충남 천안에 이동형 병원 자원 비축 창고가 존재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C.W., and Lim, T.H. (2015).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disasters." HanYang Medical Reviews, 35(3), pp. 136-140. 

  2. Christina, L.C., Lee, J., and Michael, G.M. (2011). Rol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Disaster Response: Resource Document for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MS Physicians Position Statement. 

  3. Emergency Medical Research Foundation (2016). A research report on introduction and effective operation of domestic field hospital. 

  4. Han, S.M., Jung, H.I., and Park, J.W. (2016). "A study on the transportation route of relief resources in disaster site."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Fall conference proceeding, 34, pp. 198-220. 

  5. Jung, D.Y. (2018). "Hospital, fire agency, police,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should minimize disaster damage." Medi : gate news, (Oct. 25, 2018). 

  6. Jung, J.D. (2014). "Disaster management ICT trends and implications in overseas major countries." KISTEP Issue Paper. 

  7. Jung, W.Y., Lee, C.H., and Jang, D.W. (2013). "Strategy to improve operation system for systematic disaster resource mobilizatio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theory and praxis, 9(6), pp. 65-80. 

  8. Kim, S.J. (2014). "Establishment and appropriate oper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response system of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medical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12(4), pp. 32-40. 

  9. Lee, C.Y., Kim, T.H., and Park, G.J. (2015).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1(3), pp. 376-384. 

  10.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ociety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through case study in korea and abroad (1-1750000-000117-01). 

  1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Guidebook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sharing system (DRSS).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A study on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emergency medical. 

  13.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ndard of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11-1660000-000789-01). 

  14. Oak, Y.S., Park, M.R., and Chon, J.J. (2017).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response base station through overseas case review. 

  15. Suh, S.W. (2018).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process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based on text min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4(2), pp. 27-36. 

  16.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tatus and improvement of national medical system in preparation against disasters. 

  17.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Medicine (2012). Development of national disaster medical management system and standard manual. 

  18.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Medicine (2016). Report on the development results of standards related to national disaster medical support facilities. 

  19. Yoo, I.S. (2015). "Disaster planning in korea." HanYang Medical Reviews, 35, pp. 157-170. 

  20. Yang, M.K., Lee, Y., and Suh, S.W. (2017).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n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6), pp. 57-64. 

  21. Yoon, Y.S., Suh, S.W., and Lee, Y. (2017).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6), pp. 38-46.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