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진 월남사지(月南寺址) 출토 금동풍탁(金銅風鐸)에 대하여
About a Wind-chime excavated from WolnamSaji(月南寺址) in GangJin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0 no.1, 2017년, pp.18 - 41  

성윤길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진 월남사지는 그 동안 3층석탑과 파괴된 비석이 남아있었던 소규모 폐사지였다. 하지만 사역 입구쪽에 있던 파괴된 비가 고려시대 신앙결사운동의 한 축을 담당했던 수선사 제2세인 진각국사 혜심의 것으로 밝혀졌고, 그 이후 최근의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 사비도읍기로 추정되는 연화문수막새가 수습되면서 다시 한 번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2012년 출토된 금동풍탁은 높이 23cm에 이르는 대형급에 속할 뿐 아니라, 탁신 네 면에 비교적 큰 범자가 장식되어 이채롭다. 이에 더해 풍탁 보존처리 과정에서 '개천(盖天)'으로 추정되는 음각 명문도 확인되었다.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의 범자는 '옴'( , oṃ), '아'( , a), 훔( , hūṃ), 브룸( , bhrūṃ)이다. '옴'( , oṃ), '아'( , a), 훔( hūṃ)은 삼밀진언으로 알려졌고, 브룸( , bhrūṃ)은 최상의 존격을 의미한다. 또한 삼밀진언은 그 수행법을 통해서 우주 근본 원리인 법신불과 감응하여 진리를 깨닫도록 하고, 브룸( , bhrūṃ)은 일체 결합의 의미가 있다. 결국 금동풍탁 네 면을 장식하고 있는 범자의 의미는 불교의 교조(敎祖)인 부처님이 설한 '법(法)[교리]' 혹은 그 자체로서 최상의 존격인 '佛(불)'과 결합되기를 갈망하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탁신에 새겨진 '개천(盖天)'의 명문은 풍탁 제작과 관련된 인명으로 볼 수도 있으나, 고려시대 향완, 반자, 향로 등에 새겨진 명문과 그 위치가 쉽게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명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결국 풍탁이 지니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법음(法音)으로 상징되는 풍탁의 소리가 하늘을 덮어 시방세계에 널리 퍼졌으면 하는 바람을 상징적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은 폐사지에서 출토된 풍탁과의 비교, 고려후기 역사적 상황, 밀교 관련 경전 발행연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13세기 중후반에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angjin WolnamSaji(月南寺址) is a small site where three-story pagodas and a destroyed tombstone remained. In 1973, it was discovered that the destroyed tombstone was that of the second master of Susunsa, Hye shim(慧諶), who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주제어

참고문헌 (86)

  1. 고려사 

  2. 동국이상국집 

  3. 범우고 

  4. 불설대승장엄보왕경 

  5. 삼국사기 

  6. 삼국유사 

  7. 속고승전 

  8. 식산문집 

  9. 신증동국여지승람 

  10. 태종실록 

  11. 한원 

  12. 강보라, 2015,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풍탁(風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2, pp.70-74 

  13.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5a, 康津 月南寺址 I, p.66, 174, 317 

  14.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5b,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주변 추정탑지 발굴조사 자문위원회자료, p.19 

  15.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4,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주변정비 3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pp.9-46 

  16.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3,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주변 문화재 2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pp.12-29 

  17.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2,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주변 발굴조사 약보고서, p.10, 22, pp.6-27 

  18. 국립경주박물관.나라국립박물관, 2003, 일본의 불교미술, p.132 

  19. 국립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강진군, 1989, 康津郡의 文化遺蹟, pp.141-142, 215-216 

  20. 국립중앙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1997, 우리나라 金屬工藝의 精華 入絲工藝, p.104 

  21. 국립청주박물관, 2014, 청주 思惱寺 금속공예학술조사보고서 I. II, p.64, 215 

  22. 권상로 편, 1979, 韓國寺刹全書 上卷, 동국대학교출판부, p.485, 592 

  23. 김당택, 1987, 高麗武人政權硏究, 새문사, pp.233-242 

  24. 김당택, 1981, 高麗 崔氏武人政權과 修禪社 歷史學硏究X, pp.91-94 

  25. 김무생, 2005, 眞言의 成立과 韓國的 流通 密敎學報 7, p.22 

  26. 김무생, 1997, 六子眞言 信仰의 史的 展開와 그 特質 韓國密敎思想硏究, p.556, 571, 577, 582, pp.11-12, 551-552, 565-566 

