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원 야외체험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 창의성 과제 개발 - 초등과학영재학생에의 적용 -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Task for a Field Trip to Botanical Garden - Application to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4, 2020년, pp.506 - 521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김현주 (서울가원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ientific creativity task which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can conduct on a field trip to a botanical garden, and to analyze the results from conducting the task. For this, 38 science-gifted fifth-graders from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located at the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발휘하는 상황, 맥락, 주제에 의해 과학 창의성의 양상이 달라진다고 보고, 식물원 야외체험학습에서의 과학 창의성과제를 개발하고, 초등과학영재 학생에게 적용하여 학생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초등과학영재 학생에게 적용한 이유는 그들이 일반학생과 비교해 과학 지식과 탐구기능이 뛰어나고, 과학 창의성도 높은 편이므로(한기순 등, 2004) 창의적이면서 다양한 답변을 유도할 수 있고, 결과물 분석을 통해 일반 학생에게도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 초등과학영재 학생에게 적용한 이유는 그들이 일반학생과 비교해 과학 지식과 탐구기능이 뛰어나고, 과학 창의성도 높은 편이므로(한기순 등, 2004) 창의적이면서 다양한 답변을 유도할 수 있고, 결과물 분석을 통해 일반 학생에게도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강의식 수업뿐만 아니라, 야외체험학습도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야외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하여 그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 과학 창의성을 생태 학습에 적용하여 식물원 야외체험학습에서 실행할 수 있는 과학 창의성 과제를 개발하고,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결과물을 분석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영역 특수적 관점에서 과학 창의성을 정의하면, 과학적으로 새로우면서도 유용한 혹은 가치 있는 산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나 성향(임성만 등, 2009; 임채성, 2014)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제로 한 학생이 과학에서 발휘하는 창의성은 그 학생이 갖추고 있는 과학 지식이나 탐구기능 등에 의해 많이 좌우되므로(김현주 등, 2020; 박종원, 2004; 송성수, 2013),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식과 탐구기능을 통해 과학 창의성을 발휘할 과제를 개발하여 특정한 상황과 맥락에서 나타나는 과학 창의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 다른 말로 ‘유창성’이라고도 하는 이 지표는 독창성, 유용성과 달리 과학 창의성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아니지만 확산과 수렴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지표다. 유창성이 최종적으로 산출된 결과물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수집하였다.
  • 마지막으로 정성적 데이터로서 학생이 자신의 아이디어 중 가장 창의적인 아이디어라고 선택한 것의 내용과 선택 이유를 수집하였다. 이는 확산과 수렴의 과정에서 수렴의 단계를 탐구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이 어떤 과정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선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공식에 의한 평가와 자기 평가 결과를 두루 활용하되, 자기 평가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가 상호작용을 통해 유용성에 대한 합의된 기준을 갖춘다. 둘째, 최대한 상세하게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안내한다. 셋째, 수렴의 과정이 누락되기 쉬우므로 야외에서 활동한다고 해도 마지막까지 과제를 완수할 수 있도록 안내하거나 체험 학습 후 교실 수업에서마저 완성하게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김명숙, 최인수(2005).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과 영역 일반성의 절충적 대안 탐색. 교육심리연구, 19(4), 1139-1158. 

  2. 김민주, 임채성(2019a). 초등과학영재학생의 발표에 대한 인식 및 발표의 자발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8(3), 331-344. 

  3. 김민주, 임채성(2019b).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39-452. 

  4. 김민주, 임채성(2020).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과 다중지능의 관계-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369-381. 

  5. 김영채(2012). 창의력의 영역 보편성과 특수성: 쟁점과 TTCT 창의력 검사의 분석. 사고개발, 8(1), 1-29. 

  6. 김현주, 김민주, 임채성(2020).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지식과 과학창의성의 관계-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382-398. 

  7.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8. 성진숙(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19-237. 

  9. 송성수(2013). 과학사의 사례를 활용한 과학자의 창의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다윈, 에디슨, 아인슈타인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2(2), 227-236. 

  10. 이재무, 이경현, 이지항(2010). 체육영재, 학업영재, 일반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정서지능 특성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19(4), 609-622. 

  11.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12. 임채성(2012). 뇌기반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13.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14. 정덕호, 박선옥(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편향에 대한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75-191. 

  15.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16. 조연순, 최경희(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29-343. 

  17. 최경희, 조희형(2002). 구성주의 특성에 따른 과학교육. 과학기술학연구, 2(2), 91-122. 

  18. 최인수(2000).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19. 최일호, 최인수(2001).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09-428. 

  20. 한기순(2000).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21. 한기순, 배미란(2004).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 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2), 49-68. 

  22. Amabile, T. 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997-1013. 

  23.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 

  24.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25. Baer, J. (1993). Creativity and divergent thinking: A taskspecific approach. Hillsdale, NJ: Erlbaum. 

  26.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3-177. 

