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병태생리에 관한 동서의학적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hysiopathology of depression by Korean medicine and conventional medicine 원문보기

Journal of Haehwa Medicine = 혜화의학회지, v.26 no.1, 2017년, pp.11 - 18  

오현묵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  김서우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  오영택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  손창규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  이진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recent findings of depression and compare the physiopathology of depression by conventional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Methods: A literature search of PubMed and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was conducted. This study analyzes the physiopathology of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우울증에 관한 최신 지견을 정리하고 우울증의 병태생리를 동서의학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우울증에 대한 한의학적인 관점이 향후 우울증 연구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 새로운 이해와 힌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우울증의 원인과 발병 기전에 관한 한의학적인 관점을 비교하거나 정리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우울증의 병태생리 관한 최신 지견을 정리하고 이에 대해 동서의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우울증에 대한 접근과 치료에 있어 새로운 시각과 힌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울증의 병태생리 관한 최신 지견을 정리하고 이에 대해 동서의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우울증에 대한 접근과 치료에 있어 새로운 시각과 힌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 환자수는 어떤 추세에 있는가? 우울증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언급할 정도로 전 세계적 주요 공중보건문제이다1).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사이에 18.4%가 증가해 2015년에는 전세계 약 3억 2200만 명이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이란? 우울증은 지속적으로 우울한 기분 또는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 나타나고, 이는 사회적/직업적 지장을 초래함으로써 다양한 육체적, 정신적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우울증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언급할 정도로 전 세계적 주요 공중보건문제이다1).
한의학에서는 우울증을 울증의 개념으로 치료하는데 그 근거는 무엇인가? 한의학에서는 과거부터 우울증을 울증의 개념으로 치료해왔다. 특히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의 우울장애의 하위 항목 중 주요우울장애와 지속성우울장애가 울증과 내용적으로 가장 근접하다. 주요우울장애의 증상 중 우울감과 수면 및 식욕장애, 피로와 무기력 등은 울증의 증상이 상당 부분 일치한다. 따라서 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한약을 우울증의 심리적, 신체적 증상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우울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정신신경학적 요인, 내분비대사성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한의학적으로 체질과 관련이 있고 정지불서, 기울화화 등의 병리기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Oh BH. Diagnosis and treatment of elderly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3 ; 46 : 808-14. 

  2. Hillhouse TM, Porter JH.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antidepressant drugs: from monoamines to glutamate. Experimental 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015 ; 23(1) : 1-21. 

  3. Madhukar HT, Rush AJ, Stephen RW, Andrew AN, Warden D, Ritz L et al. Evaluation of Outcomes With Citalopram for Depression Using Measurement-Based Care in STAR*D. Am J Psychiatry 2006 ; 163 : 28-40. 

  4. Lee EH, Jung IC. Anti-Depressive Effects of OnDam-Tang with Addition of Linderae Radix (ODT-L) after Chronic Immobilization Stress in C57BL/6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4 ; 28(4) : 403-410. 

  5. Lee SH, Kim BY, Kee JI, Kwen SJ, Chung DK. A Case of Mixed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 ; 14(2) : 127-34. 

  6. Mao QQ, Ip SP, Xian YF, Hu Z, Che CT. Anti-depressant-like effect of peony: a mini-review, Pharmaceutical Biology. 2012 ; 50 : 1, 72-77. 

  7. Dang H, Chen Y, Liu X, Wang Q, Wang L, Jia W, Wang Y. Antidepressant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s in the forced swimming test and chronic mild stress models of depression.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2009 ; 33 : 1417-1424. 

  8. Li YH, Kim DH, Lee TH. Effect of Mixture extracted from Bupleuri Radix and Physalidis Herba on the LPS-induced depression in Rat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5 ; 30(3) : 69-76. 

  9. Jung MH. Anti-stress effects of Sihosogansan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and the forced swimming test.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07 ; 22(2) : 127-134. 

  10. Wang Y, Fan R, Huang X. Meta-analysis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Chaihu-Shugan-San in depression. J Ethnopharmacol. 2012 ; 141(2) : 571-7 

  11. Woo JA, Nam YJ, Park YJ, Kwon YK. Review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Depression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Systematic Review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5 ; 29(6) : 458-466. 

  1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3. Kessler RC, Berglund P, Demler O, Jin R, Koretz D, Merikangas KR et al. The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NCS-R). JAMA 2003 ; 289 : 3095-3105. 

  14. Lee EH, Choi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 ; 24(4) : 435-450. 

  15. Kang HW, Jang HH, Kang IS, Moon HC, Hwang YJ, Lyu YS. A study on the Oriental-medical understanding of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1 ; 12(2) : 1-15. 

  16. Han YS. Study on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the modified storax pill by oral administration and aroma therapy. Dong-guk university. 2007 ; 44. 

  17. Ryu JM, Hwang UW, Kim JW, Chi SE, Kim EJ, Park EH. The effects of Jowiseungchungtang versus fluoxetine in the chronic mild stress model of depression in rat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 ; 15(1) : 43-64. 

