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을 이용한 동남극 난센 빙붕의 2000-2017년 흐름속도 변화 분석
Analysis of Ice Velocity Variations of Nansen Ice Shelf, East Antarctica, from 2000 to 2017 Using Landsat Multispectral Image Matching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6 pt.2, 2018년, pp.1165 - 1178  

한향선 (극지연구소 북극 해빙예측 사업단) ,  이춘기 (극지연구소 해수면 변동 예측 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극 빙붕의 붕괴 및 흐름속도의 변화는 빙상에 대한 지지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해수면 상승에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6년 4월 대규모 붕괴가 발생한 동남극 난센 빙붕에 대해 Landsat-7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ETM+) 및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OLI) 영상을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간 흐름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흐름속도 산출을 위해 Landsat의 청색, 녹색, 적색, 근적외선, 전정색 및 첫 번째 주성분 영상 등 총 6개 영상에 orientation correlation 기법을 적용하고, 각각의 변위 산출 결과를 융합하는 다중분광 영상정합 기법을 사용하였다.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은 난센 빙붕에서 전정색 단일 밴드 영상정합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최소 14% 더 넓은 영역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흐름속도를 산출하였고, Global Positioning System(GPS)로 관측된 흐름속도와 비교한 결과 ${\pm}2.1m\;a^{-1}$의 매우 작은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난센 빙붕에서 2000-2017년 사이에 가장 급격한 흐름속도 증가를 나타낸 곳은 Drygalski 빙하설과 인접한 영역이었으며, 빙붕의 중앙 유선을 따라 측정된 흐름속도는 빙붕 전면(ice front)에 rift가 발달하기 전인 2010년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다(${\sim}228m\;a^{-1}$). Rift가 발달하기 시작한 2011-2012년에 rift 상류에서 흐름속도의 가속화가 관측되었으나(${\sim}255m\;a^{-1}$), 이는 2010년에 비해 약 11% 빨라진 것에 불과하였다. 난센 빙붕의 rift가 완전히 발달한 2014년부터 rift 상류의 흐름속도는 다소 감소한 상태(${\sim}225m\;a^{-1}$)로 안정화 되었다. 이는 rift의 발달 및 빙붕 전면의 붕괴가 난센 빙붕의 흐름속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llapse of an Antarctic ice shelf and its flow velocity changes has the potential to reduce the restraining stress to the seaward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which can cause sea level rising. In this study, variations in ice velocity from 2000 to 2017 for the Nansen Ice Shelf in East Antarcti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난센 빙붕에 대해 획득된 Landsat-7 ETM+ 및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OLI) 영상에 다중분광 영상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빙붕의 연간 흐름속도를 산출하고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으로 산출된 흐름속도의 정확도는 빙붕에 설치된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이 단일밴드 영상정합에 비해 효과적인지 살펴보기 위해 다중분광 영상정합과 단일밴드 영상정합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Fig.
  • 먼저 6개 분광 밴드에서 산출된 동서 방향 변위(dx) 및 남북 방향변위(dy)에서 하나의 그리드를 중심으로 공간적으로 5×5 그리드 범위, 즉 6×5×5 그리드의 직육면체를 설정하고 여기에 포함된 150개 변위들의 중앙값과 사분위간 범위(interquartile range)를 계산한다.
