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이 결합된 미래 욕실 제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ture Bathroom Coupled with Smart Healthcare System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3, 2018년, pp.203 - 209  

이가영 (경희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이동민 (경희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헬스케어에 적합한 디바이스의 발전, 만성 질환자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니즈 증가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고,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화하는 의료 서비스 개념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현대 주거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주거 공간 속 욕실은 다양한 유형의 욕실 문화가 나타나면서 건강관리 공간으로 다원화되고 있다.[1] 따라서 디지털 의료 3단계를 적극 활용해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샤워기, 스마트 체중계 등의 미래 욕실 용품을 구상해 보고, 개개인의 니즈에 필요한 기술을 모색하였다. 변화하고 있는 욕실에 적합한 제품들을 구상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고 향후 국가적, 정책적인 개선을 통해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advances in healthcare-adapted devices,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and the increasing social needs due to aging, trigger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systems and present a new medical paradigm. As a result, moves are being made to accommodate the changing healthcare concept of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욕실이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과 접목되어 건강관리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그 기능이 의료 서비스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응하여 건강관리가 가능한 미래의 욕실을 예측하고 제품을 구상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현대인의 주거 공간 중 욕실은 단순 세면과 위생, 용변의 공간이 아닌 생활 공간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음은 물론, 건강관리의 역할로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이용해 향후 발전할 기술을 예측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국가적, 정책적인 개선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실이 복합 건강 관리 공간이라는 인식으로 변화한 원인은 무엇인가? 과거의 ‘화장실’은 건물의 뒤쪽에 있다는 뜻으로 ‘뒷간’ 이라 불리며 안방에서 가장 멀리 두어야 하는 공간이었 다. 하지만 주택시장과 소비자 의식의 변화와 소득수준 증가로 인해 현재 욕실에 대해 소비자와 시장이 갖는 의식은 과거 욕실에 대한 저급했던 인식에반해 복합 건강 관리 공간이라는 인식으로 입지가 올라갔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무엇인가? ‘스마트 헬스케어[smart healthcare]’란 헬스케어 산업과 사물 인터넷[IOT] 기술이 결합된 것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의사와 환자가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시간과 공간에 있어서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의료 서비스를 주고받으며 소통하는 기술이다.
스마트기기를 통해 자가 건강 측정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생긴 변화는 무엇인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일상에서 간단하고 쉽게 자신의 운동량과 식사량, 혈압 등 건강 상태의 기록과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정량적 수치를 기반으로 통계를 내어 스스로 건강 관리하려는 자가 건강 측정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6]. 이에 따라 병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바뀌는동시에 의료 서비스의 사용성이 환자에서 특정 질병이없는 일반인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 발판이 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 C. Park. H, K. Yoon & Y. S. Kim. (2009). A Study on the Types of a Smart Bathroom with a Smart-healthcare System.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0(4). 

  2. Y. S. Choi. (2017). How Digital Healthcare Is Implemented? (9) Medical data derived from patients. Choi Yoon Sup's Healthcare Innovation. 

  3. TTA.Mobile Healthcare. NAVER IT Glossary.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65185&cid503 73&categoryId5037 

  4. I. H. Jo & H. H. Kim. (2013). kt Economic Research Institute. Growth and Opportunities in the Smart Health Care Market. 2. 

  5. Smart healthcare activation and biotechnology industry engine project announcement.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2015). 

  6. I. H. Jo & H. H. Kim. (2013). kt Economic Research Institute. Growth and Opportunities in the Smart Health Care Market. 2. 

  7. I. H. Jo & H. H. Kim. (2013). kt Economic Research Institute. Growth and Opportunities in the Smart Health Care Market. 2. 

  8. G. H. Jo. (2016). Over 65 years old, only 12% of the population, medical expenses account for 37%. dongA.com. http://news.donga.com/3/03/20160225/76663076/1 

  9. u-Healthcare Industry Market and Company Analysis - Medical device and telemedicine centered. (2011). Korea Medical Device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58 

  10. S. G. Lee. (2013). Seongnam Industrial Promotion Foundation Responsible Researcher, "Smart health care industry trend", Weekly Technology Trends. 17-18. 

  11. Y. H. Choi & H. R. Jeong. (2015). Mobile world will pay attention Future smart health care industry. E-KIET Industrial Economic Information, 609. 10 

  12. A. R. Kim. (2004). Consumer Analysis Research for Future Bathroom Planning.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Housing and Environment thesis. Seoul 

  13. K. J. Shin. J. Y. Hwang & S. H. Moon. (2009). The Analysis on Tendency for Presenting a Syudy Direction of Bathroom. Hanyang University Dept. of Interior Design. Korean Life Science Research. Seoul, 1(46). 

  14. J. E. Lee. (2009). A Study on Korea Style Bathroom design elements to differentiat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thesis. Seoul. 111 

  15. E. G. Go. (2017). LG uplus to show the world's best things internet fan.. Daily Hankook. http://daily.hankooki.com/lpage/ittech/201703/dh20170323091523138240.htm 

  16. H. M. Song. (2015). The 'smart toilet seat' that provides health care by checking the urine volume appears. NowNews. http://daily.hankooki.com/lpage/ittech/201703/dh20170323091523138240.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