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공공 전자기록의 조직 모형 개발을 위한 방향 탐구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Conceptual Model for Organizing Public Digital Record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56, 2018년, pp.183 - 212  

현문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수립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공공 전자기록 조직화 원칙과 모형을 설계하기에 앞서 설계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록 조직과 관련하여 기존의 기록 조직 원칙에서 벗어난 건 중심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국제 기록물 기술 개념 모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전자기록에 대한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낸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분류 및 기술 양상을 드러내면서 전자기록 건 중심의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종합하여 향후 공공 전자기록이 조직화 원칙 및 모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a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model for organizing public digital records. First, it started with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tem-oriented records and archival organization, then analyzed RIC-CM developed by ICA EGAD. Second, it investigated the hierarc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자기록관리에 적용할 조직화 원칙과 모형을 설계하기에 앞서 그 설계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건 중심 조직화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연장선에서 새로운 기술 개념 모형으로 ICA가 발표한 RIC-CM을 분석하는 한편, 국내 전자기록관리 영역에서 제기되고 있는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분류 및 기술 현황을 들여다보면서 전자기록 건 중심의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 설계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 따라서 고정된 분류 및 집합 단위 기술에서 벗어나 건 단위 기술로 초점을 옮겨야만 기록관리 및 이용요구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기록 조직(Bak 2012)이 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록건과 데이터세트 중심의 분류 및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지속적으로 집중할 것이다. 이를 위해 특정한 분류 계층을 건이나 데이터세트에 할당하여 고정적으로 철하는 위계적 분류 방식이 아닌 기술형(descriptive) 분류(Bak 2012) 방법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며, 계층적 구조가 아닌 방사형 네트워크 구조의 모형(<그림 3> 참조)을 제안한다.
  •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분류 및 기술 양상을 드러내면서 전자기록 건 중심의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하여 향후 공공 전자기록이 조직화 원칙 및 모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이는 생애주기 전반을 포괄할 수 있는 분류체계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 설문원(2012)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가 장기적으로 목표하는 새로운 조직 모형은 기록의 생애주기에 따라 분절되는 기존의 조직 방식을 벗어나,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조직 모형이다. 이는 물리적인 전자기록 이관과 무관하게 일관된 통제를 가할 수 있으며, 전자기록의 생산 시점에서부터 통제될 수 있는 방식의 조직 모형임을 의미한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자기록관리에 적용할 조직화 원칙과 모형을 설계하기에 앞서 그 설계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건 중심 조직화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연장선에서 새로운 기술 개념 모형으로 ICA가 발표한 RIC-CM을 분석하는 한편, 국내 전자기록관리 영역에서 제기되고 있는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록분류체계의 용도 폐기나 기록에 대한 집합적 통제의 불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함이 아니다. 오히려 건 중심의 기록 조직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 정련되고 다양한 통제 도구와 조직 도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기존의 기록 조직 원칙에서 벗어난 건 중심의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국제 기록물 기술 개념 모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전자기록에 대한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분류 및 기술 양상을 드러내면서 전자기록 건 중심의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하여 향후 공공 전자기록이 조직화 원칙 및 모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건 중심 조직화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연장선에서 새로운 기술 개념 모형으로 ICA가 발표한 RIC-CM을 분석하는 한편, 국내 전자기록관리 영역에서 제기되고 있는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분류 및 기술 현황을 들여다보면서 전자기록 건 중심의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 설계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하여 향후 공공 전자기록이 조직화 원칙 및 모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이에 이 연구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수립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공공 전자기록 조직화 원칙과 모형을 설계하기에 앞서, 그 설계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기록 조직 원칙에서 벗어난 건 중심의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국제 기록물 기술 개념 모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전자기록에 대한 조직 구조 변화의 요구를 드러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기록 조직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는? 공공 전자기록에 대해서는 종이기록 관리체계의 경직된 조직 원칙을 고수하여(설문원 2012), 전자기록 조직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문서형태의 전자 기록으로 한정해 살펴보아도, 국가기록원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국가기록 원 2011)을 통해 보존기록을 기관별 출처에 따라 구성한 기록물군(records group)과 기록물계열(records series), 기록물철(file), 기록물건(item) 등에 따라 계층적으로 조직함을 선언하였다. 생산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내 등록된 기록은 업무분류체계인 정부기능연계모형(Business Reference Model, 이하 BRM)의 최하위 계층인 ‘단위과제’와 연결될 뿐, 실질적으로 상위 계층과의 연결은 미미하다. 전자기록이 생산시스템으로부터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되면, 단위과제 및 단위과제카드와 연결되었던 기록은 기록물철과 기록 물건 단위로 조직되어 관리된다.
다계층 기술을 포함하는 다면형(multidimensional) 기술이란? 셋째, 다계층 기술을 포함하는 다면형(multidimensional) 기술을 선언하였다(ICA EGAD 2016). 기술의 한 방식으로 기존의 위계적 다계층 구조를 여전히 고수하면서도 단일 퐁(fonds)이나 기록물군 중심의 위계적 구조는 물론이고 다양한 개체가 기록과 맥락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Pitti 2016).
RIC가 정의한 기술개체는? 첫째, 기술 개체를 분화한 다중 개체 모델을 채택하였다. RIC가 정의한 기술개체는 기록(record), 기록컴포넌트(record component), 기록집합(record set), 행위주체(agent), 직업(occupation), 지위(position), 기능(function), 추상적 기능(function(abstract)1), 활동(activity), 법규(mandate), 문서유형(documentary form), 날짜(date), 장소(place) 및 개념/사물(concept/thing)이다. 각 개체는 개체만의 속성을 지니며, 한 개체와 다른 개체는 관계를 통해 연결되는 개체-관계 모델을 채택하였다(Stockting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국가기록관리 혁신 TF. 2017. 국가기록관리혁신 방안. [미간행] 