  •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난센 빙붕에 대해 획득된 Landsat-7 ETM+ 및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OLI) 영상에 다중분광 영상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빙붕의 연간 흐름속도를 산출하고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으로 산출된 흐름속도의 정확도는 빙붕에 설치된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을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동남극 난센 빙붕의 연간 흐름속도를 관측하고, 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은 전정색 단일밴드를 사용하는 영상정합에 비해 오정합률이 낮았으며, 최소 14% 더 넓은 영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변위를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 KA4 지점의 GPS 자료는 2014년 12월 26일부터 2017년 2월 12일까지(2015년 8월 23일–12월 25일 기간 제외), KA6 지점의 GPS 자료는 2015년 12월 15일부터 2016년 6월 26일까지 획득되었다. 2014년 12월 4일과 2015년 12월 7일의 Landsat-8 OLI 영상(ID 10 in Table 1) 기반 흐름속도는 KA4 지점에서 2014년 12월 26일과 2015년 12월 26일에 관측된 GPS 자료를 이용해 검증하였다. 그리고 2015년 12월 7일과 2016년 12월 25일의 Landsat-8 OLI 영상(ID 11 in Table 1) 기반 흐름속도는 각각 KA4 지점에서 2015년 12월 26일과 2016년 12월 25일, KA6 지점에서 2015년 12월 15일과 2016년 6월 26일에 관측된 GPS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 KA4 지점의 GPS 자료는 2014년 12월 26일부터 2017년 2월 12일까지(2015년 8월 23일–12월 25일 기간 제외), KA6 지점의 GPS 자료는 2015년 12월 15일부터 2016년 6월 26일까지 획득되었다.
  • 그러나 KA6 지점에서는 Landsat-8 다중분광 영상정합으로 산출된 동서 방향 및 남북 방향의 흐름속도가 GPS로 관측된 흐름속도에 비해 12-13 m a-1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KA6 지점에서 다중분광 영상정합에 의한 빙붕의 연간 흐름속도가 1년 간의 시간차를 가지는 영상(2015년 12월 7일, 2016년 12월 25일)으로부터 산출된 반면, GPS로부터 산출된 연간 흐름속도는 2015년 12월 15일부터 2016년 6월 26일까지 약 6개월 동안의 관측 자료만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KA4 지점에 비해 KA6 지점에서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과 GPS 관측 사이에 차이가 큰 것은 서로 다른 기간 동안 획득된 자료로부터 연평균 흐름속도를 산출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 Landsat 다중분광 영상정합으로 산출된 난센 빙붕의 흐름속도에 대한 정량적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빙붕에 설치된 GPS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KA4 지점에서 Landsat-8 다중분광 영상정합으로 산출된 동서 방향 및 남북 방향의 흐름속도는 GPS로 관측된 흐름속도와 비교하여 최대 2.
  • Landsat 영상에서 산출된 난센 빙붕의 흐름속도를 검증하기 위해 빙붕에 설치된 2개 지점(KA4, KA6)의 GPS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Fig. 1). KA4 지점의 GPS 자료는 2014년 12월 26일부터 2017년 2월 12일까지(2015년 8월 23일–12월 25일 기간 제외), KA6 지점의 GPS 자료는 2015년 12월 15일부터 2016년 6월 26일까지 획득되었다.
