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당뇨환자에서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과 당화혈색소 조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Control and Diabetes Self-care Knowledge, Competenc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n Diabetes elder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357 - 366  

이송흔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가관리 효능감, 자가 관리 행위와 삶의 질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로 D시에 소재한 시민건강증진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60세 이상의 당뇨노인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의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자가관리 지식은 $6.99{\pm}2.17$점, 당뇨 자가관리 자신감은 $71.27{\pm}10.21$점, 당뇨 자가관리 행위는 $62.78{\pm}1.29$점, 삶의 질은 $0.86{\pm}0.11$점으로 조사되었다.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간에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삶의 질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 자가관리 행위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17, p=.031), 자가관리 행위는 교육수준(t=2.17, p=.031), 시민건강증진실 방문횟수(t=16.497, p=.001) 및 BMI(t=.01, p=.01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앞 선 세 변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당화혈색소 수치와 당뇨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결과를 근거로, 당뇨 노인의 지식수준과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될 것을 제언한다. 아울러, 지역사회 당뇨 환자들이 바람직한 당뇨 자가관리를 꾸준히 시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접근성이 높은 건강관리 기관이 도처에 마련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abetes self-care (DSM) knowledge, DSM competence, DSM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HbA1c control in diabetic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205 diabetes elderly who visited the citizen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in D city, Korea. Data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당뇨노인의 당화혈색소 수준, 당뇨지식, 당뇨 자가관리 자신감, 당뇨 자가관리 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당뇨지식, 자가관리 자신감과 자가관리 행위,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일반적 특성과 당뇨자가관리 지식, 자가관리 자신감 및 당뇨자가관리 행위와 삶의 질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당뇨자가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당뇨노인의 자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 조절군과 비조절군의 일반적 특성과 당뇨자가관리 지식, 자가관리 자신감 및 당뇨자가관리 행위와 삶의 질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당뇨자가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당뇨노인의 자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당뇨노인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당뇨 자가관리 자신감, 당뇨 자가관리 행위와 당화혈색소 수치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 당화혈색소 조절에 따른 제 변수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되어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당뇨 자가관리 정도, 자가관리 지식수준 및 자가관리 자신감 정도를 파악하고 대한당뇨병협회의 기준인 당화혈색소 6.5미만을 기준으로[30], 당화혈색소가 잘 조절되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군의 일반적 특성, 당뇨지식, 자가관리 자신감 및 자가관리 행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당뇨노인을 위한 효율적인 자가관리 중재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이 낮은 이유는? 당뇨환자의 적극적 자가관리는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므로[3], 대상자의 지속적인 자가관리는 당뇨병 관리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은 당뇨가 없는 대상자에 비하여 낮은데, 이는 질병관리를 위해 평생 혈당을 조절해야 한다는 부담감,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반복되는 입퇴원과 노동력 상실, 경제적 부담 등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4]. 이렇듯 당뇨병 환자에게 지속적인 자가관리는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질병의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질환의 특성상 질병관리에 대한 환자 자신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고 약물복용을 비롯한 식이, 운동, 발관리 등의 변화된 생활양식을 대상자의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노인인구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 자가관리 기능이 악화되는 이유는? 이렇듯 당뇨병 환자에게 지속적인 자가관리는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질병의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질환의 특성상 질병관리에 대한 환자 자신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고 약물복용을 비롯한 식이, 운동, 발관리 등의 변화된 생활양식을 대상자의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노인인구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 자가관리 기능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5], 당뇨병이 있는 대부분의 노인들은 유병 기간이 길기 때문에 자신이 당뇨병에 대하여 이미 충분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여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한 행동 변화의 의지가 적어지며[6,7], 노년 환자 및 취약 계층일 경우에 일반 성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학력이 낮아 예방적 의료행위나 자가관리가 부실할 수 있다[7,8]. 그러나, 당뇨병을 가진 노인에게 있어서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는 부적절한 혈당반응을 촉진시켜 합병증의 발생을 가속화하므로 더 주의깊은 관심과 철저한 자가관리가 필요하다[9].
당뇨 환자의 생리적 지표인 당화혈색소 검사의 장점은? 당화혈색소(HbA1c) 검사는 적혈구에 결합된 당의 수치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최근 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여러 요인들에 의해 변동이 생길 수 있는 일시적인 혈당검사와 달리 혈당 조절이 중요한 당뇨 대상자에게서 장기간의 혈당 조절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당뇨자가관리 행위를 증진하는 것은 당화혈색소가 감소되는 것을 입증하였 다[27-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orth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2))(2010). Available from: http://kahanes.cdc.go.kr/(accessed 2010 Oct26) 

  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2015). [Internet]. 2009's first quarter medical cost statistic. [cited September 10, 2009],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ommon/dummy.jsp. 

