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립 운동 컬렉션 분류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공훈전자사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cus on the Gonghun Digital Archive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8 no.4, 2018년, pp.99 - 124  

오정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기록관리학)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의 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ased on the collection of Gonghun Digital Archive based on sources, subjects, and media type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ource is organized...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18민주화운동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록물처럼 국내 민주화운동 중 5.18이라는 운동에 관하여 디지털 아카이브 기록관을 구축하였고, ‘운동’이라는 주제별 아카이브 분류 체계를 살펴볼 수 있어서 국내 사례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증진시키기 위해 기록물 중 ‘독립 운동’과 관련한 분류 체계를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새롭게 전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6년에 새로 개편된 ‘전자사료관’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아카이브 컬렉션을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Caravaca(2017)는 기록 분류 체계의 구축이 미완성인 주제이며, 아카이브 분야는 거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보았다. 분류 체계가 레코드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주요 도구이므로 분류 체계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와 계층적, 비계층적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독립 운동 기록물의 수집은 일제의 국권 침탈과 식민 통치에 맞서 조국의 자주 독립을 위해 항거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공적 내용을 확인하고 독립 운동사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찾아서 모으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립 운동의 범위가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시기별뿐만이 아니라, 주제별, 운동별, 지역별 등 다양한 형태의 분류 체계를 마련하여 이용자의 검색 편의성과 접근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또한 매년 DB사업을 시행하여 독립 운동 참여자의 인명, 독립 운동 관련 단체명이나 사건명 검색이 가능하게 만들고 있으나 자료 유형별과 주제별 기록물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훈전자사료관에서 독립 운동 유공자 가족 발굴 및 포상 업무에 기여하고 일반인과 연구자들에게 독립 운동에 대한 정보 검색 및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독립 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 독립 운동 기록물 중 독립 운동과 관련하여 분류 체계를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보훈처의 역할은? 국가보훈처는 일제로부터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하여 공헌과 희생을 하신 독립유공자를 발굴․포상하여 그분들의 애국정신을 기리고 이를 계승 및 발전시켜 민족정기를 선양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나라를 빼앗긴 동안 수많은 애국선열들이 독립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독립 운동 공적 증거자료 부족 등으로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으신 분은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DB사업 통해 하는 것은? ‘공훈전자사료관’은 독립유공자 발굴시스템으로서 포상업무 활용 및 기록관리 측면에서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나, 현재 독립유공자 포상업무 관련 서비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매년 DB사업을 시행하여 독립 운동 참여자의 인명, 독립 운동 관련 단체명이나 사건명 검색이 가능하게 만들고 있으나 자료 유형별과 주제별 기록물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훈전자사료관에서 독립 운동 유공자 가족 발굴 및 포상 업무에 기여하고 일반인과 연구자들에게 독립 운동에 대한 정보 검색 및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독립 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독립 운동에 관한 자료가 체계적인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멸실되어가고 있어 국가보훈처에서는 어떻게 하는가? 이에 국가보훈처는 1969년부터 독립 운동사편찬위원회를 시작으로 1995년 광복 50주년, 2005년 광복 60주년을 기념하면서 국내․외 1만1,371건, 112만 5,429매의 독립 운동 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하였다. 그리고 2005년 통합DB시스템인 ‘공훈전자사료관’을 구축하여 독립유공자와 관련한 이용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공훈전자사료관’은 독립유공자 발굴시스템으로서 포상업무 활용 및 기록관리 측면에서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나, 현재 독립유공자 포상업무 관련 서비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매년 DB사업을 시행하여 독립 운동 참여자의 인명, 독립 운동 관련 단체명이나 사건명 검색이 가능하게 만들고 있으나 자료 유형별과 주제별 기록물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훈전자사료관에서 독립 운동 유공자 가족 발굴 및 포상 업무에 기여하고 일반인과 연구자들에게 독립 운동에 대한 정보 검색 및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독립 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1). Independence Movement Judgment Document. Daeje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 Kim, K. N. (2017). The Ohara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大原社會問題硏究所)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Focused on the Records Collected by the Institute.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57, 117-151. 

