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농촌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on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4, 2017년, pp.75 - 90  

박준규 (경성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민수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영하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the seats of Eup and Myeon and regional unit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on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against local residents living in areas subject to those projects by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내 일반농산어촌개발 사업 중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과 권역단위 종합정비 사업이 최근 완료된 지구의 지역주민 인식조사를 토대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농촌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인식 요인을 규명하고, 공분산구조분석에 의한 영향 정도를 파악했다. 그 결과,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농촌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인식 요인으로 ‘공간환경 개선’, ‘농촌 지역활력 증진’, ‘공동체 활동 활성화’로 분석되었으며, ‘공간환경 개선’에 대한 요인 기여율이 5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괄보조금제도가 도입된 이유는? 우리나라의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은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최근 상향식 사업운영(Bottom-up) 등 지역맞춤형 발전모델로 사업이 고도화 되는 등 운영방식과 사업의 형태가 변화되어 오고 있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이러한 변화 속에서 2010년부터 지방의 자율성 부족, 유사 중복사업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지자체 실정에 맞는 사업을 자율적으로 기획·설계할 수 있는‘포괄보조금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농어촌 지역개발사업도 기존 각 부처에서 분산하여 추진해오던 것을 일원화하여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으로 주민 참여에 의한 상향식 공모 방식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의 긍정적 효과는? 2004년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과 농산어촌 지역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농어업인 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된 농어촌 지역개발사업들로 인하여 교통 및 인프라의 확산 영향으로 접근성 및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인구 증대 및 유지에 일정부분 기여, 방문객 증가, 직접소득 증가, 지역주민의 외부교육 증가,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사업성과가 있었다.(Lee, 2011; Center for Agricultural Policy Evaluation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Do and Joo, 2016) 그러나,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생활환경 개선 위주의 획일적·물리적 사업에 편중된 사업추진 및 사후 활성화 프로그램 미흡, 지역주민과 지자체의 무관심 등 부정적 지적도 있다.
포괄보조금제도에 따라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의 시행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에 따라 농어촌 지역개발사업도 기존 각 부처에서 분산하여 추진해오던 것을 일원화하여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으로 주민 참여에 의한 상향식 공모 방식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시행하고 있던 소도읍육성사업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전원마을조성사업 및 주거환경개선사업, 농촌생활환경정비 및 농업생산기반조성사업은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으로 통합되어 읍·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과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 신규마을 조성 및 재개발사업, 기초생활인프라정비사업으로 통합·변경 되었으며, 이중 읍·면소재지종합정비사업과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은 2015년부터는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과 창조적마을만들기사업으로 개칭하고, 사업의 추진방향, 내용, 지원방식의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S. Y.(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o Resident Satisfaction in Rural Village Making : Focusing on the Rural Villag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 Ahn, J. H.(2013), Analysis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in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3. Campbell, A. P. E. Converse and W. L. Rogers.(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 and Satisfaction, New York; Russell Sage Eoundation, 217-314 

  4. Center for Agricultural Policy Evaluation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16), 2016 Support Business Monitoring : the Rural Development, KREI Scenc Brief, 2, 1-13. 

  5. Chae, J. H.(2010), Analysis on the Economic Accomplishment and Spill-Over Effect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6. Cho, J. S.(2009), Performance and Problem Analysis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Case Study of the Income Project in Gurye Banggwang Vill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4), 109-124 

  7. Han, K. S et al.(2007),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Interim Check of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2), 121-132 

  8. Heo, J. Y. and Lee, S. G.(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articipation for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ith Reference to the Gyeongbuk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3), 45-70 

  9. Ji, K. B.(2010), A Study on the QOL of the Gangwon-do Residents-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Objective Index- , Gangwon collection of treatises 1, 139-158 

  10. Jin, E. J.(2014), An Analysis on the Master Plan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n Gyeongnam Provinc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11. Joo, D. J. and Kim, j. M.(2004), Exploring Methodologies for Facilit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t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1(2), 303-320 

  12. Joo, S. H.(2008), A proposal of rural landscape policy for preservation, forma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14, No.4, 77-86 

  13. Jung, M. H et al.(2011), Research of Participate and Revitalization Plan for Development of rural village Local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3(3), 45-52 

  14. Kim, D. S. and Lee, S. H.(2011) Characteristics Analysis on Budget Distribution of Master Plan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of Rural Vill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1), 13-27 

  15. Kim, E. J et al.(2012), An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 System Geared towards Comprehensive Rearrangement Projects in Seats of Township and Town Offices - Based on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 System of Small Town Promotion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4(1), 45-56 

  16. Kim, H. C.(2007), Estimating Public Physical Development Project from the Viewpoint of Urban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9(3), 23-42 

  17. Kim, K. H et al.(2006), Development of An Interim Evaluation System for Integrated Rural Village Cluster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2), 65-73 

  18. Kim, K. S.and Jun, T. K.(2009),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1(4), 59-66 

  19. Kim, J. G.(2001), A Study on Indicators for Kyonggi-Do People's Quality of Lif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 Kim, J. W.(2017),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and Performance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s : Focused on the Jeonnam Rural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9(1), 11-22 

  21. Kim, J. W.(2006),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Its Improvement in Rural Gangwon-do, Gangwon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22. Kim, Y. R.(2008),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Focused on Wanju Digital Sannaegol,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5(3), 499-531 

  23. Kim, Y. T.(2008), Development of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for Rural Community Facilities,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4. Lai, T. L. and Ying, Z.(1992), Linear rank statistics in regression analysis with censored or truncated data, Journal Of Multivariate Statistics, 13-45 

  25. Lee, H. J.(2012),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Rural Development Programs and their Implications o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22(2), 7-48 

  26. Lee, J. H.(2008), An Analysis of Comprehensive Rural Clustered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about Types of Rural Community,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Master's thesis 

  27. Lee, J. J. and Lee, S. M.(2003), Analysis on the Factors Motivating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Rural Village Program,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3), 39-55 

  28. Lee, J. Y.(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Rural Development Project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9. Lee, S. H.(2011), The Performance Analysis of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7(1), 177-195 

  30. Lee, Y. T.(2004),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Tourism Policy:Addressing Tourism Policy Issu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8(3), 143-160 

  31. Lee, Y. J. and Kim, S. J.(2011), A Study on the Project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Efficient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n Block Grants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1), 57-62 

  3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14),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Complete Reg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21 

  33. Olsen, Marvin E. & Aonna J, Merwin.(1977), Toward a Methodology for Conducting Social Impact Assessments Using Quality of Life Indicators 

  34. Park, D. S. and Choi, K. H.(2002),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35. Park, D. S. and Ma, S. J.(2007), A Study on the Develop an Index of Quality of Life in Urban and Rural Areas, Rural Economic, 30(4), 31-55 

  36. Park, H. S et al.(2008), Contents Analysis on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ith Focus on Project Regions during 2004-200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121-128 

  37. Park, S. J.(2013),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a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Phase of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CRVDPs)-In Case of 5 CRVDPs in Jeonnam Provinc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38. Park, Y. S.(2009),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to Residents'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in Rural Tourism Village,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39. Roh, H. J.(2007),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by SPSS. Hyosan.(노형진(2007) Spss에 의한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분석. 효산.) 

  40. Seong, T. J.(2014),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easy-to-understand SPSS/AMOS -2 edition-. Hakjisa.(성태제(2014)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41. Sohn, S. Y.(2005), A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42. Woo, J. P.(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woojongpil professor. hannarae.(우종필(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가 이해. 한나래출판사.)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