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화쑥의 온실 주년 재배 특성 분석 및 환경 처리를 통한 유파틸린 성분 증대
Analysis of Year-rou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princeps in Greenhouse and Enhancement of Eupathilin Content by Environmental Stres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7 no.1, 2018년, pp.94 - 101  

강우현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한지수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이승준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신종화 (안동대학교 원예육종학과) ,  안태인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이주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융합연구센터) ,  강석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융합연구센터) ,  정상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융합연구센터) ,  손정익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유리 온실에서 강화쑥을 육묘 6주, 정식 후 8주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을 비교하였다. 광합성은 상대적으로 고광도인 $1,200{\mu}mol{\cdot}m^{-2}{\cdot}s^{-1}$에서도 포화되지 않았다. 생육속도는 정식 후 2주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정식 후 8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강화쑥은 다년생 숙근초로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봄 여름의 영양 생장기에는 높은 생육과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개화 및 월동으로 인하여 생육 및 유파틸린 성분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강화쑥의 주년 재배를 위하여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야파 처리의 적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종류의 스트레스와 1종류의 eliciter를 처리하였다. 건조 스트레스는 수확 전 5, 6, 7, 8 일간 관수을 중단하였고, 염류 스트레스는 수확 3일전 양액에 염화나트륨 추가하여 2, 4, 6, $8dS{\cdot}m^{-1}$ 농도로 하였고, 메틸자스모네이트는 수확 3일전 12.5, 25, 50, $100{\mu}M$ 농도로 엽면 시비하였다. 건조 스트레스 처리구 중 7일 및 8일간 관수를 중단한 경우와 메틸자스모네이트를 $25{\mu}M$ 엽면 시비한 경우 유파틸린 함량이 증가하였다. 염류 스트레스 처리구에서는 유파틸린 함량 증대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 처리를 통해 유용 성분의 증대가 가능하고 의약 원료로써 강화쑥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gwort (Artemisia princeps) is a medicinal plant that has a substance called euphatilin, which is effective for cell damage and gastritis recove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nual growth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princeps in greenhouse and to increase the eupatilin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쑥의 온실 주년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온실 재배 강화쑥의 주년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건조 및 염류 스트레스와 메틸 자스모네이트의 처리에 따른 유파틸린의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유리 온실에서 강화쑥을 육묘 6주, 정식 후 8주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은 어떠한 작물인가?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강화쑥의 계절 적 변화양상은 어떠했는가? 생육속도는 정식 후 2주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정식 후 8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강화쑥은 다년생 숙근초로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봄 여름의 영양 생장기에는 높은 생육과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개화 및 월동으로 인하여 생육 및 유파틸린 성분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강화쑥의 주년 재배를 위하여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야파 처리의 적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 스트레스 처리시 강화쑥의 유파틸린 함량 변화는 어떠했으며 이는 어떤 이유로 추론할 수 있는가? 6). 관수 중단을 통해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한 강화쑥 중, 7일 및 8일간 관수를 중단한 처리구가 관수를 중단하지 않은 처리구와 5일 및 6일간 관수를 중단한 처리구보다 유파틸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에게 건조 스트레스는 광합성과 관련되어 산화 스트레스로 작용하며(Akula와 Ravishankar, 2011) 많은 작물에서 유효 성분 함량의 증가를 불러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등, 2010; Poulson과 Thai, 2015; Zhang 등, 2017). 관수 중단 후 강화쑥의 유파틸린 함량이 즉각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배지 내 수분이 소모되는데 걸린 시간 및 유효 성분 합성의 증가와 축적에 걸리는 시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관수 중단 방식은 추가적인 장치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효 성분인 유파틸린 함량의 유의한 향상을 유도할 수 있었으므로 재배에 적용하기에 실용적이고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 J. Hur, H.G. Jung, and J. Park. 2012. Study on the growth environment of 'Gangwha-mugwort' through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Gangwha region. Kor. J. Agric. Forest Meteorol. 14:71-78. 

