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 매칭으로 생성된 DSM을 이용한 반자동 3차원 건물 외곽선 추출 기법 개발
Semi-automatic Extraction of 3D Building Boundary Using DSM from Stereo Images Matching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6 pt.1, 2018년, pp.1067 - 1087  

김수현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이수암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LiDAR 자료 기반의 건물 외곽선 추출 연구에서는 고정밀 포인트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건물 지붕 영역을 분류하고 이를 입력자료로 하여 건물 외곽선을 추출했다. 반면에 스테레오 영상 정합을 통해 생성된 DSM은 고정밀 포인트클라우드 자료와 달리 원시 자료인 포인트클라우드에 잡음과 비어있는 격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한 자동으로 건물 지붕 영역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 정합을 통해 생성된 DSM에 사용자 입력을 통한 watershed segment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반자동으로 건물의 3차원 외곽선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DSM 내 건물 영역을 표시하는 단순한 마커 정보만을 입력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한 방식으로 건물의 3차원 외곽선을 생성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study for LiDAR data based building boundary extraction, usually dense point cloud was used to cluster building rooftop area and extract building outline. However, when we used DSM generated from stereo image matching to extract building boundary, it is not trivial to cluster building roof top ...

주제어

표/그림 (2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LiDAR 자료 기반의 건물 외곽선 추출 연구에서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기존의 LiDAR 자료 기반의 건물 외곽선 추출 연구에서는 고정밀 포인트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건물 지붕 영역을 분류하고 이를 입력자료로 하여 건물 외곽선을 추출했다. 반면에 스테레오 영상 정합을 통해 생성된 DSM은 고정밀 포인트클라우드 자료와 달리 원시 자료인 포인트클라우드에 잡음과 비어있는 격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한 자동으로 건물 지붕 영역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MBR이란 무엇인가? MBR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정점을 포함하는임의 방향의 직사각형 중 최소 면적이 있는 직사각형을 의미한다(Freeman and Shapira, 1975; Chaudhuri and Samal, 2007). 단순 직사각형 건물의 MBR 생성은 Habib et al.
본 연구에서 개발한 watershed segmentation 기법을 적용한 3차원 외곽선 추출 기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 정합을 통해 생성된 DSM에 사용자 입력을 통한 watershed segment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반자동으로 건물의 3차원 외곽선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DSM 내 건물 영역을 표시하는 단순한 마커 정보만을 입력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한 방식으로 건물의 3차원 외곽선을 생성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unn, A. and U. Weidner, 1997. Extracting buildings from digital surface models, Proc. of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Stuttgart, Sep. 17-19, Vol. 32, pp. 27-34. 

  2. Chaudhuri, D. and A. Samal, 2007. A simple method for fitting of bounding rectangle to closed regions, Pattern Recognition, 40: 1981-1989. 

  3. Cho, W., Y. Jwa, and Y. Lee, 2003. Automatic Extraction of Buildings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3(5D): 727-733. 

  4. Cho, Y.W., D.Y. Han, and Y.I. Kim, 2004. Generation of 3D Building Models by Predicting Occlusion Poi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6D): 991-998. 

  5. Choi, H. and S. Hong, 2007. Utilization Methods and Generation DSMs by Using Aerial Photograph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3): 168-175. 

  6. Freeman, H. and R. Shapira, 1975. Determining the minimum-area encasing rectangle for an arbitrary closed curve, Communications of ACM, 18(7): 409-413. 

  7. Habib, A., R. Zhai, and C. Kim, 2010. Generation of complex polyhedral building models by integrating stereoaerial imagery and LiDAR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76: 609-623. 

  8. Hongjian, Y. and L. Shukai, 2003. Building extraction from DSM acquired by airborne 3D image,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6(3): 25-31. 

  9. Kang, E.S., T.H. Lee, and S.J. Ko, 1997. Image Segmentation Using Morphological Operation and Region Merging,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2(2): 156-169. 

  10. Kim, S. and T. Kim, 2018. DSM Generation by Combination of Grid Interpolation and a 3D Mesh Model, Proc.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2018, Pyeongchang, Republic of Korea, May 9-11, pp. 374-377. 

  11. Kwak, E., M. Al-Durgham, and A. Habib, 2012. Automatic 3D Building Model Generation From Lidar and Image Data Using Sequential Minimum Bounding Rectangle, Proc. of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Melbourne, Australia, Aug. 25-Sep. 1, vol. 39, pp. 285-290. 

  12. Lee, D. C., H. S. Jung, and J. H. Yom, 2007a. 3D building reconstruction and visualization by clustering airborne LiDAR data and roof sha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tography, 25(6-1): 507-516. 

  13. Lee, D. C., H. S. Jung, J. H. Yom, S. B. Lim, and J. H. Kim, 2007b. Automatic generation of building footprints from airborne LiDAR data, Proc.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2007, Jeju, Korea, Oct. 31-Nov. 2, pp.637-641. 

  14. Lee, D.G. and D.C. Lee, 2018. Extraction and Separation of Buildings from LiDAR Data, Proc.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018, Yongin, Korea, Apr. 19-20, pp. 208-211. 

  15. Li, Y., L. Zhu, P. Gong, and H. Shimamura, 2010. A refined marker controlled watershed for building extraction from DSM and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1(6): 1441-1452. 

  16. Ma, R., 2005. DSM generation and building detection from LiDAR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71(7): 847-854. 

  17. Meng, X. L. and N. Currit, 2009. Morphology-based building detec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75(4): 437-442. 

  18. Rau, J. Y. and L. C. Chen, 2001. Semi-automatic approach for building reconstruction using splitmerge-shape method, Proc. of Asian Conference on Remote Sensing, Singapore, Vol. 5, p. 9. 

  19. Rhee, S. and T. Kim, 2016. Dense 3D Point Cloud Generation from UAV Images from Image Matching and Global Optimazation, Proc. of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Prague, Czech Republic, Jul. 12-19, vol. 41, pp. 1005-1009. 

  20. Shaker, I.F., A. Abd-Elrahman, A.K. Abdel-Gawad, and M.A. Sherief, 2011. Building extraction from high resolution space images in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s in the Great Cairo region, Remote Sensing, 3(4): 781-791. 

  21. Song, N.H., S.W. Shin, H.B. Cho, and W.S Cho, 2007. Automatic Extraction of Roof Components from LiDAR Data Basd on Octree Seg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5(4): 327-336. 

  22. Tseng, Y. H. and S. Wang, 2003. Semiautomated Building Extraction Based on CGS Model-Image Fitt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9: 171-180. 

  23. Wang, S.D. and Y.H. Tseng, 2004. Semi-automated CSG model-based building extraction from photogrammetric images, Proc. of the 20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Istanbul, Turkey, Jul. 12-23, vol. 35, pp. 440-445. 

  24. Weidner, U., 1996. An approach to building extraction from digital surface model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31: 924-929. 

  25. Weidner, U., 1997. Digital surface models for building extraction, Proc. of In Automatic extraction of man-made objects from aerial and space images (II), Birkh user Verlag, Basel, pp. 193-202. 

  26. Yan, L. and P. Li, 2014. Building Footprints Extraction Methods Based on Marker-controlled Watershed Segmentation and Local Radon Trans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13(11): 1903-19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