  3. Y. S. Park, S. H. Ry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Registered at Public Health Center",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3, no. 4, pp. 679-688, 2002. 

  4. Y. S. Park, B. H. Lee, J. S. Kim, J. J. Yoo, J. K. Lee, J. K, M. K. Lee,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to metabolic and glycemic control among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26. pp. 744-751. 2005. 

  5. A. J. Karter, A. Ferrara, J. A. Darbinian, L. M. Ackerson, J. V. Selby,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anguage and financial barriers in a managed care population with diabetes. Diabetes care", vol. 23, no. 4, pp. 477-483, 2000. 

  6. G. A. Choi, S. M. Jang, H. W. Nam,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Korean Diabetes Journal, vol. 32, no. 3, pp. 280-289. 2008. DOI: https://doi.org/10.4093/kdj.2008.32.3.280 

  7. S. A. Shumaker, J. K. Ockene, K. A. Rietert, (2009). The handbook of health behavior change (3rd ed.). New York, NY: Springer, 1998 

  8. J. J. Sudano, D. W. Barker, "Explaining US racial/ethnic disparities in health declines and mortality in late middle age: the roles of socioeconomic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insuranc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62, no. 4, pp. 909-922, 2006. 

  9. Y. E. Kwon, Y. S. Kim, "Factors Related to Self-Management the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in a Community-Dwe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 Environment System. vol. 18, no. 1, pp. 92-100. 2011. 

  10. L. K. Wen, M. D. Parchman, M. L. Shepherd, "Family Support and Diet Barriers Among Older Hispanic Adults With Type 2 Diabetes", Clinical Research and Methods, vol. 36 no. 6, pp. 423-430, 2004. 

  11. Y. R. Lee, M. A. Kang, P. G. Kim,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4, no. 1, pp. 12-19. 2008. 

  12. S. F. V. Wu, M. Courtney, H. Edward, L. M. Shortridge-Baggett,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self-care behaviour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6, no. 11c, pp. 250-257.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930.x 

  13. Misra, R., Larger, J. (2008).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2(3), 217-223. DOI: https://doi.org/10.1016/j.jdiacomp.2006.09.002 

  14. M. Torento, P. Passera, M. Tomalino, M. Bajardi, F. Pomero, A. Allione P. Vaccari, G. M. Molinatti, M. Prta, "Group visits improve metabol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a 2-year follow-up", Diabetes Care, vol. 24, no. 6, pp. 995-1000, 2001. DOI: https://doi.org/10.2337/diacare.24.6.995 

  15. M. O. Gu, "A Structual Model for self 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2. 

  16. M. M. Funnell, T. L. Brown, B. P. Childs, L. B. Haas, G. M. Hosey, B. Jensen, M. Maryniuk, M. Peyrot, J. D. Piette, D. Reader, L. M. Siminerio, K. Weinger, M. A. Weiss,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ibetes Care, vol. 33(Suppl 1), S87-S94. 2001. DOI: https://doi.org/10.2337/dc10-S089 

  17. D. J. Bruce, G. P. Casey, V. Grange, R. C. Clamett, O. P. Almeida, J. K. Forster, F. J. Ives, T. M. Davis, "Cognitive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diabetic patients: the Fremantle cognition in diabetes study",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61, pp. 59-67, 2003. 

  18. R. E. Glasgow, V. L. Osteen, "Evaluating Diabetes Education: Are we measuring the most important outcomes?" Diabetes Care, vol. 15, no. 10, pp. 1423-1432, 1992. DOI: https://doi.org/10.2337/diacare.15.10.1423 

  19.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97. 

  20. S. J. Loeb, D. Steffensmeier,C. Kassab, "Predictors of self-efficacy and self-rated health for older male inmat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7, no. 4, pp. 811-820, 2011. 

  21. M. O. Gu, "The Effect of a Self Reg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omotion & Maintenance of Self Care Behavior in the Chronically ill patients-For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6, pp. 413-427. 1991. 

  22. Y. I. Cho,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octorol disser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04. 

  23. S. J. hang, "Structual Eqation Model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octorol disser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0. 

  24. L. I. Aljasem, M. Peyrot, L. Wissow, R. R. Rubin, "The impact of barriers and self efficacy on self 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vol. 27, no. 3, pp. 393-404, 2001. DOI: https://doi.org/10.1177/014572170102700309 

  25. K. M. Nelson, L. McFarland, G. Reiber, "Factors influencing disease self management among veterans with diabetes and poor glycemic contro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 22, no. 4, pp. 442-447. 2007. 

