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군사적 현안에 관한 미중관계 고찰 : 북핵, 사드, 한미동맹의 환경 하에서
Analysis of U.S.-China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Military Puzzle : Under Circumstance of NK's Nuclear, THAAD, US-ROK Alliance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7 no.3, 2017년, pp.83 - 93  

우정민 (한국외국어대 정치외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트럼프 행정부 등장 이후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주요현안에 대한 입장을 분석하고 미중관계 속에서 한국의 대응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글은 세력전이 측면의 미중관계 담론을 바탕으로 (1) 북핵 (2) 한반도 사드배치 (3) 한미동맹의 세 가지 조건 하에서 두 가지 가정을 전망케 한다. 하나는 미국의 세계질서가 지역질서를 지배하여 지역 질서가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것과, 다른 하나는 중국 중심의 지역질서가 세계질서에 영향을 주어 미국과 역내 패권적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연구결과, 미중관계에서 압도적인 미국의 객관적 힘의 우위는 북핵, 사드, 한미동맹 등 세계 및 지역질서를 리드하는데 상당부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중국은 미국과의 갈등 속에서도 미국적 세계질서 유지가 가져올 정치 경제적 이익에 편승하여 한반도 주요현안들에 일정 정도 영향력과 협력이 기대된다. 이러한 전망에서 한국은 북핵, 사드, 동맹의 주요 제 문제들이 한미관계 강화를 우선으로, 변화하는 강대국 세력경쟁 사이에서 현실적 국익에 부합한 외교를 균형 있게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른바 '시소외교(see-saw diplomacy)'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China Relations could be analyzed two perspectives and their basis under major international p olitics theory-power transition with conditions: (1) North Korean's nuclear puzzle, (2) THAAD in the Kor ean Peninsula and (3) the U.S.-ROK Alliance. One perspective is the global order domina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중관계 세력전이 담론을 바탕으로 최근 한반도의 주요 군사·외교적 사안이 되는 북핵, 한반도 사드배치, 한미동맹 문제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문제에 관한 미국과 중국의 입장차를 검토, 전망하고, 미중관계 속에서 한국의 정책적 함의와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중관계 세력전이 담론을 바탕으로 최근 한반도의 주요 군사·외교적 사안이 되는 북핵, 한반도 사드배치, 한미동맹 문제를 선정하였다.
  • 지난 2016년 11월 미국 국민은 45대 대통령으로 공화당 트럼프(Donald Trump)를 선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질서의 위계체계 내에서 전쟁이나 분쟁의 발생을 설명하는 두 가지는? 하나는 패권국과 도전국가 간의 상대적인 국력의 정도(degree of power)이며, 다른 하나는 도전국의 만족도의 정도(degree of satisfaction)이다. 세력전이 면에서 국력은 인구수, 경제 생산력(국내총생산), 국제적 리더십 등의 정치적 능력으로 측정되는데, 정치적 능력은 정확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인구나 생산력 등 물리적 요인에 주목한다.
세력전이이론이 주장하는 최악의 경우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은 무엇인가? 반면, 동북아 지역질서 차원에서 중국은 미국을 능가하고자 하는 세력으로서의 도전국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지역 패권국으로서의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세력전이이론이 주장하는 최악의 경우, 갈등과 대립의 국면을 상정할 수 있을 정도로 우려를 하게 된다. 특히 미중관계 속에서 북핵 해법,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한미동맹의 미래는 우리의 안보와 직결된 중대 현안이라는 점에서 영향이 크다고 할 것이다.
트럼프 집권 이후 미국 정책의 행보는? 즉 세력(패권)전이 이론이 말하는 분쟁이나 전쟁을 야기하는 세력전이 가능성을 전망하기 어렵다. 하지만 트럼프 집권 이후 미국의 정책은 개입주의를 탈피하고, ‘다시 강한 미국(Make America Great Again)’을 만들기 위한 ‘미국 우선주의’의 노선을 보여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규륜 외. '대미(對美).대중(對中) 조화외교: 국내 및 해외사례 연구.' 연구총서 14-10. 서울: 통일연구원, 121-204, 2014. 

  2. 남궁영.'강대국 정치와 한반도: 미중의 패권 경쟁', 서울: 오름, 2016. 

  3. 동아일보. 2005. 8. 1. 

  4. 우정민.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위기통제와 강압흥정", 세계지역연구논총 34(1), 113-114, 2016. 

  5. Evans J. R. Revere, "2017 Year of Dec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Brookings Institution Report 2017. 

  6. Nye Jr, Joseph S. The Future of Power. New York: Public Affairs Books, 2011. 

  7. Organski, Abramo. F. K. World Politics. New York: Knopf, 1968. 

  8. Organski, Abramo. F. K. "The Asian Challenge: The Dynamics of China's Power Transition" in Tammen, Ronald L. Kugler, Jacek. Power Transitions. Washington D.C: CQ Press, 2000 

  9. Snyder, Glenn H. Alliance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10. Tammen, Ronald L. Kugler, Jacek. Power Transitions: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CQ Press, 200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