  3. Kim, S. A. (2013). A study of Sakhalin Koreans related to the history of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description, classification of collected records from the Korean national archiv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4. Kim, Y. S. & Lee, M. 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Table of the Records of the Association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Hampyeong Massacre Victi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1), 155-175. 

  5. Kim, J. H. & Kim, H. K. (2006).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in the Maritime region. Resea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 Culture, 60-85. 

  6. Park, S. W. & Jeong, D. K.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Archives of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373-403. 

  7. Park, J. O. & Lee, M. G.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table of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rchives.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13(2), 5-42. 

  8. Seol, M. W. (2011).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Art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2), 217-247. 

  9. Lee, Y. S.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chemes for NGO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5(2), 73-101. 

  10. Jang, H. W.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s Classification table of Local Records-Focusing on the records of the Mokpo Cultural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1. Jun, M. H. (2004). A Study on the Category of Democratic Movement Manuscripts and the Principle of Classification.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21, 69-90. 

  12. Jung, K. H. & Nam, Y. J. (2013). Study on the Classification Guideline for the Korean Presidential Rec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1), 419-448. 

  13. Jeong, J. I. (2007). A Study on Possible Ways to Develop Manuscript Classification Syste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Archival Science Myongji University. 

  14. Cho, D. G. (2010). Usa Cho Dong-gol Written Works. Seoul: Historical Space. 

  15.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Dictionary of recoders and archival terminology. Seoul: History Critic Publishers, Inc. 

  16. Hwang, S. D. (2014). A Study on Archival Arrangement and Description for Integrated Service of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and Archives: A Case of the YKA. Master's thesis, Major of Records and Archival Informa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17. Caravaca, M. M. (2017). Elements and Relationships within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Italian). JLIS.it, Italian Journal of Library,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8(2), 18-33. 

  18. Jimerson, R. C. (2002). Arrangement techniqu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OCLC Systems & Services; Bradford,?18(2), 75. 

  19. Szostak, R. (2017). A Grammatical Approach to Subject Classification in Museums. Knowledge Organization, 44(7), 494-505. 

  20.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1. 광주광역시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관리 운영 조례. 

  22. 국가보훈처 훈령. 

  23. 국가보훈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령. 

  24. 독립기념관법률. 

  2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26. 사료의 수집.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에 관한 법률. 

  27. 5.18기념재단. 검색일자: 2018. 6. 28. http://www.518archives.go.kr/ 

  28.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18. 5. 20. http://theme.archives.go.kr/ 

  29. 국가보훈처 '보훈 50년사' E-book. 검색일자: 2018. 5. 22. http://www.mpva.go.kr/ebook/%EB%B3%B4%ED%9B%8850%EB%85%84%EC%82%AC/mpva.html/ 

  30.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검색일자: 2018. 6. 12. http://e-gonghun.mpva.go.kr 

  31. 국가보훈처. 검색일자: 2018. 5. 12. http://www.mpva.go.kr/ 

  32.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검색일자: 2018. 5. 22. http://archive.history.go.kr// 

  3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 운동시스템. 검색일자: 2018. 5. 22. https://search.i815.or.kr/ 

  3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검색일자: 2018. 6. 28. http://www.kdemo.or.kr/ 

  35. 아일랜드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18. 7. 12. http://www.nationalarchives.ie/ 

  36. 아일랜드 군 기록보존소. 검색일자: 2018. 7. 12. http://www.militaryarchives.ie/en/home/ 

  37. 인도 국가기록원 Abhilekh patal. 검색일자: 2018. 7. 20. http://www.abhilekh-patal.in/jspui/ 

  38. 인도 국가기록원(NAI). 검색일자: 2018. 7. 20. http://nationalarchives.nic.in/ 

  39. 중국 제2역사 당안관. 검색일자: 2018. 5. 19. http://www.shac.net.cn/shac_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