  2. Akula, R. and G.A. Ravishankar. 2011. Influence of abiotic stress signals on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Plant Signal Behav. 6:1720-1731. 

  3. Anjum, S A., L.Wang, M. Farooq, I. Khan, and L. Xue. 2011. Methyl jasmonate-induced alteration in lipid peroxidation, antioxidative defence system and yield in soybean under drought. J. Agron. Crop Sci. 197:296-301. 

  4. Baghalian, K., S. Abdoshah, F. Khalighi-Sigaroodi, and F. Paknejad. 2011. Physiological and phytochemical response to drought stress of German chamomile (Matricaria recutita L.). Plant Physiol. Biochem. 49:201e207. 

  5. Cocetta, G., M. Rossoni, C. Gardana, I. Mignani, A. Ferrante, and A. Spinardi. 2015. Methyl jasmonate affects phenolic metabolism and gene expression in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Physiol. Planta. 153:269-283. 

  6. Ferreira, J.F., J.E. Simon, and J. Janick. 1995. Developmental studies of Artemisia annua: Flowering and Artemisinin production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Planta Medica. 61:167-170. 

  7. Ferreira, J.F. and J. Janick. 1995. Floral morphology of Artemisia annua with special reference to trichomes. Int. J. Plant Sci. 156:807-815. 

  8. Figueiredo, A.C., J.G. Barroso, L.G. Pedro, and J.J. Scheffer. 2008. Factors affecting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in plants: volatile components and essential oils. Flavour Frag. J. 23:213-226. 

  9. Garrido, Y., J.A. Tudela, A. Marin, T. Mestre, V. Martinez, and M.I. Gil. 2014. Physiological, phytochemical and structural changes of multi-leaf lettuce caused by salt stress. J. Sci. Food Agric. 94:1592-1599. 

  10. Jelodar, N.B., A. Bhatt, K. Mohamed, and C.L. Keng. 2014. New cultivation approaches of Artemisia annua L. for a sustainable production of the antimalarial drug artemisinin. J. Med. Plants Res. 8:441-447. 

  11. Kim, E.H., Y.S. Kim, S.H. Park, Y.J. Koo, Y.D. Choi, Y.Y. Chung, and J.K. Kim. 2009. Methyl Jasmonate reduces grain yield by mediating stress signals to alter spikelet development in rice. Plant Physiol. 149:1751-1760. 

  12. Kim, J.M., T.K. To, A. Matsui, K. Tanoi, N.I. Kobayashi, F. Matsuda, and M. Seki. 2017. Acetate-mediated novel survival strategy against drought in plants. Nat. Plants 3:17097. 

  13. Kim, Y.J. and K.S. Kim. 2014. Effect of night interruption with mist and shade cooling systems on subsequent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Red Fire' and 'Yokihi'. Kor. J. Hortic. Sci. Technol. 32:753-761. 

  14. Ku, K.M., E.H. Jeffery, and J.A. Juvik. 2014a. Exogenous methyl jasmonate treatment increases glucosinolate biosynthesis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kale leaf tissue. PLoS One 9:e103407. 

  15. Ku, K.M., E.H. Jeffery, and J.A. Juvik. 2014b. Optimization of methyl jasmonate application to broccoli florets to enhance health-promoting phytochemical content. J. Sci. Food Agric. 94:2090-2096. 

  16. Laughlin, J.C., G. Heazlewood, and B. Beattie. 2002. Cultivation of Artemisia annua L. Artemisia 18:159-195. 

  17. Lee, J.E., Y.S. Shin,, J.D. Cheung, H.W. Do, and Y.H. Kang. 2015. Effect of LED Light sources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on th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Protected Hort. Plant Fac. 24:106-112. 

  18. Lee, J.J., B.G. Han. M.N. Kim, and M.H. Chung. 1997. Effects of eupatilin on the release of Leukotriene B4, by helicobacter pylori-stimulated neutrophils and gastric mucosal cells. J. Kor. Soc. Microbiol. 32:659-666. 