  27. 김수연, 2015, 고려시대 간행 梵書摠持集을 통해 본 고려 밀교의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41, pp.204-205 

  28. 김수연, 2012, 高麗時代 密敎史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93, pp.185-186, 194-195 

  29. 김영욱 역해, 2004, 진각국사어록 역해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p.8, 232, pp.174-175 

  30. 김진희, 2015a, 월남사지 발굴조사의 현황과 조성시기에 대한 재검토 -유구와 유물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44, p.102, pp.130-135 

  31. 김진희, 2015b, 月南寺址 發掘調査 現況과 造成 時期에 對한 再檢討 月南寺의 變遷과 整備 活用 學術會議 발표집, p.131 

  32. 김진희.백은경, 2013, 康津 月南寺址 出土 高麗靑瓷의 現況과 性格 최근 출토 강진 고려청자의 의의, 제15회 고려청자 학술 세미나 발표자료집, pp.96-103 

  33. 김희태, 2016, 康津 月南寺 銘文瓦와 關聯 記錄의 歷史的 性格 康津 月南寺 出土 銘文瓦의 現況과 性格,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61 

  34. 김희태, 2014, 寺刹記錄 斷想 불교문화연구 12, 남도불교문화연구회, pp.247-253 

  35.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2007, 漢韓大辭典 11, 단국대학교출판부, p.1043 

  36. 도쿠야마 키쥰(德山暉純), 1976, 梵字手帖, 木耳社, p.3, 5, 23 

  37. 돈황문물연구소편, 1999, 中國石窟 敦煌莫高窟一, 도판 165 

  38. 동국역경원, 1997, 續高僧傳 권28, 讀誦篇(한글대장경), p.13 

  39.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4, 康津無爲寺極樂殿修理報告書, p.51 

  40. 문화재청, 2008, 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 p.269, pp.265-266 

  41. 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11, 밝은 빛 맑은 소리 풍탁, p.7, 8, 9, 52, 57, 62, 79, 87, 89, 113, 130, pp.127-129 

  42. 민현구, 1973, 月南寺址 眞覺國師碑의 陰記에 대한 一考察 震檀學報 36, p.14, pp.7-40 

  43. 배종민, 2009, 月南寺와 崔氏武人政權 호남문화연구 46, pp.197-198 

  44. 배종민, 1999, 康津 無爲寺 極樂殿 壁? 硏究,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5 

  45. 선상균(무외), 2011, 불교수행에 있어서 眞言의 역할 密敎學報 10, pp.56-57 

  46. 성춘경, 1999, 전남 불교미술 연구, p.343 

  47. 신명희, 2014, 청주 사뇌사 금속공예품 명문 재검토 청주 思惱寺 금속공예 학술조사보고서 II, 국립청주박물관, p.64, 251 

  48. 안춘배, 1987, 居昌 壬佛里 天德寺址 및 陜川 界山里 發堀調査槪報 영남고고학 3, pp.135-136 

  49. 양현지 지음.서윤희 옮김, 2001, 洛陽伽藍記, 눌와, pp.32-33 

  50. 엄기표, 2015, 남원 勝蓮寺 마애 범자진언의 조성 시기와 의의 선문화연구 18, p.408 

  51. 엄기표, 2011, 고려-조선시대 梵字眞言이 새겨진 石造物의 현황과 의미 역사민속학 36, pp.60-75 

  52. 엄기표, 2008, 高麗後期 松廣寺 出身 16國師의 石造浮屠 ?究 文化史學 29, p.49 

  53. 이가원.장삼식 편저, 1972, 詳解 漢字大典, p.1325 

  54. 이도학, 1989, 泗?時代 百濟의 四方界山과 護國寺刹의 成立 백제연구 20, p.123 

  55. 이병호, 2015, 古代 月南寺의 現況과 性格 -百濟 瓦當의 分析을 中心으로- 月南寺의 變遷과 整備 活用 學術會議 발표집, 月南寺의 變遷과 整備 活用 學術會議, pp.1-24 

