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방정부의 소통성과지표 개발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of Local Government for Citizen's Communication 원문보기

도시과학= Journal of urban science, v.7 no.2, 2018년, pp.11 - 19  

채은경 (인천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  이창길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도시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are making efforts to promote highly effective policies through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s a major innovation strategy.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cludes new performance indica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with citizens. This is a change to bu...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소통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할 때에 방향이 되고 참고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지방정부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는 사업과 업무를 분석하여 소통활동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과지표의 유형과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소통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할 때에 방향이 되고 참고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지방정부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는 사업과 업무를 분석하여 소통활동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과지표의 유형과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효율적 소통활동 성과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이에 잘못된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활용할 경우 측정하여야 할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기관의 성과관리가 왜곡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균형된 모습의 성과관리가 되기 위한 소통성과지표의 모습을 제안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조사와 사례검토 등을 통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인과적 관계가 있는 질문지법을 활용하거나, 구체화된 질문으로 설계된 체크리스트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조사기관을 통해서 대행으로 진행하는 현재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체 성과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적 체계를 갖추어 나가야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지방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고 있는 혁신전략 중의 하나인 소통을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할 때에 방향이 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소통성과지표의 개발 범위와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2조에서 의미하는 성과관리는? 성과관리에 대하여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2조에서는 “정부업무의 추진에 있어 기관 임무,중·장기 목표, 연도별 목표 및 성과지표를 수립하고, 그 집행과정 및 결과를 경제성·능률성·효과성 등의 관점에서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성과관리는 각 기관이 그 임무달성을 위해 전략기획 기반의 계획을 수립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투입하여 정책 및 업무활동의 목표를 달성한 후, 나타난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정책개선과 자원배분, 성과보상, 조직 및 인사관리 등에 반영함으로써 조직의 운용적 책임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국무조정실, 2015b; Poister, 1999; Kelly& Rivenbark 2003).
지방정부 단위에서의 소통성과지표는 “고객이 지방정부 정책에 관한 성과를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도록 성과를 측정하고,이를 기반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효과적 목표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라 정의한 이유는? 지방정부의 소통성과지표는 서비스의 수혜자인 주민이 성과지표의 대표성을 인지하고 적절성에 관한 검증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주민 요구에 응답할 수 있고 상호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지방정부 단위에서의 소통성과지표는 “고객이 지방정부 정책에 관한 성과를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도록 성과를 측정하고,이를 기반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효과적 목표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라 정의하고자 한다.
성과관리란? 성과관리에 대하여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2조에서는 “정부업무의 추진에 있어 기관 임무,중·장기 목표, 연도별 목표 및 성과지표를 수립하고, 그 집행과정 및 결과를 경제성·능률성·효과성 등의 관점에서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성과관리는 각 기관이 그 임무달성을 위해 전략기획 기반의 계획을 수립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투입하여 정책 및 업무활동의 목표를 달성한 후, 나타난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정책개선과 자원배분, 성과보상, 조직 및 인사관리 등에 반영함으로써 조직의 운용적 책임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국무조정실, 2015b; Poister, 1999; Kelly& Rivenbark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병준 (2010), e-거버넌스 시대 공무원 의사사통의 활성화 정책, 정책개발연구, 10(1), 91-117. 

  2. 강영철 (2009), 공공부문 성과지표의 규범적 지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4), 121-141. 

  3. 김태진.이재성.김건위 (2002), 공공기관 홈페이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평가연구 경향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33, 159-173. 

  4. 나태준.김성준.김용운 (2004), 새 술을 헌 포대에?: 서울시의 전략기획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3(3), 63-88. 

  5. 송건섭 (2013), 통합된 지방정부의 성과평가모델과 소통시스템 구축, 한국조직학회보, 10(3), 31-63. 

  6. 송건섭 (2017), 주민소통을 위한 지방의회의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 한국지방자치연구, 18(4), 55-83. 

  7. 이석환 (2011), 조직성과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4), 97-124. 

  8. 이용식(2013). 원활한 시정운영을 위한 소통지표 개발. 인천발전연구원. 

  9. 이종현.한경석 (2012), 행정기관의 효율적인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1), 73-95. 

  10. 이청림.이유재 (2012),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 모형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연구, 27(4), 69-99. 

  11. 인천광역시 (2013), 소통,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 소통지표개발 연구자료. 

  12. 임동진.윤수재 (2010),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및 만족요인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3), 83-114. 

  13. 제갈돈 (2013),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 성과, 및 만족도의 관계: 기대불일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1), 69-94. 

  14. 조경식.이양수 (2008), 조직간 의사소통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42(1), 229-252. 

  15. 채은경.이창길(2017). 인천시 소통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6. 황성수 (2012), 스마트 정부 시대에 맞는 참여적 거버넌스 모색: Social Media를 활용한 정책홍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5(4), 29-46. 

  17. 황성욱.문빛.이종혁 (2014), 지방자치단체 공공소통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5), 255-284. 

  18. 국무조정실 (2015a),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19. 국무조정실 (2015b), 성과지표 개발.관리 매뉴얼. 

  20. 기획재정부 (2012), 재정사업 성과지표 개발 매뉴얼. 

  21. 안전행정부 (2013), 정부3.0 성과관리 방안 연구. 

  22. 한국행정연구원 (2009),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 시스템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3. 한국행정연구원 (2015a), 평가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성과측정 매뉴얼 개발 연구. 

  24. 한국행정연구원 (2015b), 주요국 정부업무평가제도 동향연구. 

  25. 한국행정연구원 (2016), 정부업무평가정보 활용 방안. 

  26.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2015), An illustration of how to use the GCS Evaluation framework 

  27.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2015),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Handbook. 

  28. Government Communication Service (2015), GCS Evaluation Framework. 

  29. HM Government (2016), Government Communications Plan 2016/17. 

  30. Lewis, J. M. (2015), The Politics and Consequenc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Policy and Society, 34(1), 1-12. 

  31. Pandey, S. K.&Garnett, J. L. (2006), Exploring Public Sector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ing a Model and Drawing Implication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1), 37-5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