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교사 평가, 객관적 평가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Self-,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7 no.4, 2018년, pp.440 - 454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student self-,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on the topic of Hydraulic Machine was implemented to 40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an education office in ...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연구에서 포함하고 있는 공통적인 창의성 구성 요소는? 창의성은 매우 복잡한 개념으로 이를 정의하는데 많은 요소들이 관여하고 있으며(Weisberg, 1993), 창의성으로 간주되는 특징 또한 300가지 이상으로 다양하다(Treffinger, 2009).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공통적으로 독창성(참신성)과 유용성(적절성)을 창의성의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Sternberg, 1998). 그래서 최근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새로우면서도 유용한 산물을 만들어내는 성향이나 능력(Mayer, 1999; Mumford, 2003; Sternberg, 1998)으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교육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21세기는 지식정보사회로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창의성 개발은 세계적 관심사이자 국가적 시책이 되었다. 이렇듯 현대 교육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창의성은 오늘날 학교 교육과정에서 주요 목표로 제시되고 있으며(Newton, 2010; Walker & Gleaves, 2008), 우리나라 과학 교과 또한 교육과정(교육부, 2015)에서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 함양에 핵심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시책의 일환으로 2004년에 교육인적자원부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을 발표하였고,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영재교육을 위한 예산을 편성하였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 함양을 목표로 우리나라는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는가? 이렇듯 현대 교육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창의성은 오늘날 학교 교육과정에서 주요 목표로 제시되고 있으며(Newton, 2010; Walker & Gleaves, 2008), 우리나라 과학 교과 또한 교육과정(교육부, 2015)에서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 함양에 핵심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시책의 일환으로 2004년에 교육인적자원부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을 발표하였고,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영재교육을 위한 예산을 편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곽금주, 정윤경, 김민화(2010). 아동발달심리학. 서울: 박학사.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3. 김원경, 우남희(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3(2), 1-16. 

  4.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5. 임채성(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6.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7. Barbera, E. (2009). Mutual feedback in e-portfolio assessment: an approach to the netfolio system.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0(2), 342-357. 

  8. Barrett, H. (2007). Researching electronic portfolios and learner engagement: the reflective initiative. Adolescent and Adult Literacy, 50(6), 436-449. 

  9. Boud, D. & Falchikov, N. (1989). Quantitative studies of student self-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findings. Higher Education, 18, 529-549. 

  10. Bouzidi, L. & Jaillet, A. (2009). Can online peer assessment be trusted?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4), 257-268. 

  11. Butler, R. (1990). The effects of mastery and competitive conditions on self-assessment at different ages. Child Development, 61, 201-210. 

  12. Callahan, C. M. & Miller, E. M. (2005). A child-responsive model of giftedness. Conceptions of Giftedness, 2, 38-51. 

  13. Carmines, E. G. & Zeller, R. A. (1979).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Vol. 17). Sage publications. 

  14. Chan, D. W. (2005). Self-perceived creativity, family hardi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nese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2-3), 47-56. 

  15. Chang, C. C., Tseng, K. H. & Lou, S. J.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istency and difference among teacher-assessment, student self-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in a Web-based portfolio assessment environ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Computers & Education, 58(1), 303-320. 

  16. Cho, K., Schunn, C. & Wilson, R. (200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caffolded peer assessment of writing from instructor and student perspectiv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4), 891-901. 

  17.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Psychology Press. 

  18. Fox, S. & Dinur, Y. (1988). Validity of self-assessment: A field evaluation. Personnel Psychology, 41, 581-592. 

  19.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20. Knowles, M. S., Holton, E. F. III. & Swanson, R. A. (2005). The adult learner (6th Ed.). Burlington, MA: Elsevier. 

  21. Lin, S.-J., Liu, Z.-F. & Yuan, S.-M. (2001a). Web-based peer assessment: Attitude and achievement.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44(2), 13. 

  22. Lin, S.-J., Liu, Z.-F. & Yuan, S.-M. (2001b). Web-based peer assessment: Feedback for students with various thinking-styl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7(4), 420-432. 

  23. Liu, Z.-F. (2002). Studies of networked peer assess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sinchu: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24. LoCicero, K. A. & Ashby, J. S. (2000).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in middle school age gifted students: A comparison to peers from the general cohort. Roeper Review, 22(3), 182-185. 

  25.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27. Musante, K. & DeWalt, B. R. (2010). Participant observation: A guide for fieldworkers. Rowman Altamira. 

  28. Newton, L. & Newton, D. (2010). Creative thinking and teaching for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25(2), 111-124. 

  29. Patton, M. Q. (2005). Qualitative research. Encyclopedia of statistics in behavioral science. 

  30. Plake, B. S. & Impara, J. C. (1996). Teacher assessment literacy: What do teachers know about assessment?. In Handbook of classroom assessment (pp. 53-68). 

  31. Renzulli, J. S. (2003).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 75-87. 

  32. Ross, J. A. (2006).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tility of self-assessment.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1(10). Retrieved January 31, 2009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11&n10 

  33. Ross, J. A., Rolheiser, C. & Hogaboam-Gray, A. (1999). Effect of self-evaluation on narrative writing. Assessing Writing, 6(1), 107-132. 

  34. Sadler, P. & Good, E. (2006). The impact of self- and peer-grading on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Assessment, 11(1), 1-31. 

  35. Salvia, J., Ysseldyke, J. & Witmer, S. (2012). Assessment: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Cengage Learning. 

  36. Sowden, P. T. & Dawson, L. (2011, November). Creative feelings: The effect of mood on creative ideation and evaluation. In Proceedings of the 8th ACM Conference on Creativity and Cognition (pp. 393-394). ACM. 

  37. Sternberg, R. J. (1998, Ed.).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Sung, Y.-T., Chang, K.-E., Chiou, S.-K. & Hou, H.-T. (2005).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web-based self- and peer-assessment system. Computers and Education, 45(2), 187-202. 

  39. Treffinger, D. J. (2009). Myth 5: Creativity is too difficult to measure. Gifted Child Quarterly, 53(4), 245-247. 

  40. Treffinger, D., Young, G., Shelby, E.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RM02170). Storrs: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41. Tsai, C.-C. & Liang, J.-C. (2009). The development of science activities via on-line peer assessment: The role of scientific epistemological views. Instructional Science, 37, 293-310. 

  42. Tseng, S.-C. & Tsai, C.-C. (2007). On-line peer assessment and the role of the peer feedback: A study of high school computer course. Computers & Education, 49(4), 1161-1174. 

  43. Walker, C. & Gleaves, A. (2008). An exploration of student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creativity as an assessment criterion in undergraduate-level studies within higher education. Irish Educational Studies, 27(1), 41-54. 

  44.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WH Freeman New York. 

  45. Yager, R. E. (2000). A vision for what science education should be like for the first 25 years of a new millenni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6), 327-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