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을 매개효과로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in Life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ith Relationship Lo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339 - 349  

전지경 (한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외상 후 성장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권 대학교의 재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은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은 정신건강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외상 후 성장은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긍정적인 정신건강 형성을 위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외상 후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상담과정, 그리고 정책적 보완이 요구되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in life(ML) on the mental health(MH) of university students with relationship los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PTG). Data collected from 349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gcheong region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개념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권 지역의 4년제 대학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건강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49명의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건강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49명의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개념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권 지역의 4년제 대학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계 상실의 긍정적 측면은? 그러나 관계 상실의 경험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관계 상실을 경험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 현재 상황에 대한 감사, 생존자로 서의 자기감 확인, 새로운 역할에 따른 유익발견 등과 같은 긍정적 관점의 변화를 경험하기도 한다[12,13]. Dowdney[14]는 상실을 경험한 아동의 80%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정상 발달궤적을 따른다고 주장하면서, 상실경험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패러다임을 증명한 바 있다.
관계 상실이란? 누구나 인생의 과정에서 의미 있는 사람들과 크고 작은 관계의 상실을 경험한다. Carlson[1]은 관계 상실이란 인간이 가치 있게 여기는 어떤 대상과의 관계가 끊어지게 되어 더 이상 가까이 할 수 없게 되거나, 가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실제적 또는 잠재적인 상황이라고 정의하였다. 관계에서의 상실은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남긴다.
관계의 상실이 야기하는 부정적 감정은? 관계에서의 상실은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남긴다. 대표적인 부정적 감정으로는 죄책감, 수치심, 외로움, 공포, 당혹감, 깊은 슬픔, 절망감, 배신감, 무력감 등이 있다[2]. 또한 관계 상실의 경험은 일반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3], 우울장애[4] 혹은 자살[5]이나 죽음에 이르게 하는 요인이 되는 등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Carlson, C. "Behavioral concepts and nursing intervention loss." In chapter 4. 2nd ed. New York: Pres Press, 1978. 

  2. Anderson, H., & Mitchell, K. R. "All our losses, all our griefs: resources for pastoral care." Westminster John Know Press, 1983. 

  3. J. G. Ji, & K. R. Hwang, "A study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bereaved families of subway conflagration in Daegu."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Vol. 11, No. 1, pp97-112, 2008. 

  4. K. Park, "The medi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style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Vol. 4, No. 2, pp51-64, 2012. 

  5. K.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posttraumatic grow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 19, No. 4, pp281-292, 2011.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e report on the state of child abuse." 2012. 

  7. K. H. Kim, K. K. Chon, & J. S. Yi,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5, No. 2, pp316-335, 2000. 

  8. J. E. Jung, & E. J. S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 focusing on actor and partner effec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7, No. 5, pp399-420, 2016. 

  9. Y. H, Kim, & J. N. Kim, "Effects of solution-focused group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resilience, divorce recognition,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Vol. 21, No. 1, pp103-126, 2013. 

  10. M. S. Park,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suicidal risk group, and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5. 

  11. Y. H. Kim, M. S. Yang, & H. R. Park, "A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291-301, 2015. 

  12. Danforth, M. M., & Glass, J. C. " Listen to my words, give meaning to my sorrow: a study in cognitive constructs in middle-age bereaved widow." Death Studies, Vol. 25, pp513-329, 2001. 

  13. M. S. Yang, & J. K. Je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BigBang group counseling program-focusing on the process oriented psych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2, pp43-54, 2016. 

  14. Dowdney, L. "Annotation : childhood bereavement following parental death."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Vol. 41, No. 7, pp819-830, 2000. 

  15. Janoff-Bulman, R.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The Free Press, 1992. 

  16. Taylor, S. E.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 38, pp1161-1173, 1983. 

  17. Bond, M. J., & Feather, N. T. "Some correlates of structure and purpose in the use of tim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5, pp321-329, 1988. 

  18. Edwards, M. J., & Holden, R. R. "Coping, meaning in life, and suicidal manifestations: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57, pp1517-1534, 2001. 

  19. Yalom, Y. D.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1980. 

  20. Murphy, S. A., Braun, T., Tillery, L., Cain, K. C., Johnson, C. L., & Beaton, R. D. "PTSD among bereaved parents following theviolent deaths of their 12- to 28- year-old children: A longitudinal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12, pp273-291, 1999. 

  21. Chamberlain, K., & Zika, S. "Measuring meaning life: An examination of three sc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9, pp589-596, 1998. 

  22.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53, pp80-93, 2006. 

  23. Frankl, V. E. "Psychotherapy and existentialism."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1967. 

  24. Tedeschi, R. G., & Calhoun, L.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9, pp455-471, 1996. 

  25. Mindell, A. "The dreambody in relationship." Lao Tse Press, 2002. 

  26. J. Y. Song, "The effects of hope and life's meaning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on their posttraumatic growth."Master.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2010. 

  27. S. Y. Im, & S. M. Kwon, "T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Relational Loss on Character Maturation and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1, No. 2, pp427-447, 2012. 

  28. Sofka, C, J. "Loss History Checklist." In J. D. Maanino (Ed.), Grieving days, healing days, (p.20). Boston: Allyn & Bacon, 1997. 

  29. S. H. Somg, H. S. Lee, J. H. Park, & K. H. Ki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4, No. 1, pp193-214, 2009. 

  30. S. Y. Im, "The meaning reconstruction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relational loss." D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1.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2004. 

  32. D. R. Won, K. H. Kim, & S. J. Kwon,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0, No. 2, pp211-225, 2005. 

  33. Baron, R. M. &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1173-1182, 1986. 

  34. Cohen, K., & Cairns, D. "Is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associated with reduced subjective well-being? conformation and possible moder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 13, No. 2, pp313-331, 2012. 

  35. Pinquart, M. "Creating and maintaining purpose in life in old age: a meta analysis." Ageing International, Vol. 27, No. 2, pp90-114, 2002. 

  36. J. Y. Shin, Y. A. Lee, & K. H. Lee, "The effects of life mea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7, No. 4, pp1035-1057, 2005. 

  37. Beutel, A., & Marini, M. "Gender and valu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0, pp436-448, 1995. 

  38. de Laxxari, S. A. "Emotional intelligence, mea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ce." Master's dissortation, Trinity Western University, Langley, British Columbia, Canada, 2000. 

  39. Nolen-Hoeksema, S., Morrow, K., & Frederickson, B. L. "Response styles and the duration of episodes of depressed moo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 102, No. 1, pp20-28, 1993. 

  40. Trdynor, W., Gonzalesz. R., & Nolen-Hoeksema, S. "Rumination reconsidered: A psychometric analy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27, pp247-259, 2003. 

  41. Tolin, D. F., & Foa, E. B. "Sex differences in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a quantitative review of 25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32, pp959-992, 2006. 

  42. Vishnevsky, T., Cann, A., Lawrence G. Calhoun, L. G. Tedeschi, R. G., & demakis, G. J. "Gender differences in self-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 a meta-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 34, pp110-120, 2010. 

  43. J. R. Joeng, & K. H. Lee, "The 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out meaning presenc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8, No. 4, pp1309-1321, 2007. 

  44. Zoellner, T., & Maercker, A.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 26, pp626-653, 2006. 

  45. S. C. Kim, & H. L. Chang, "A study evaluating a program for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and their original famil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7, pp91-96, 2017. 

  46. Park, C. L., & Folkman, S.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 1, pp115-14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