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전수교육관의 문화융합을 위한 공간 개선 연구
A Study of Improve Space for Culture Convergence of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aching hal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1, 2017년, pp.299 - 306  

이상희 ((사)우리문화유산연구원) ,  전칠수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의 대형화와 복합화 추세에 있어, 교육 외에도 방문객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 다양한 문화생활 지원을 위한 복합화의 방법,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무형문화재 전수시설로서 공공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중소도시의 경우 무형문화재전수시설은 전반적으로 복합화와 공공성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미비한 상태여서, 전수교육관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이 더욱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도권 및 광역권 등의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에 3곳의 전수교육관에 대한 방문조사를 통해 사용자 관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건립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전수교육관이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공공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도록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grams for visitors as well as those for teaching, ways on how to make these halls a culture complex that can support diverse cultural activities for citizens, and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utilization for the public as an facility open to th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무형문화재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역사와 문화생활 향상의 지표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갖는 것이다. 전수교육관을 보다 지역 사회에서의 활성화된 무형문화재전수시설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에 대한 고찰, 지방 중소도시 전수교육관에 대한 방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에 현황과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조사대상 전수교육관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우선 살펴보면, 각 전수교육관의 시설 공간구성에 있어서의 차별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형문화재란? 전통문화요소 중에는 연극, 무용, 음악, 공예 등의 기술처럼 구체적인 형체가 없는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을 무형문화재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과거 지역민의 생활과 밀착되어 주민들에게 전승되어 왔으나, 산업사회로 넘어가면서 도시화, 서구화로 새로운 생활방식을 받아들여 주민 생활 전반에 변화와 함께 무형문화재도 그 틀이 변형되거나 사라지고 있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전통문화 전승보존에 중요한 이유는? 무형문화재 제도가 전통문화 전승보존에 기여하였다는 것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유형문화재와 달리 무형문화재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남아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그 소멸의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제도적인 보호가 전통문화를 지키는 가장 유효한 수단 중에 하나이다.
무형문화재 전승 환경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는? 전통문화요소 중에는 연극, 무용, 음악, 공예 등의 기술처럼 구체적인 형체가 없는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을 무형문화재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과거 지역민의 생활과 밀착되어 주민들에게 전승되어 왔으나, 산업사회로 넘어가면서 도시화, 서구화로 새로운 생활방식을 받아들여 주민 생활 전반에 변화와 함께 무형문화재도 그 틀이 변형되거나 사라지고 있다. 전승 환경이 줄어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P. Lee, " Review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Achievement of ICH Safeguarding System, Cultural properties, Vol. 44 No. 4, pp. 18-41, 2011. 

  2. J. H. Lim, "A New Understanding and Creative Handing Down of a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Korean Folklore, pp. 237-285, 2007. 

  3. S. J. Jung, "Constitu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stitution and its historicity" The Korean Folklore, pp. 475-508, 2004. 

  4. S. M. Yoon, Study on Space Design of the Cultural & Arts Center for the Regional Culture Vitalization. Ewha Womans University, M.A. thesis, 2015. 

  5. S. H. Han, (A) Foundational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kines for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Hongik University, M.A. thesis, 2007. 

  6. J. M. Go,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model for performing arts centers. Hongik University, M.A. thesis, 2008. 

  7. J. H. Park,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of National and Public Performance Facilities: Based on U.E.C (Urban Entertainment Center) Success Stories" Korea Association Business Education, pp. 349-374, 2017. 

  8. E. J. Kim, E. K. Park, "A Study on the Program of Multi Purpose Cultural Facilities as Community Spac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4 No. 1, pp. 79-82, 2004. 

  9. http://www.nihc.go.kr 

  10. http://ilc.incheon.go.kr 

  11. www.cha.go.kr 

  12. www.iha.go.kr 

  13. www.djichc.or.kr 

  14. www.kpicaa.co.kr/ 

  15. www.chf.or.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