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
Hospitalization Stress in Child : Concep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327 - 335  

이영옥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은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한 개념을 내리고자 시도 되었고,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은 생리적 변화, 개인-환경 상호작용, 인지적,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적 반응, 대처방식으로 인한 내재적, 외현적 변화로 도출되었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선행요인은 질병의 심각성, 생물학적 요인, 지지체계였으며, 결과는 입원생활적응, 질병 및 건강회복, 아동발달 증진, 대처기술의 획득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질병의 인지지각이 되어야 하고 부모-가족의 지지체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후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개발 연구, 입원스트레스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ion of children's hospitalization stress and to make clear concepts, and to use Walker & Avant's concept analysis method. Children's hospitalization stress attributes were derived from physiological changes, individual-environmental interactions, 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아동의 특성상 가족에게 의존적이기 때문에 가족을 포함한 간호가 중요시 되어왔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부모, 가족의 스트레 스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아동의 인지발달에 따라 정확한 표현과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입원한 아동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아동 환자의 입원 스트레스 관련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입원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을 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 다음 사례들은 경계사례, 반대사례, 관련사례들로 어떠한 이유로 모델 사례가 될 수 없는가를 보여줌으로써 입원 아동의 스트레스의 속성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15].
  • 두 번째 단계로 개념분석의 목적을 결정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입원스트레스개념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고 명확한 개념적 정의를 내려 아동의 입원스 트레스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입원스트레스에 대한 개념 분석을 통하여 그 속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해봄으로써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15]의 개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개념의 의미와 속성을 규명하여, 그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의 방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입원스트레스에 대한 개념 분석 연구로, 그 속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추후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측정할수 있는 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입원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개념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고, 입원 스트 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및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간호에 있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15]의 단계에 따라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적 속성, 주요 선행요인, 결과확인, 경험적 준거 확인을 도출하였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이미 문헌에서 정의가 되어 사용 되고 있으나 공포[10,11]], 두려움[13,14] 등의 정서적 반응과 관련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의미를 명확히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 J. Volicer. (1973). Perceived stress levels events associate with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Nursing Research, 22(6), 491-497. 

  2. S. Y. Yoo.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hospitalization stress-focused on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3(2), 49-61. DOI : 10.17547/kjsr.2015.23.2.49 

  3. P. R. Lee. (1985).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for children and elderly. Health Service Research, 19(6), 783-792. 

  4. L. D. Dorn. (1984). Children's concepts of illness. Clinical applications. Pediatric Nursing, Sep/Oct, 325-327. 

  5. H. S. Kim et al. (2013). Child, 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Goonja 

  6. F. Erickson.(1965). The toddler during illness. Hospital Topics, 42. 94-97 

  7. E. S. Park et al. (2014). Nursing care of children. Seoul : Hyunmusa. 

  8. H. S. Kim et al. (2017)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3nd ed, Paju: Soonunsa 

  9. S. G. Kim, M. A. Choe, W. K. Kwon, S. H.Park, H. Y. Ahn & Y. K. Kim. (1999). Effect of information interventions on coping of mother's stress in unplanned childhood hospitalization.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3(1), 23-28. 

  10. M. J. Kang, I. S. Kwon & E. Jeong. (2017). influence of hospitalization recognition and hospital related fear on the adjustment to hospital life by hospitalized school-ag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3(3), 375-384. DOI : 10.4094/chnr.2017.23.3.375. 

  11. Y. I. Moon. (1995)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hospital-related fears in hospitalized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1), 61-79. DOI : 10.4040/jnas.1995.25.1.61 

  12. J. N. Oh. (2003). School aged children's adjustment to hospital lif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4), 399-407. 

  13. M. Salmela, E. T Aronen & S. Salantea. (2010). The experience of hospital-related fears of 4- to 6-year-old children,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7(5), 9-726. DOI : 10.1111/j.1365-2214.2010.01171.x 

  14. S. H. Im. (2003). A study on hospitalized children's fear of hospital and their mother's rearing attitud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139-154. 

  15. L. O. Waker & K. C. Avant.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6. Rice & Virginia Hill. (2018). Handbook of stress, coping, and health : implications for nurs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2nd ed. Paju : Somoonsa. 

  17. S. H. Park & J. Y. Kim, (2014). Child mental health, Paju : Yangseowon. 

  18. M. J. Kostelnik, A. P Whiren, A. K. Soderman & K. M. Gregory. (2010).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6th edition, Paju : Gyomoon publishers, 

  19. S. H. Lee. (2004.). Korea-Dictionary, Seoul: Min Jung. 

  20. Prime English-Korean Dictionary. (2006). Seoul : Dusan Dong-a, 

  21. W. J. Lee. (2002). English-Korean Medical Dictionary. Seoul: Academy book. 

  22. W. Osika, P. Friberg & P. Wahrborg. (2007). A new short self-rating questionnaire to assess stress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4(2), 108-117. 

  23. J. A. Oh. (2004).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promoting the adjustment and its effectiveness for school aged children's hospital life, 34(3), 525-533. DOI : 10.4040/jkan.2004.34.3.525 

  24. J. A. Vessey. (2003). Children's psychological responses to hospitalization,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21, 173-201 

  25. M. H. Sung. (2000). A study on health/illness concepts in hospitalized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3), 291-304. 

  26. M. H. Sung. (2001). A study on health/illness concepts in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7(2), 149 -160. 

  27. P. Tiina & L. K. Helena. (2010). Children's best and worst experiences during hospitalization. Scandinavia Journal of Caring science, 24, 726-733. 

  28. J. A. Oh & J. H. Lee. (2004).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testing of a program promote self-esteem for hospitalized school-ag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0(4), 460-467. DOI : 10.1111/j.1471-6712.2010.00770. 

  29. I. Coyne. (2006). Children's experiences of hospitalization.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10(4), 326-336. 

  30. M. Y. Kim, H. N Ko, S, J. Kim & B, Y. Kim. (2019). The Effect of Zippy's Friends program Based on Stress-Coping Model on Early -Child in Convergence Era. 10(5). 359-3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