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아동의 안전사고 유형과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 Safety Accidents among Hospitalized Children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3, 2018년, pp.182 - 190  

김은주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근면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patient safety accidents among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 safety reports for 0-19-year-old patient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f...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 7월 KOPS의 활용 이후 2017년 12월까지 입원아동의 안전사고 보고 자료를 대상으로 국내 입원아동의 안전사고 빈도와 특성, 위해정도 및 보고주체를 확인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KOPS에 등록된 입원아동의 안전사고 유형 및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이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에 보고된 입원아동안전사고와 관련된 자료를 근거로 입원아동의 안전사고와 위해정도의 유형 및 특성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환자안전사고예방프로그램 및 환자안전문화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16년 7월부터 2017년 12월 30일까지의 보고 자료이며 0-19세 입원아동의 사례만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는 환자안전법이 시행된 2016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Korean Patient Safety Reporting & Learning System, 이하 KOPS)에 보고된 입원아동의 안전사고자료에 대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자 안전법에서 환자안전사고란? 우리나라의 경우 다소 늦게 2010년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을 목표로 의료기관 인증제가 출범하였으며, 2016년 7월「환자안전법」이 시행되었다[6]. 환자 안전법에서 환자안전사고는 ‘보건의료인이 환자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안전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위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로 정의되고 있다(동법 제2조)[7]. 즉 환자안전법의 목적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환자의 보호 및 의료 질 향상에 이바지함에 있으며(환자안전법 제 1조), 환자안전법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안전사고의 예방, 보고 재발 방지 등을 위한환자안전 관리체계인 ‘환자안전사고의 자율보고 및 보고, 학습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7].
환자안전은 어떤 문제인가? 환자안전은 환자에게 발생하는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허용되는 최소한으로 낮추는 것이며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데 있어 기본 권리이자 존엄성에 관한 문제이다[1]. 2000년 이후미국, 영국 및 일본 주요 국가들은 환자 안전시스템을 개발하고 자율보고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등 환자 안전에 대한 국제적인 노력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2].
현재까지의 보고 건수가 안전사고의 전수가 아니라고 보는 시각에서 간호사가 사고를 보고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빈번하게 안전사고가 나타날 수 있는 연령에서의 보고 건수가 약 5% 정도인 것을 볼 때, 아직까지는 해당 안전사고의전수가 보고되었다고 볼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환자상태에 대한 두려움, 상사 또는 동료로부터의 비난, 징계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 보고를 주저할 수 있으므로[13,14] 자율적 보고 시스템 정착을 위해 이에 대한 교육과환자안전문화 활동에 대한 인식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KOPS의 적용에 있어서 예방 및 교육에 초점을 두고 의료인뿐 아니라 사고보고 대상자인 환자 및 보호자까지 확대되어 광범위하게 홍보되어야 하며, 이것이 안전사고의 근본적 문제 확인을 위한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alliance for patient safety. forward programme 2008-2009. Geneva: WHO, 2008 [cited 2016 Dec 28]. Available at: http://www.who.int/patientsafety/information_centre/reports/Alliance_For\-ward_Programme_2008.pdf. 

  2. Lee JS. The first hospital in the accident drug errors such as prescription. Newsis1. 2017; November 11: Sect. Medical. 

  3. Kohn LT, Corrigan JM, Donaldson MS.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p86-108. 

  4. U.S. Department of Health &Human Services.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ct of 2005 Statute and Rule. https://www.hhs.gov/hipaa/for-professionals/patient-safety/statute-and-rule/index.html 

  5. Douglas HF, Wilson DP, Daniel MH, David RW, Deborah SM, John MW. Event reporting to a primary care patient safety reporting system: a report from the ASIPS collaborative. Annals of Family Medicine. 2004; 2(4):331-332. 

  6.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Patient Safety Act. 2016.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7782#0000. 

  7. Gu HM. On the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for patient safety events.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240:46-56.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lan of patient safety. 2018 [cited 2018 October 25].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140&CONT 

  9. Landrigan CP, Stockwell D, Toomey SL, Loren S, Tracy M, Jang J, et al. Performance of the global assessment of pediatric patient safety (GAPPS) tool. Pediatrics. 2016;137(6):1-12. https://doi.org/10.1542/peds.2015-4076 

  10. Levene S, Bonfield G. Accidents on hospital ward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1;66:1047-1049. http://dx.doi.org/10.1136/adc.66.9.1047 

  11. Rees P, Edwards A, Powell C, Hibbert P, Williams H, Makeham M. Patient safety incidents involving sick children in primary care in England and Wales: a mixed methods analysis. PLoS medicine. 2017;14(1):1-23.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2217 

  12. Lee JH, Lee W, Lee YR, Lee YS, Jang SK.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eoul. 2018; 1-120. 

  13. Lee EK, Jung CH, Jeon HJ. Experiences of nurses in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10;11:94-105. 

  14. Elder NC, Brungs SM, Nagy M, Kudel I, Render ML. Nurses' perceptions of error communication and repor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tient Safety. 2008;4:162-168. https://dx.doi.org/10.1097/PTS.0b013e3181839b48 

  15. Leep LL, Berwick DM, Bate DW. What practices will most improve safety?: evidence-based medicine meets patient safety. JAMA. 2002;288(4):501-507. http://doi.org/10.1001/jama.288.4.501 

  16. Fontan JE, Maneglier V, Nguyen VX, Loirat C, Brion F. Medication errors in hospital: computerized unit dose drug dispensing system versus ward stock distribution system. Pharmacy World and Science. 2003;25:112-117. https://doi.org/10.1023/A:1024053514359 

  17. Lee YM.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117-124.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17 

  18. Cooper CL, Nolt JD.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7;22(2):107-112. https://doi.org/10.1097/01.NCQ.0000263098.83439.8c. 

  19. Cho MS, Song MR, Cha SK. Risk factors for pediatric in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3;43(5):595-604.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95 

  20. Shin HJ, Kim YN, Kim JH, Son IS, Bang K.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215-224. https://doi.org/10.4094/chnr.2014.20.3.215 

  21. Da Rin Della Mora R, Bagnasco A, Sasso L. Inhospital paediatric accident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2;59(4):466-473. 

  22. Lee TK, Kim EY, Kim NH.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35-47. 

  23. Pak KH. A study on reporting system of patient safety in patient safety Act. Kangwon Law Review. 2015;45:325-351. 

  24. Suh JH.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Patient Safety in Hospitals, Health and Welfare Forum. 2016;6-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