  27. Baer, J. (2011). How divergent thinking tests mislead us: Are the Torrance Tests still relevant in the 21st century? The Division 10 debate.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 vity, and the Arts, 5(4), 309-313. 

  28. Baer, J. & Kaufman, J. C. (2005). Whence creativity? Overlapping and dual-aspect skills and traits. In J. C. Kaufman & J. Baer (Eds), Creativity across domains:Faces of the Muse (pp. 313-320). Mahwah, New Jersey:Lau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9. Basadur, M. (1995). Optimal ideation-evaluation ratio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 63-75. 

  30. Bouzidi, L. & Jaillet, A. (2009). Can online peer assessment be trusted?.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4), 257-268. 

  31. Campbell, D. T. (1960). Blind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creative thought as in other knowledge processes. Psychological Review, 67, 380-400. 

  32. Chang, Y. K., Zhang, X., Mokhtar, I. A., Foo, S., Majid, S., Luyt, B. & Theng, Y. L. (2012). Assessing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n two secondary schools in Singapore.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6(2), 19-34. 

  33. Craft, A., Jeffrey, B. & Leibling, M. (Eds.).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London: A&C Black. 

  34. Ernest, P. (1995), The one and the man/% In L. P. Steffe & J. Gale (Ed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5. Feist, G. J. (1998).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i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4), 290-309. 

  36. Gray, C. E. (1966). A measurement of creativity in Western civilization. American Anthropologist, 68(6), 1384-1417. 

  37. Han, K. S. & Marvin, C. (2002). Multiple creativities? Investigating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6(2), 98-109. 

  38.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39. Kaufmann, G. (2001).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In J. Henry (Ed), Creative management (2nd ed.). London:STAGE Publication. 

  40.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41. Kim, K. H. (2006). Can we trust creativity tests? A review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1), 3-14. 

  42. Kim, J., Lim, N. & Kim, N. (2000). A study on development of modelling for field trips of biology learning. Biology Education, 28(2), 129-135. 

  43. Kogan, N. (1983). Stylistic vari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reativity, metaphor, and cognitive styles.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Cognitive development (4th ed.), (pp. 628-706). New York, NY: Wiley. 

  44. Korfiatis, K. J. & Tunnicliffe, S. D. (2012). The living world in the curriculum: Ecology, an essential part of biology learning.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6(3), 125-127. 

  45. Lubart, T. I. (1999). 17 Creativity across cultures. Handbook of creativity, 339-350.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Mayer, R. E. & Dow, G. T. (2004). Teaching students to solve insight problems: Evidence for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traini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 389-402. 

  47. Merrotsy, P. (2013a). Tolerance of ambiguity: A trait of the creative personal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5(2), 232-237. 

  48.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49. Olsen, R. V., Turmo, A. & Lie, S. (2001). Learning about students' knowledge and thinking in science through large-scale quantitative stud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6(3), 403. 

  50. Plucker, J. A. (1998). Beware of simple conclusions: The case for content general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9-182. 

  51. Plucker, J. A. & Beghetto, R. A. (2004). Why creativity is domain general, why it looks domain specific, and why the distinction does not matter.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 153-16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2. Plucker, J. A., Beghetto, R. A. & Dow, G. T.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s,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 83-96. 

  53. Ross, J. A. (2006).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tility of self-assessment.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1(1), 10. 

  54. Runco, M. A. (2004). Everyone has creative potential.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p. 21-3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5. Runco, M. A. & Acar, S. (2012). Divergent thinking as an indicator of creative potential.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66-75. 

  56. Sadler, P. M. & Good, E. (2006). The impact of self-and peer-grading on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Assessment, 11(1), 1-31. 

  57. Simonton, D. K. (1999). Origins of genius: Darwinian perspectives on creativity.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58. Simonton, D. K. (2004). Exceptional creativity and chance:Creative thought as a stochastic combinatorial process. Beyond knowledge: Extracognitive aspects of developing high ability, 39-72. UK: Routledge. 

  59. Simonton, D. K. (2007). Creativity: Specialized expertise or general cognitive processes? In M. J. Roberts (Ed), Integrating the mind: Domain general versus domain specific processes in higher cognition (pp. 351-367). Hove, England: Psychology Press. 

  60. Simonton, D. K. (2012). Assessing scientific creativity: Conceptual analyses of assessment complexities. Commissioned paper, The Science of Science and Innovation Policy Conferenc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61. Singer, D. G., Singer, J. L., D'Agnostino, H., Delong, R., D'agostino, H. & Delong, R. (2009). Children's pastimes and play in sixteen nations: Is free-play declining? American Journal of Play, 1(3), 283-312. 

  62. Sternberg, R. J. (Ed) (1998).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2004).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4. Sung, Y. T., Chang, K. E., Chiou, S. K. & Hou, H. T. (2005).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web-based self-and peerassessment system. Computers & Education, 45(2), 187-202. 

  65.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New York: WH Freeman. 

  66. Wilson, C. (2011). Effective approaches to connect with nature. Wellington: Department of Conserv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