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 2018년, pp.44 - 54  

문지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김다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자료에서 분류하여 총 824명 독거노인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영역 중에서 연령, 소득, 교육수준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성별과 결혼상태, 그리고 직업의 유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적 차원의 변인에서는 주관적 건강, 운동 실천정도, 종교모임과 사회단체 활동 빈도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 간 차원의 영역으로 지역주민과의 관계를 본 결과, 지역주민을 돕는 빈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을 신뢰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도움을 받는 정도는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환경 차원의 변인으로 편의시설의 만족도를 본 결과, 생활문화 기반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다차원적인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개발, 정책 및 제도 개선 등을 할 것을 제언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독거노인의 개인적, 개인 간 차원의 중재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in 2016 through "Survey on Residents'Quality of Life in Gyeonggi Province", perform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n 824 cases.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본 연구의 경우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그 영향요인을 다차원적인 변인을 고려하여 찾아내고자 하였다. 기존의 주로 개인차원, 혹은 개인간 차원의 영향요인에 국한되었던 연구결과를 본 연구에서 환경적 요인, 특히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환경 개선 중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고 또 고려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또는 독거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을 구분하지 않은 모든 노인집단의 삶의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집단 중에서도 취약계층인 독거노인의 차별화 된 특성 발견과 그에 맞는 정책적 제언을 하지 못한 제한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개인 간 차원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까지 함께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민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증가하고 있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개인적인 차원 뿐 아니라 개인 간 차원, 환경적인 차원에서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총체적 접근의 정책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이런 다차원적인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한 지역사회의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건강상태, 여가시간, 사회활동 참여정도와 같은 개인적 차원의 요인뿐 아니라 지역주민들과의 관계와 같은 개인 간 차원, 주변 생활시설 만족도와 같은 해당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까지도 고려하여 분석하여,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에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부분에서는 교육수준과 경제상태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는데, 노인들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에 나쁜 습관을 적게 하고, 이것이 곧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0]. 또한 노인들의 주관적인 경제수준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인 관계를 보였고[11-13], 재정적인 궁핍을 적게 경험한 노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14].
노인의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노인의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난 연구 결과도 있다. 여성 노인의 경우, 주관적 종교성(Self-rated Religiosity)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 노인의 경우엔 교육수준, 소득의 적정성, 실제소득과 종교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이 외에도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12][16][17], 일상생활동작 수준 (ADL level), 사회활동 참여정도[18][19], 의료시설의 접근도[20], 여가만족도 중 교육·휴식처의 만족도, 신체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등이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21].
여성독거노인의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고하고 있고[22-24], 국내 독거노인 89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경제활동을 하고, 생산적 여가에 참여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25]. 독거노인의 사회활동도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