  2. 국가기록원. 2011. 영구기록물 기술규칙[NAK 13:2011(v2.0)](행정안전부 고시 제2011-42호). 

  3.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 절차[NAK/S 4:2012(v2.1)](행정안전부 고시 제2012-58호). 

  4. 국가기록원. 2016. 2017년 업무 추진계획. http://www.archives.go.kr/next/common/downloadFile.do?up_filepath2F6e6578742e646174612F6f7267616e2F32303137B3E220B1B9B0A1B1E2B7CFBFF820BEF7B9AB20C3DFC1F8B0E8C8B92e706466 

  5. 국가기록원. 2017a. 기록관리시스템 데이터연계 기술규격-제1부: 업무관리시스템과의 연계[NAK 29-1:2017(v1.4)](국가기록원 고시 제2017-3호) 

  6. 국가기록원. 2017b.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 기술규격[NAK 31:2017(v2.1)](국가기록원 고시 제2017-7호) 

  7. 국가기록원. 2017.9.27. 중앙부처 기록관리시스템, 클라우드로 단계적 전환 추진[보도자료]. http://www.archives.go.kr/next/common/downloadBoardFile.do?board_seq95087&board_file_seq1 

  8. 국가기록원. 2018. 18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http://www.archives.go.kr/next/common/downloadFile.do?up_filepath2F6e6578742e646174612F6f7267616e2F32303138B3E2B5B520B1B9B0A1B1E2B7CFBFF820C1D6BFE420BEF7B9AB20C3DFC1F8B0E8C8B92e706466 

  9. 김연주. 2012. 소장 기록물의 정리.기술 현황과 과제(1). 기록인, 21, 62-67. 

  10.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2017a.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연구 개발: 1권. http://www.archives.go.kr/next/news/viewPublicationList.do?bg_no428. 

  11.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2017b.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연구 개발: 2권. http://www.archives.go.kr/next/news/viewPublicationList.do?bg_no429. 

  12. 박지영. 2017. 차세대 기록물 기술표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223-245. 

  13.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14. 설문원. 2013.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15.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16. 설문원. 2017. 기록관리 원칙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담론 분석: 출처주의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2, 60-119. 

  17. 이승억. 2015. 전자기록 관리정책 전환을 위한 재검토. 기록인, 32, 22-29. 

  18. 이승억. 2017. 토의자료: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체계 재설계.(2017. 1. 30), 국가기록원, 대전[미간행] 

  19. 이승억, 설문원.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20. 이승일. 2011. 기록의 역사: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 서울: 혜안. 

  21. 이진룡, 주현미, 임진희. 2018. 차세대 기록관리를 위한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55, 275-305. 

  22.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 서울: 선인. 

  23.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041137009&dsid000000000001&gubunsearch 

  24.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8.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 2003-2008. 정부혁신지방분권 종합백서07. http://innovation.pa.go.kr/ 

  25. 지디넷. 2017.10.17. 정부, 행정기관 문서시스템 클라우드로 전환 예고. 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1017175025 

  26.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 데이터세트 구조분석 및 진본성 보장 기록관리 기능모델 연구. 대전: 국가기록원. 

  27. 트라이튼테크. 2007.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대전: 국가기록원. 

  28. 현문수. 2014. 공공 전자기록의 이관 현황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33-54. 

  29. 현문수. 2015. CIDOC-CRM을 이용한 지역기록의 공간 기반 구조화: 부산항을 사례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83-101. 

  30. 황진현, 박종연, 이태훈, 임진희. 2014. 행정정보시스템 기록 이관 절차와 방법 연구: 원자력안전위원회 MIDAS RASIS RI/RG 업무기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7-32. 

  31. ANAI & ICAR. 2016. Records In Contexts: A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draft v0.1, september 2016): Il contributo italiano. http://www.ilmondodegliarchivi.org/images/Quaderni/MdA_Quaderni_n2.pdf 

  32. Artefactual. 2017. Artefactual response to draft RiC-CM draft. https://goo.gl/vF8pZH 

  33. Bailey, Steve. 2009. Forge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t's automated records management that we desperately need. Records Management Journal, 19(2), 91-97. 