  19. Mbengue, A., S. Bhattacharjee, T. Pandharkar, H. Liu, G. Estiu, R.Y. Stahelin, ... K. Haldar. 2015. A molecular mechanism of artemisinin resistance in Plasmodium falciparum malaria. Nature 520:683-687. 

  20. Oh, M.M., E.E. Carey, and C.B. Rajashekar. 2010. Regulated water deficits improve phytochemical concentration in lettuce. J. Amer. Soc. Hortic. Sci. 135:223-229. 

  21. Oh, T.Y., B.K. Ryu, J.I. Ko, B.O. Ahn, S.H. Kim, W.B. Kim, E.B. Lee, J.H. Jin, and K.B. Hahm. 1997. Protective effect of DA-9601, an extract of Artemisiae herba, against naproxen-induced gastric damage in arthritic rats. Arch. Pharm. Res. 20:414-419. 

  22. Oh, T.Y., G.J. Ahn, S.M. Choi, B.O. Ahn, and W.B. Kim. 2005. Increased susceptibility of ethanol-treated gastric mucosa to naproxen and its inhibition by DA-9601, an Artemisia asiatica extract. World J Gastroenterol. 11:7450-7456. 

  23. Ornano, L., A. Venditti, M. Ballero, C. Sanna, L. Quassinti, M. Bramucci, ... A. Bianco. 2013.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hamazulene-rich essential oil obtained from Artemisia arborescens L. growing on the Isle of La Maddalena, Sardinia, Italy. Chem. Biodivers. 10:1464-1474. 

  24. Poulson, M.E. and T. Thai. 2015. Effect of high light intensity on photoinhibition, oxyradicals and artemisinin content in Artemisia annua L. Photosynthetica 53:403-409. 

  25. Rajabbeigi, E., I. Eichholz, N. Beesk, C. Ulrichs, L.W. Kroh, S. Rohn, and S. Huyskens-Keil. 2013. Interaction of drought stress and UV-B radiation-impact on biomass production and flavonoid metabolism in lettuce (Lactuca sativa L.). J. Appl. Bot. Food Qual. 86:190-197. 

  26. Reddy, A.R., K.V. Chaitanya, and M. Vivekanandan. 2004. Drought-induced responses of photosynthesis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higher plants. J. Plant Physiol. 161:1189-1202. 

  27. Ryu, B.K., B.O. Ahn, T.Y. Oh, S.H. Kim, W.B. Kim, and E.B. Lee. 1998. Studies on protective effect of DA-9601, Artemisia asiatica extract, on acetaminophen-and CCI4-induced liver damage in rats. Arch. Pharm. Res. 21:508-513. 

  28. Ryu, S. 2008. Environmental Variation of Available Component in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 J. Kor. Soc. Int. Agric. 20:40-46. 

  29. Ryu, S., S. Han, J. Yang, and S. Kang. 2005. 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cidin content of mugwort. Kor. J. Crop Sci. 50:204-207. 

  30. Shin, J.H., H.H. Jung, and K.S. Kim. 2010. Night interruption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s) promotes flowering of Cyclamen persicum in winter cultivation. Hortic. Environ. Biotechnol. 51:391-395. 

  31. Yuan, Y., Y. Liu, C. Wu, S. Chen, Z. Wang, Z. Yang, S. Qin, and L. Huang. 2012. Water deficit affected flavonoid accumulation by regulating hormone metabolism i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roots. PLoS One 7:e42946. 

  32. Zhang, W., Z. Cao, Z. Xie, D. Lang, L. Zhou, Y. Chu, and Y. Zhao. 2017. Effect of water stress on roots biomass and secondary metabolites in the medicinal plant Stellaria dichotoma L. var. lanceolata Bge. Sci. Hortic. 224:280-285. 

  33. Zobayed, S.M.A., F. Afreen, and T. Kozai. 2007. Phyt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leaves of St. John's wort plants under a water stress condition. Environ. Exp. Bot. 59:109-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