  26. K. J. Kang, S. J. Yu, H. M. Seo, M. Yu, M. S. Park, H. C. Jang, "Factors influencing self management behavio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4, no. 2, pp. 112-121, 2012. 

  27. C. Y. Osborn, L. E. Egede, "Validation of a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of diabetes self-care (IMB-DSC)",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 79, no. 1, pp. 49-54. 2010. DOI: https://doi.org/10.1016/j.pec.2009.07.016 

  28. G. C. Williams, Z. R. Freedman, E. L. Deci, "Supporting Autonomy to Motivate Patients With Diabetes for Glucose Control", Diabetes Care. vol. 21, no. 1, pp. 1644-1651, 1998. DOI: https://doi.org/10.2337/diacare.21.10.1644 

  29. H. Y. Kang, M. O. Gu,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Behavior, Diabetes-related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9, no. 2, pp. 168-178, 2012. 

  3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mellitu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31. I. T. Fitzgerald, M. M. Funnell, G. E. Hess, P. A. Barr, R. M. Anderson, R. G. Hiss, W. K. Dav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diabetes knowledge test", Diabetes Care, vol. 21, no. 5, pp. 706-710, 1998. DOI: https://doi.org/10.2337/diacare.21.6.706 

  32. S. Y. Choi, "Structual Equation Modeling of Self-management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octorol disser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2. 

  33. M. Peyrot, M. Peeples, D. Tomky, D. Charron-Prochownik, T. Weaver, "Developmen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Diabetes Educators' Diabetes Self-management Assessment Report Tool", The Diabetes Educator, vol. 33, no. 5, pp. 818-826, 2007. DOI: https://doi.org/10.1177/0145721707307614 

  34. D. J. Toobert, S. E. Hampson, R. E. Glasgow,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Results from 7 studies and a revised scale", Diabetes Care, vol. 23 no. 7, pp. 943-950, 2000. 

  35. S. J. Chang, M. S. So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21, no. 2, pp. 235-244, 2009. 

  36. C. E. Ferrans, M. J. Power, "Quality of life i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8, no. 1. pp. 15-24, 1985. 

  37. T. H.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2012. 

  38. Y. K. Lee, H. S. Nam, K. Y. Kim, H. K. Yang, I. S. Kwon,P. Kind, S. S. Kweon, Y. T. Kim,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Health, vol. 12, no. 8, pp. 1187-1193, 2009. 

  39. S. S. Chung, K. H. Joung,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the Home-dwelling Disabled Persons by using EQ-5D: Results from the 3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vol 22. no 3. 291-302. 2005. 

  4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7). The guideline of diabetic education. Seoul; Gold Publishing. 

  41. N, Y, Sohn, J. H. Yang,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Behaviors Related to Insulin Therapy in Elder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Academy Fundamental Nursing, vol. 20, no. 1, pp. 27-36, 2013. 

  42. K. S. Kim. G. W. Ko, "Factors Association with th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4, pp. 961-973, 2012. 

  43. J. D. Fisher, W. A. Fisher, "Changing AIDS-Risk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vol. 111, no. 3, pp. 455-474, 1992.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11.3.455 

  44. P. Kind, G. Hardman, S. Macran, "UK population norms for EQ-5D (Vol. 172). York: Centre for Health Economics, University of York, 1999. 

  45. H. R. Kim, "Predicting Factor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t Senior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vol. 16, no. 2, pp. 95-106, 2014. 

  46. Y. H. Chung, Y. H. Cho,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40, no. 1, pp. 55-64, 2014. 

  47. J. C. Bae, E. J. Rhee, E. S. Choi, J. H. Kim, W. J. Kim, S. H. Yoo S. E. Park, C. Y. Park, W. Y. Lee, K. W. Oh, S. W. Park, S. W. Kim, "The Cutoff Value of HbA1c in Predicting Diabetes in Korean Adult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n Diabetes Journal, vol. 33, no. 6, pp. 503-510. 2009. DOI: http://dx.doi.org/10.4093/kdj.2009.33.6.503 

  48. Y. Y. Choi, H. S. Sohn, H. T. Sin, "Clinical benefits of self 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non-insulin treat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armacology, vol. 20, no. 3, pp. 183-192, 2010. 

  49. H. Nam, M. H. Shin, S. S. Kweon, H. S. Oh, J. A. Rhee J. S. Choi,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in an Urban A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12, no. 3, pp. 115-122. 2012. 

  50. J. H. Kim, S. A. Jang, S. A.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ournal, vol. 33 pp.518-52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