  • 2014년 12월 4일과 2015년 12월 7일의 Landsat-8 OLI 영상(ID 10 in Table 1) 기반 흐름속도는 KA4 지점에서 2014년 12월 26일과 2015년 12월 26일에 관측된 GPS 자료를 이용해 검증하였다. 그리고 2015년 12월 7일과 2016년 12월 25일의 Landsat-8 OLI 영상(ID 11 in Table 1) 기반 흐름속도는 각각 KA4 지점에서 2015년 12월 26일과 2016년 12월 25일, KA6 지점에서 2015년 12월 15일과 2016년 6월 26일에 관측된 GPS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 극지방에서는 궤도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여러 개의 path에서 동일한 지역이 촬영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난센 빙붕의 흐름속도를 분석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17년까지 path 62-64, row 113에서 획득된 Landsat-7 ETM+ 영상과 Landsat-8 OLI 영상을 활용하였다(Table 1). 모든 Landsat 영상은 지형보정과 기하보정이 수행된 Level 1GT product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다중분광 영상정합에는 OC 기법(Fitch et al., 2002)이 사용되었다. OC 기법은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되는 영상정합 기법으로, 한 영상의 푸리에 변환과 다른 영상의 푸리에 변환의 켤레 복소수를 곱하여 교차 상관관계를 구한다.
  • 단일밴드 영상정합 결과에서 오정합에 의한 변위를 제거하기 위해 Heid and Kääb(2012)가 제안한 오정합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 남극 빙붕의 흐름속도 관측에는 영상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와 광학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영상레이더 자료에 간섭기법 또는 오프셋 추적기법을 적용하여 빙붕 흐름속도 관측이 가능하다. 영상레이더 간섭기법은 동일 지역에 대해 획득된 2장 이상의 영상으로부터 위상의 차이를 계산하여 지표 고도 또는 변위를 탐지하는데 쓰이고 있다.
  • σdx와 σdy는 다중분광 영상정합으로 산출된 변위의 오차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Han et al. (2016)이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여 오정합에 의한 변위를 제거한 후, 난센 빙붕의 흐름속도를 산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모든 Landsat 영상에 high pass 필터링을 수행한 후 OC 기법을 적용하였다. 영상정합을 위한 기준 창(reference window)의 크기는 64×64 픽셀, 탐색창(search window)의 크기는 256×256 픽셀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빙붕이란? 빙붕(ice shelf)은 육상의 빙하가 해안으로 확장되어 바다에 부유하는 빙체를 의미한다. 빙붕이 붕괴되면 많은 양의 얼음이 바다로 유입되지만 이미 바다에 부유하고 있던 빙붕의 붕괴 자체만으로는 해수면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라센 B 빙붕의 붕괴는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가? 그리고 육상 빙하에 대한 빙붕의 지지력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어 해수면 변화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서남극에 위치한 라센 B 빙붕(Larsen B Ice Shelf)의 경우 2002년 대규모 붕괴 이후에 인접한 빙하들의 흐름속도가 급격히 가속화 되었으며, 빙체의 감소가 증가하였음이 보고된 바 있다(Scambos et al., 2004).
난센 빙붕의 붕괴 이후 흐름속도가 가속화 될 것인지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이유는? 동남극의 난센 빙붕(Nansen Ice Shelf)은 2016년 4월 빙붕 전면(ice front)에 대규모 붕괴가 발생하였으며(Moctezuma-Flores and Parmiggiani, 2017), 이 붕괴는 빙붕의 역학적 특성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난센 빙붕 표면에 강을 형성하여 흐르고 있는 융빙수(meltwater)는 지속적으로 바다로 빠져나가고 있는데, 이는 빙붕 하부의 용융(basal melting)과 평형을 이루어 빙붕 붕괴를 촉진시키기보다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Bell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ll, R.E., W. Chu, J. Kingslake, I. Das, M. Tedesco, K.J. Tinto, C.J. Zappa, M. Frezzotti, A. Boghosian, and W.S. Lee, 2017. Antarctic ice shelf potentially stabilized by export of meltwater in surface river, Nature, 544: 344-348. 