  34. Bak, Greg. 2012. Continuous classification: Capturing dynamic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resources. Archival Science, 12(3), 287-318. 

  35. Bearman, David. 1996. Item level control and electronic recordkeeping. Archives & Museum Informatics, 10(3), 195-245. 

  36. Bunn, Jenny. 2014. Questioning autonomy: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principles which govern archival description. Archival Science, 14, 3-15. 

  37. CNEDA. 2012. Report on the work of CNEDA(2007-2012): Towards a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 in Spain. http://www.mcu.es/archivos/docs/MC/CNEDA/ReportCNEDA_11_07_2012.pdf 

  38.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3. Overview of classification tools for records management. http://www.naa.gov.au/Images/classifcation%20tools_tcm16-88850.pdf 

  39. Cunningham, Adrian. 2008. Digital curation/digital archiving: A view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The American Archivist, 71(2), 530-543. 

  40. DLM Forum Foundation. 2011. Modular requirements for records systems. http://moreq2010.eu/pdf/moreq2010_vol1_v1_1_en.pdf 

  41. Greene, Mark. 2009. The power of archives: Archivists' value and value in the postmodern age. The American Archivist, 72(1): 13-41. 

  42. ICA. 2000(2nd ed.). ISAD(G):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https://www.ica.org/sites/default/files/CBPS_2000_Guidelines_ISAD%28G%29_Second-edition_EN.pdf 

  43. ICA EGAD. 2016. Records In Contexts: A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 (Consultation draft v0.1). https://www.ica.org/sites/default/files/RiC-CM-0.1.pdf 

  44. Ifould, Peta & Joseph, Pauline. 2016. User difficulties working with a business classification scheme: A case study. Records Management Journal, 26(1), 21-37. 

  45. Kilkki, Jaana, Hupannittu, Outi, & Henttonen, Pekka. 2012. Towards the new era of archival description: The finnish approach.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Congress 2012. Brisbane. http://ica2012.ica.org/files/pdf/Full%20papers%20upload/ica12Final00361.pdf 

  46. Michetti, Giovanni. 2012. Archives are not trees. In: The Memory of the World in the Digital Age: Digitization and Preservation, Duranti, L. & E. Shaffer(Conference Proceedings, Vancouver, Canada: Unesco, 2012), 1002-1010. http://1seminariopreservacaopatrimoniodigital.dglab.gov.pt/wp-content/uploads/sites/19/2015/08/recurso_25.pdf 

  47. Niu, Jinfang. 2014. Event-based archival information organization. Archival Science, June. doi: 10.1007/s10502-014-9222-4 

  48. Niu, Jinfang. 2015. Archival intellectual control in the digital age.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12(3-4), 186-197. 

  49. Packalen, Saara. 2015. Functional classification: Record-keeping professionals' difficulties and their handling in maintenance and use of FC in Finnish organisations. Records Management Journal, 25(2), 166-182. 

  50. Pitti, Daniel. 2016. Records in Contexts(RiC): Introduction. In Records in Contexts: An Archival Description Draft Standard, 3-13. https://www.ica.org/sites/default/files/session-7.8-ica-egad-ric-congress2016.pdf 

  51. Popovici, Bogdan Florin. 2013. Some conceptual data models for records and archives. http://www.pokarh-mb.si/uploaded/datoteke/Radenci/Radenci2013/40_Popovici_2013.pdf 

  52. Reed, Barbara. 2017. New conceptual model for recordkeeping description, Records in Contexts.(2017. 2. 1). http://www.records.com.au/new-conceptual-model-for-recordkeeping-description-records-in-contexts/ 

  53. Shepherd, Elizabeth & Yeo, Geoffrey.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54. Singh, Pauline, Klobas, Jane, & Anderson, Karen. 2007.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ERMS) users: Implications for records management practices. Human IT, 9(1), 135-181. 

  55. Stockting, Bill. 2016. Records in Contexts-Conceptual Model(RiC-CM). In Records in Contexts: An Archival Description Draft Standard, 14-37. https://www.ica.org/sites/default/files/session-7.8-ica-egad-ric-congress2016.pdf 

  56. The National Archives. n.d. Essential records management: A guide to managing electronic records using existing infrastructures and resources. http://www.nationalarchives.gov.uk/documents/essential-records-management.pdf 

  57. Yeo, Geoffrey. 2012. Bringing things together: Aggregate records in a digital age. Archivaria, 74, 43-91. 

  58. Yeo, Geoffrey. 2015. Contexts, original orders, and item-level orientation: Responding creatively to users' needs and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12(3-4), 170-185. 

  59. Zhang, Jane. 2012. Archival context, digital content, and the ethics of digital archival representation. Knowledge Organization, 39(5), 332-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