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한양 동부(東部) 함춘원(含春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ngbu Hamchunwon in Han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0 no.3, 2017년, pp.110 - 125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이 연구는 한양 도성의 동부(東部)에 조성되었던 왕실 원유(苑?) 함춘원(含春苑)을 대상으로 조영 사실과 운용적 특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성종(成宗) 연간에 창경궁이 건립된 이후 대비(大妃)들의 이어(移御)가 예정되면서 통망처(通望處)를 중심으로 논의된 차폐용 수목 식재가 동부 함춘원의 시원적 형태로 추정된다. 동부 함춘원은 창경궁 동측 궁장(宮墻)에 부속된 월근문(月覲門)부터 선인문(宣仁門)에 이르는 구간의 건너편 일대에 조영된 종방향의 원유(苑?)이었으며, 오늘날 서울대학교 병원 신축 본관의 서측 일대에 해당한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궁궐 내부에 조성된 원유만이 금원(禁苑)으로 불렸지만, 궁궐 외부에 조영되었던 동부 함춘원도 금원에 비견되는 상징적 위계적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부 함춘원의 입지처(立地處)는 한양의 풍수지리 체계에서 내청룡(內靑龍)에 해당하는 요지(要地)였으며, 내청룡의 지맥(地脈) 보호를 위해 대규모의 토목공사는 허용되지 않았다. 인조(仁祖) 연간에 이르러 동부 함춘원의 일부는 마장(馬場)으로 분할되었다. 마장 일대는 마동산(馬東山), 방마원(放馬苑)으로도 불리었고, 휴식과 유락(遊樂)의 장소로 이용된 개방적 성격의 공간이었다. 동부 함춘원의 조성 초기에는 창경궁으로의 조망을 차폐하기 위해 속성수(速成樹)가 식재되었지만, 경모궁(景慕宮) 건립 이후에는 내청룡의 지기(地氣)를 보완하기 위해 대대적인 식목(植木) 공사가 이루어졌다. 특히 정조 연간에 유근문(?覲門)과 유첨문(?瞻門)이 건립된 이후 동부 함춘원은 궁궐(창경궁)-원유(함춘원)-사묘(경모궁)로 이어지는 전배(展拜) 동선의 거점으로 기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al facts and the operational features of Hamchunwon(含春苑), a wonyu(苑?, a royal garden) constructed in Dongbu(Eastern District) of the capital city of Hanyang. As the living quarters of the queen dowagers were sche...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178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2.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3. 궁궐지(宮闕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4. 궁원의(宮園儀), 1776,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5.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6.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1898,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7. 성종실록(成宗實錄) 

  8.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9. 식목절목(植木節木), 178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0.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1.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12. 일성록(日省錄) 

  13. 정조실록(正祖實錄) 

  14. 조선총독부의원이십년사(朝鮮總督府醫院二十年史), 1928, 국회도서관 소장 

  15. 청구요람(靑邱要覽), 183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6. 한경지략(漢京識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7. 대동방여전도(大東方輿全圖), 186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8. 동궐도(東闕圖), 19세기,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9. 수선전도(首善全圖), 1861,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20. 지적원도(地籍原圖), 1913, 국가기록원 소장 

  21. 한국경성전도(韓國京城全圖), 1913, 영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22. 김원모, 1964, 함춘원고 - 궁궐 임압가사 철거를 중심으로 - 향토서울 제22권,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p.47, 50, 57 

  23. 이덕일, 2013,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1, 다산초당, p.156 

  24. 정우진, 2016,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체제와 운용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7-58 

  25. 정정남, 2009, 壯勇營의 漢城府內 立地와 營舍의 建築的 특성 -本營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장서각 No.21, p.56 

  26. 황종찬, 1996, 풍수지리 입문, 좋은글, p.2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