  18. Hwangyuwan. Syunclein medicine. Seoul:Modern Medical books. 1987 : 505-529, 607-611. 

  19. Korean Oriental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Oriental Neuropsychiatry. Gyeong-gi:jipmoon. 2005 : 254-6, 482-6. 

  20. Lee SH, Kim BY, Kee JI, Kwen SJ, Chung DK. A Case of Mixed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 ; 14(2) : 127-34. 

  21. Dean J, Keshavan M. The Neurobiology of Depression: an Integrated View. Asian Journal of Psychiatry 2017 ; 27 : 101-111. 

  22. Nestler EJ, Barrot, DiLeone RJ, Eisch AJ, Gold SJ, Monteggia LS. Neurobiology of depression. Neuron. 2002 ; 34 : 13-25. 

  23. Baldinger P, Lotan A, Frey R, Kasper S, Lerer B, Lanzenberger R. Neurotransmitters and electroconvulsive therapy. J ECT 2014 ; 30 : 116-121. 

  24. Haase, J, Brown E. Integrating the monoamine, neurotrophin and cytokine hypotheses of depression - A central role for the serotonin transporter?.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15 ; 147 : 1-11. 

  25. Capuron L, Miller AH. Immune system to brain signaling: neuropsychopharmacological implications. Pharmacol Ther. 2011 ; 130 : 226-238. 

  26. Khairova RA, Machado-Vieira R, Du J, Manji HK. A potential role for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egulating synaptic plastic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Int J Neuropsychopharmacol. 2009 ; 12 : 561-578. 

  27. Kubera M, Obuchowicz E, Goehler L, Brzeszcz J, Maes M. In animal models, psychosocial stress- induced (neuro)inflammation, apoptosis and reduced neurogenesis are associated to the onset of depression.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1 ; 35 : 744-759. 

  28. Dantzer R, O'Connor JC, Freund GG, Johnson RW, Kelley KW. From inflammation to sickness and depression: when the immune system subjugates the brain. Nat Rev Neurosci. 2008 ; 9 : 46-56. 

  29. Menard C, Hodes GE, Russo SJ. Pathogenesis of depression: insights from human and rodent studies, Neuroscience. 2016 ; 321 : 138-162. 

  30. Teper E, O'Brien JT. Vascular factors and depression. Int J Geriatr Psychiatry. 2008 ; 23 : 993-1000. 

  31. Newton SS, Fournier NM, Duman RS. Vascular growth factors in neuropsychiatry. Cell Mol Life Sci. 2013 ; 70 : 1739-1752. 

  32. Kolb B, Whishaw IQ. Fundamentals of Human Neuropsychology. New York : N.Y Worth Publishers 2009. 

  33. Mulligan SJ, MacVicar BA. Calcium transients in astrocyte endfeet cause cerebrovascular constrictions. Nature. 2004 ; 431 : 195-199. 

  34. Argaw AT, Asp L, Zhang J, Navrazhina K, Pham T, Mariani JN, Mahase S, Dutta DJ, Seto J, Kramer EG, Ferrara N, Sofroniew MV, John GR. Astrocyte-derived VEGF-A drives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in CNS inflammatory disease. J Clin Invest. 2012 ; 122 : 2454- 2468. 

  35. Argaw AT, Gurfein BT, Zhang Y, Zameer A, John GR. VEGF-mediated disruption of endothelial CLN-5 promotes blood-brain barrier breakdown. Proc Natl Acad Sci U S A. 2009 ; 106 : 1977-1982. 

  36. Warner-Schmidt JL, Duman RS. VEGF is an essential mediator of the neurogenic and behavioral actions of antidepressants. Proc Natl Acad Sci USA. 2007 ; 104 : 4647-4652. 

  37. Wedrychowicz A, Zajac A, Pilecki M, Koscielniak B, Tomasik PJ. Peptides from adipose tissue in mental disorders. World J. Psychiatry. 2014 ; 4:103-111. 

  38. Duman RS, Aghajanian GK, Sanacora G, Krystal JH. Synaptic plasticity and depression: new insights from stress and rapid-acting antidepressants. 2016 ; 22(3) : 238-249. 

  39. Agudelo, L.Z. et al. Skeletal muscle PGC-1 1 modulates kynurenine metabolism and mediates resilience to stress-induced depression. Cell. 2014 ; 159: 33-45. 

  40. Foster JA, Neufeld KAMV. Gut-brain axis: how the microbiome influences anxiety and depression. Trends in Neurosciences. 2013 ; 36(5) : 305-312. 

  41. Kim YH, Kim IR, Chi GY. A study on interpretative basis of brain as a place of mental function in oriental medicin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2 ; 16(5) : 881-887. 

  42.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Oriental Neuropsychiatry texbook, 경기:집문당. 2005 : 251. 

  43. The CPG compilation committee for EBM-based dpression. CPG for Oriental treatments of depression. Daejeon, Korea. 2015 

  44. Seong WY. A Study of Chiljeong in the Canon of Internal Medicin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 ; 24(4) : 451-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