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연예술산업의 유통부문 지원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Public Support for Performing Arts Industry's Distribu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176 - 186  

김선영 (경희대학교 공연예술학과) ,  이의신 (서울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원에 상당부분 의지하여야 하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공연예술산업의 문제점들을 타개할 방안 또는 개선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창제작-유통-소비 등으로 이루어진 공연예술산업의 가치사슬 중 유통부문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음을 인식하고 유통 부문 발전 및 개선점을 찾기 위한 방안을 모색코자 하였다. 특히 정부 지원 중 공연 유통의 메인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공연장 중심의 지원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유통 부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산업과 동 산업의 가치사슬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공연예술산업 유통의 구조와 주체, 현황을 분석한 이후, 정부 등 공공의 유통부문 지원 규모와 지원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전한 공연예술 생태계가 되기 위해서는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각 주체의 균형 발전과 공진화가 필요하고, 2014년 기준 2.7%에 불과한 정부 및 공공의 유통 매개분야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또한 기획사와 같은 유통 주체의 양성과 전문성 향상이 제고되어야 한다. 더불어 공연 영상 등 공연장 이외의 플랫폼 확대를 비롯한 유통의 다각화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improvements or solutions of problems in the field of the performing arts that relies on public support and faces economic difficulties. Considering the value chain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s comprised of Creation-Distribution-Consumption is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화체육관광부의 ‘2014 공공민간 예술지원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정부의 유통지원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연예술산업에 있어서 이제까지 창·제작 및 소비 영역에 치우쳐왔던 정부 및 공공 지원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 예술경영지원센터, 국악방송,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이하 한문연) 등 국공립기관에 의해 진행되는 ‘2017 문예진흥기금 공모사업’을 살펴보고 공연예술산업의 ‘유통’부문에 대한 정부지원 현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코자 하였다.
  • 본고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으며 지원에 상당부분 의지하여야 하는 공연예술의 문제점들을 타개할 방안 또는 개선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창·제작-유통-소비로 이루어진 공연예술산업의 가치사슬 중 유통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음을 인식하였다.
  • 본고는 이를 위해 공연예술산업의 정의와 가치사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공연예술산업 유통의 현황 분석을 통해 정부 유통지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기존의 공연예술산업 유통에 대한 문헌연구와 자료조사와 함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자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 본고는 이상과 같은 여러 방안들 중에서 정부의 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할 방안들로 유통지원의 규모를 우선 확대해야 하고, 유통부문에 특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기존 공연장 일변도에서 벗어나 다각화된 유통 플랫폼 확보를 위한 지원 등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먼저 각 기관에서 진행하는 지원을 창·제작 부문과 유통부문으로 그 내용을 나누면 Table 1과 같다. 이 중 공연예술의 대표적인 지원기관인 예술위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지원사업과 한문연의 주요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예술위의 국내 유통지원사업으로 공연예술행사에 대한 지원, 공연장 대관지원, 비평부문지원, 인력양성지원 등이 있다.
  • 이를 바탕으로 유통 부문 발전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되, 특히 공연장을 중심으로 한 공연작품의 창·제작과 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정부의 공연예술산업 지원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유통기반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의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의 공연예술산업에서는 단순한 국제교류와 해외진출 개념이 혼재되어 있거나 구분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해외진출은 네트워크 구축 및 인지도 확산 단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상태 즉 손익을 따지는 상호교환과 시장 확장을 위한 공동제작, 그리고 이러한 토대를 기반으로 한 현지 진출에 의한 이익추구단계를 최종 목표로 한다. 글로벌시장을 타겟으로 하여 협소한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지시장 조사 등 해외진출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개발 및 적극적 실천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가 공연예술분야의 지원의 대부분을 어디에 쏟아 왔는가? 지금까지 우리 정부의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지원은창·제작과 교육 영역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정부가 1974년에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을 시작한 이래 공연예술 지원의 대부분을 예술가와 예술단체의 창작지원에 쏟아 왔으며(이용관, 1999),[1] 이러한 상황은 현재까지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하지만 사회학자 맹거(P.
공연예술산업이란 무엇인가? 공연예술산업은 공연의 기획 및 창·제작에서부터, 마케팅, 배급, 티켓 판매활동 등 유통영역 그리고 최종소비자의 향유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말한다. 공연 장르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대중음악 콘서트 등 대중예술을 포함하는 콘텐츠산업으로서의 공연예술산업과 순수기초예술만을 대상으로 하는 협의의 공연예술산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연예술산업은 공연 장르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공연예술산업은 공연의 기획 및 창·제작에서부터, 마케팅, 배급, 티켓 판매활동 등 유통영역 그리고 최종소비자의 향유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말한다. 공연 장르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대중음악 콘서트 등 대중예술을 포함하는 콘텐츠산업으로서의 공연예술산업과 순수기초예술만을 대상으로 하는 협의의 공연예술산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산업적 규모와 구조를 갖추고 있거나 갖추어가고 있다고 여겨지는 대중콘서트나 뮤지컬 등을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때 순수공연예술 장르는 포함되기도 하고 배제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 G. Lee, "Necessities and the methods of enlarging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performing art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11, p. 240, 1999. 

  2. D. Throsby, Economics and Culture, p. 48, p. 179, p. 174, p. 175, Hanul, 2008. 

  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ultural Industry White Paper, KCTI, 2008. 

  4. S. O. L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Euryu munhwasa, 2000. 

  5. S. Y. Lee, Theatre management and performance of production, p. 279, Yuksanet, 2002. 

  6. H. I. Kwon, "A Study on Convergence Service Model of Game Industry using Value Chai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18, p. 27, 2009. 

  7. E. J. Kim, Y. H. Kwon,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Network Analysis of Regional Cultural Industry : Limited Application of Value Chain",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4, no. 3, p. 29, 2012. 

  8. H. S. Kim, "The Effects of the Revitalization Factors in Domestic Classical Music Marke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using Industry Ecosystem Analysis: Focused on Market Provider Types", Kyung-Hee Univ., p. 31, p. 98, p. 96, 2016. 

  9. J. M. Ko, Issue Paper: Industrialization in the performing arts, SERI, p. 13, 2003. 

  10. E. Y. Jang, Fashion Distribution Marketing, Kyohakyungusa, p. 72, 2008. 

  11. N. K. Yu, The Methology to Envigorate Distribution of the Performing Arts, KAMS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p. 16, 2011. 

  12. Choi, Jun-Ho, The Methology to Envigorate Distribution of the Performing Arts, KAMS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p. 5, 2011. 

  13. 2014 A Survey on Public Support for Arts. 

  14.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Homepage. 

  15. ARCO, 2017 Guidebook on Applying for Public Contest of National Arts Fund, ARCO, 2016 

  16. J. W. Park, "A Study on Legalization for Art Industrialization", p. 40, KCTI,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