  2. Bindschadler, R., H. Choi, A. Wichlacz, R. Bingham, J. Bohlander, K. Brunt, H. Corr, R. Drews, H. Fricker, M. Hall, R. Hindmarsh, J. Kohler, L. Padman, W. Rack, G. Rotschky, S. Urbini, P. Vornberger, and N. Young, 2011. Getting around Antarctica: new high-resolution mappings of the grounded and freely-floating boundaries of the Antarctic ice sheet created for the International Polar Year, The Cryosphere, 5: 569-588. 

  3. Fitch, A.J., A. Kadyrov, W.J. Christmas, and J. Kittler, 2002. Orientation correlation, Proc. of 2012 British Machine Vision Conference, Surrey, England, Sep. 3-7, pp. 133-142. 

  4. Frezzotti, M., A. Capra, and L. Vittuari, 1998. Comparison between glacier ice velocities inferred from GPS and sequential satellite images, Annals of Glaciology, 27: 54-60. 

  5. Han, H. and H. Lee, 2015. Tide-corrected flow velocity and mass balance of Campbell Glacier Tongue, East Antarctica, derived from interferometric S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60: 180-192. 

  6. Han, H. and H. Lee, 2017. Surface strain rates and crevassing of Campbell Glacier Tongue in East Antarctica analysed by tide-corrected DInSAR, Remote Sensing Letters, 8(4): 330-339. 

  7. Han, H., J. Im, and H.-C. Kim, 2016. Variations in ice velocities of Pine Island Glacier Ice Shelf evaluated using multispectral image matching of Landsat time serie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86: 358-371. 

  8. Han, H., Y. Ji, and H. Lee, 2013. Estimation of annual variation of ice extent and flow velocity of Campbell Glacier in East Antarctica using COSMO-SkyMed SAR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 45-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aug, T., A. Kaab, and P. Skvarca, 2010. Monitoring ice shelf velocities from repeat MODIS and Landsat data - a method study on the Larsen C ice shelf, Antarctic Peninsula, and 10 other ice shelves around Antarctica, The Cryosphere, 4(2): 161-178. 

  10. Heid, T. and A. Kaab, 2012. Evaluation of existing image matching methods for deriving glacier surface displacements globally from optical satellite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8: 339-355. 

  11. Jawak, S.D., S. Kumar, A.J. Luis, M. Bartanwala, S. Tummala, and A.C. Pandey, 2018. Evaluation of geospatial tools for generating accurate glacier velocity maps from optical remote sensing data, Proceedings, 2(7): 341. 

  12. Lee, D.S., J.C. Storey, M.J. Choate, and R.W. Hayes, 2004. Four years of Landsat-7 on-orbit geometric calibration and performance,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2(12): 2786-2795. 

  13. Moctezuma-Flores, M. and F. Parmiggiani, 2017. Tracking of the iceberg created by the Nansen Ice Shelf collaps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8(5): 1224-1234. 

  14. Kaab, A., B. Lefauconnier, and K. Melvold, 2005. Flow field of Kronebreen, Svalbard, using repeated Landsat 7 and ASTER data, Annals of Glaciology, 42: 7-13. 

  15. Paolo, F.S., H.A. Fricker, and L. Padman, 2015. Volume loss from Antarctic ice shelves is accelerating, Science, 348(6232): 327-331. 

  16. Rignot, E., G. Casassa, P. Gogineni, W. Krabill, A. Rivera, and R. Thomas, 2004. Accelerated ice discharge from the Antarctic Peninsula following the collapse of Larsen B ice shelf,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1, L18401. 

  17. Rignot, E., S. Jacobs, J. Mouginot, and B. Scheuchl, 2013. Ice-shelf melting around Antarctica, Science, 341(6143): 266-270. 

  18. Scambos, T.A., J.A. Bohlander, C.A. Shuman, and P. Skvarca, 2004. Glacier acceleration and thinning after ice shelf collapse in the Larsen B embayment, Antarctic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1, L18402. 

  19. Schellenberger, T., T. Dunse, A. Kaab, J. Kohler, and C.H. Reijmer, 2015. Surface speed and frontal ablation of Kronebreen and Kongsbreen, NW Svalbard, from SAR offset tracking, The Cryosphere, 9(6): 2339-2355. 

  20. Storey, J., M. Choate, and K. Lee, 2014. Landsat 8 Operational Land Imager on-orbit geometric calibration and performance, Remote Sensing, 6(11): 11127-11152. 

  21. Strozzi, T., A. Luckman, T. Murray, U. Wegmuller, and C.L. Werner, 2002. Glacier motion estimation using SAR offset-tracking procedur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0(11): 2384-2391. 

  22. Warner, R.C. and J.L. Roberts, 2013. Pine Island Glacier (Antarctica) velocities from Landsat7 images between 2001 and 2011: FFT-based image correlation for images with data gaps, Journal of Glaciology, 59(215): 571-58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