  56. 이병희, 2015, 高麗.朝鮮 初期 月南寺 處地와 位相 월남사의 변천과 정비 활용 학술회의, 발표자료집, p.55, pp.27-59 

  57. 이병희, 1995, 월남사의 연혁과 그 변천 月南寺址, 목포대학교박물관.강진군, p.33, 50 

  58. 이수경, 2013, 월남사지 조사성과와 고대 기와 강진의 고대문화와 월남사지, 한국고대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문, pp.87-100 

  59. 이영선, 2014, 高麗時代 風鐸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 50, 61, 83, pp.53-62, 135-138 부록 

  60. 이용진, 2011a, 韓國 佛敎香爐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17, pp.213-216, 226-227 

  61. 이용진, 2011b,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의 梵字 해석 역사민속학 36, p.17 

  62. 이장웅, 2016, 百濟 西岳 旦那山과 慧顯, 한국고대사학회 150회 정기발표회발표집, pp.13-14 

  63. 이태승, 2011, 高麗大藏經에 나타난 悉曇梵字에 대하여 인도철학 32, pp.167-168 

  64. 임근동, 2003, 국내 실담문자(dhamatika)를 통한 천수진언의 산스크리트 의미해석 印度哲學 13, p.276, pp.289-290 

  65. 조명제.김탁.정용범.원경(이상섭) 역주, 2007, 역주 조계산송광사사고 -인물부-, 혜안, p.28, 71, 78, 92, 122, 159 

  66. 종석, 2015, 진언.다라니 실담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진언.다라니 실담의 전래와 변용, 2015년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불교학술대회 발표집, p.9 

  67. 진성규, 1987, 眞覺國師 慧諶의 修禪社活動 中央史論 5, pp.58-60 

  68. 진정환, 2013, 任實 珍丘寺의 所屬 宗派 變化에 대한 考察 文化史學 40, pp.85-108 

  69. 진홍섭, 1995, 韓國의 石造美術, 문예출판사, p.235 

  70. 채상식, 1991, 高麗後期佛敎史硏究, 一潮閣, p.20, 41 

  71. 천득염, 1990, 百濟系石塔의 造形特性과 變遷에 관한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67 

  72. 최연식, 2007, 月出山의 觀音信仰에 대한 고찰 天台學硏究 10, p.224 

  73. 최응천, 2014, 思惱寺 유물의 성격과 의의 청주 思惱寺 금속공예 학술조사보고서 I, 국립청주박물관, p.50, 64, 66 

  74. 최응천, 2004, 고려시대 金屬工藝의 匠人 美術史學硏究 241, pp.173-175, 182-189 

  75. 최인선, 2015, 월출산의 불교문화 月出山, pp.206-235 

  76. 최인선, 1996, 月出山의 佛敎文化 靈巖 月出山 祭祀遺蹟, pp.189-196 

  77. 충주시.충청대학교박물관, 2016, 忠州 崇善寺址 -6차 발굴조사 보고서-, p.148 

  78. 한국역사연구회 편, 1996, 譯註 羅末麗初金石文(上), 혜안, p.170 

  79. 허일범, 2007, 회당사상, 우리문화사, p.182 

  80. 홍법원, 1988, 佛敎學大辭典, p.233 

  81. 홍영의, 2015, 고려 경외(京外).민간(民間) 장인(匠人)의 활동과 기술의 전이(轉移) 과정, 제105회 한국중세사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99-105 

  82. 고려대장경연구소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sutra.re.kr 

  83.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터넷 홈페이지 https://encykorea.aks.ac.kr 

  84. 문화재청, 2015. 8. 25, "금빛 범자로 장식된 고려 시대 목관, 극락왕생의 염원을 담다" 보도자료 

  85. 충북일보 2013. 10. 7. '충주 숭선사터에서 국내 최대 풍탁 출토' 

  86.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