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보안성 품질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s of Security and Quality Evaluation of smart Healthcare Syst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251 - 259  

양효식 (삼일회계법인 IT Risk & Secur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헬스케어 산업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기술과 결합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기기, 플랫폼 등 정보통신 기술은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차세대 산업분야인 6T 중 가장 활발한 IT(Information Technology)와 BT(Bio Technology)간의 결합으로 차세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들이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이 다른 유기적 연동 여부와 보안성 품질 여부가 중요한 평가요소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특성 및 서비스 유형을 조사하고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기술 및 산업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평가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보안성 평가방법과 품질평가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품질 향상 및 신뢰도 높은 제품 개발을 유도 할 수 있으며, 기술보호 장벽에 대처 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that grafted the Internet of Things (IoT) onto the healthcare and medical services is being highlighted. Smart healthcare refers to the healthcare and medical services offer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application, wear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미국 최대 EHR 회사인 Epic와 제휴를 통해 다양한 대형 의료기관 환자들의 의료기록을 HealthKit와 통합함으로서 플랫폼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품질 평가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시장 및 기술,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기술적 요구사항 바탕으로 국제 품질평가규격인 ISO 25000 시리즈를 참조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성 품질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 보안성 및 안정성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로서 스마트 헬스케어의 고유 특징과 관련 시장 및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 헬스케어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보안성과 안정성 품질평가 기준과 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적합한 이유와 현재 발전 현황은?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발전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성장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우리 몸에 밀착되어 지속적으로 생체정보를 파악할 수있기 때문에 헬스케어 관련 디바이스로 적합하여, 이미애플의 ’애플워치‘, 삼성의 ’갤럭시 기어‘, Fitbit의 ’Charge2' 등 착용부위에 따라 안경형, 손목형, 의복형, 피부부착형 등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하면서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헬스케어 산업 시장이 더디게 성장하고 있는 이유는? 그러나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한 시장은 더디게 성장하고 있다. 관련 제도적 미비로 인해 원격진료서비스도 시범사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 업체들의 매출 규모 역시 크지 않은 편으로 주요 관련업체 11개의평균 매출액은 150억 원, 영업이익은 평균 13억 원 수준이다[3].
스마트 헬스케어란? 스마트 헬스케어는 웨어러블 기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등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이다.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심박수, 체온, 움직임, 전기전도 등 사용자의 생체 지표를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으로 전달해 사용자의 몸 상태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몸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생체 정보를 얻는데 간편하고 유용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H. Choi, "South Korea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falling behind", Business Korea. No.378, Jan. 2017. 

  2. Y.B. Cho, S.H. Woo, S.H. Lee, M.J. Kim, "A Secure Telemedicine System for Smart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1, No. 1, pp.205-214, 2017. 

  3. Valerie S. Prater, "Confidentiality, privacy and security of health information: Balancing interests," Article of Biomedical and Health Information Sciences, p.4. Dec. 2014. 

  4. S.H. Park, "The present and future of IoT-based Smart Healthcare Industry",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ol.44 No.2, pp. 24-28, 2017. 

  5. S.S. Sam, H.S. Yang, " Reliability Model for u-Health SW's BM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5, pp. 80-89, 2010. 

  6. H.S. Yang, S.W. Kang, "Evaluation Method of Mobile Commerc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141-151, 2015. 

  7. M.J. Nam,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Smart Health Care Product Design Industry Centered on IoT", Vol. 22, No. 1, pp. 115-126, 2016. 

  8. M.R. Baek, H.H. Choi, H.Y. Lee, "Age-Specific Acceptance Intention over Wearable Smart Healthcare Devi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8, No. 12, pp. 3171-3189, 2015. 

  9. J.L. Kim, "Smart Healthcare Technology Overview", (The)Magazine of the IEEK, Vol. 44, No. 2. 2017. 

  10. G.H. Lee, "Japan's smart healthcare policy trend", Local informatization magazine, Vol. 6, 2015. 

  11. K.S. Park, "Study on Methods to Invigorate Smart-Healthcare Services ", The e-business studies, Vol. 16, No.6, pp. 169-188, 2015. 

  12. H.Y. Lee, H.S. Yang, "Construction of Security Evaluation Criteria for Web Application Firewal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5, pp. 197-205, 2017. 

  13. S.W. Kang, H.S. Yang, "Quality Evaluation of Criterion Construction for Open Source Softwa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2, pp.323-330, 2013. 

  14. H.Y. Lee, H.S. Yang, "Development of Functional Suitability Evaluation Measure of DRM Softwa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6, pp. 293-300, 2016. 

  15. H.Y. Lee, H.S. Yang, "Development of Security Metric of Network Access Contro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6, pp. 219-22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