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환북극의 변화
Projection of Circum-Arctic Features Under Climate Change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4, 2018년, pp.393 - 402  

이지연 (극지연구소) ,  조미현 (극지연구소) ,  고영대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김백민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정지훈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future changes in the Arctic permafrost features and related biogeochemical alterations under global warming. The Community Land Model (CLM) with biogeochemistry (BGC) was run for the period 2005 to 2099 with projected future climate based on the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강제력으로 CLM4.5BGC를 2005년부터 2099년까지 적분하여 동토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대기 강제력은 NCAR PCM (Parallel Climate Model)의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A2 시나리오 결과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토로부터의 메탄 방출은 기후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2000). 메탄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주요 온실가스(Greenhouse gas, GHG)의 하나로써, 분자당 이산화탄소의 21배에 해당 하는 온실효과를 가진다(Lombardi et al., 2006). 또한 메탄은 대기 중으로 방출된 후에는 평균 잔류시간이 12.4년으로 다양한 과정에 의해 소멸이 가능하여 5년에서 200년까지 편차가 큰 이산화탄소의 잔류시간 보다 짧은 잔류시간을 갖고 있지만, 이산화탄소보다 에너지 흡수율이 훨씬 높아 지구온난화 잠재력(Global warming potential)이 매우 크므로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IPCC, 2013). 그러나 IPCC 5차 보고서의 미래 기후변화 RCP 시나리오에는 동토로부터 방출되는 탄소와 메탄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영구동토층은 무엇인가? 여름철에도 녹지 않고 온도가 두 해 이상 영하로 유지되고 있는 토양을 영구동토층(permafrost)이라 한다. 영구동토층은 주로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시베리아, 알프스, 티베트 고지대 등에 분포하며, 북반구 지표면 면적의 약 25%를 차지한다(Camill, 2005).
지구온난화는 영구동토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일부 동토층은 겨울철에는 결빙 상태가 유지되지만 여름철에 토양온도가 영상으로 올라가면서 해동(thawing)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활동층(active layer)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듯 지구온난화의 진행에 따라 활동층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사라지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Jorgenson et al., 2006; Bun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thony, K. M. W., P. Anthony, G. Grosse, and J. Chanton, 2012: Geologic methane seeps along boundaries of Arctic permafrost thaw and melting glaciers. Nat. Geosci., 5, 419-426, doi:10.1038/ngeo1480. 

  2. Brown, J., and V. E. Romanovsky, 2008: Report from the International Permafrost Association: State of permafrost in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Permafrost Periglac., 19, 255-260. 

  3. Bunn, A. G., S. J. Goetz, J. S. Kimball, and K. Zhang, 2007: Northern high?latitude ecosystems respond to climate change.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88, 333-335. 

  4. Camill, P., 2005: Permafrost thaw accelerates in boreal peatlands during late-20th century climate warming. Climatic Change, 68, 135-152. 

  5. Cao, M., S. Marshall, and K. Gregson, 1996: Global carbon exchange and methane emissions from natural wetlands: Application of a process-based model. J. Geophys. Res. Atmos., 101, 14399-14414 

  6. Christensen, T. R., and Coauthors, 2003: Factors controlling large scale variations in methane emissions from wetlands. Geophys. Res. Lett., 30, 1414. 

  7. Deconto, R. M., S. Galeotti, M. Pagani, D. Tracy, K. Schaefer, T. Zhang, D. Pollard, and D. J. Beerling, 2012: Past extreme warming events linked to massive carbon release from thawing permafrost. Nature, 484, 87-91, doi:10.1038/nature10929. 

  8. Deque, M., and Coauthors, 2007: An intercomparison of regional climate simulations for Europe: assessing uncertainties in model projections. Climatic Change, 81, 53-70. 

  9. Friedlingstein, P., and Coauthors, 2006: Climate-carbon cycle feedback analysis: results from the C4MIP model intercomparison. J. Climate, 19, 3337-3353. 

  10. Hanson, P. J., N. T. Edwards, C. T. Garten, and J. A. Andrews, 2000: Separating root and soil microbial contributions to soil respiration: a review of methods and observations. Biogeochemistry, 48, 115-146. 

  11. Hicks Pries, C. E., E. A. Schuur, and K. G. Crummer, 2013: Thawing permafrost increases old soil and autotrophic respiration in tundra: partitioning ecosystem respiration using ${\delta}13C$ and ${\Delta}14C$ . Glob. Change. Biol., 19, 649-661, doi:10.1111/gcb.12058. 

  12.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35 pp, doi:10.1017/CBO9781107415324. 

  13. Jorgenson, M. T., Y. L. Shur, and E. R. Pullman, 2006: Abrupt increase in permafrost degradation in Arctic Alaska. Geophys. Res. Lett., 33, L02503. 

  14. Koven, C. D., W. J. Riley, and A. Stern, 2013: Analysis of permafrost thermal dynamics and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CMIP5 Earth System Models. J. Climate, 26, 1877-1900, doi:10.1175/JCLI-D-12-00228.1. 

  15. Koven, C. D., D. M. Lawrence, and W. J. Riley, 2015: Permafrost carbon-climate feedback is sensitive to deep soil carbon decomposability but not deep soil nitrogen dynamics. Proc. Natl Acad. Sci., 112, 3752-3757, doi:10.1073/pnas.1415123112. 

  16. Lawrence, D. M., A. G. Slater, and S. C. Swenson, 2012: Simulation of present-day and future permafrost and seasonally frozen ground conditions in CCSM4. J. Climate, 25, 2207-2225, doi:10.1175/JCLI-D-11-00334.1. 

  17. Lawrence, D. M., C. D. Koven, S. C. Swenson, W. J. Riley, and A. G. Slater, 2015: Permafrost thaw and resulting soil moisture changes regulate projected high-latitude $CO_2$ and $CH_4$ emissions. Environ. Res. Lett., 10, 094011, doi:10.1088/1748-9326/10/9/094011. 

  18. Li, H., J. Sheffield, and E. F. Wood, 2010: Bias correc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fields from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R4 models using equidistant quantile matching. J. Geophys. Res. Atmos., 115, D10101, doi:10.1029/2009JD012882. 

  19. Lombardi, L., E. Carnevale, and A. Corti, 2006: Greenhouse effect reduction and energy recovery from waste landfill. Energy, 31, 3208-3219. 

  20. Nakano, T., S. Kuniyoshi, and M. Fukuda, 2000: Temporal variation in methane emission from tundra wetlands in a permafrost area, northeastern Siberia. Atmos. Environ., 34, 1205-1213. 

  21. Oleson, K. W., and Coauthors, 2013: Technical Description of version 4.5 of the Community Land Model (CLM). NCAR Tech. Note NCAR/TN-503+STR, 420 pp. 

  22. Quinton, W. L., M. Hayashi and L. E. Chasmer, 2011: Permafrost- thaw-induced land-cover change in the Canadian subarctic: implications for water resources. Hydrol. Process., 25, 152-158, doi:10.1002/hyp.7894. 

  23. Riley, W. J., Z. M. Subin, D. M. Lawrence, S. C. Swenson, M. S. Torn, L. Meng, N. M. Mahowald, and P. Hess, 2011: Barriers to predicting changes in global terrestrial methane fluxes: analyses using CLM4Me, a methane biogeochemistry model integrated in CESM. Biogeosciences, 8, 1925-1953, doi:10.5194/bg-8-1925-2011. 

  24. Romanovsky, V. E., S. L. Smith, and H. H. Christiansen, 2010: Permafrost thermal state in the polar Northern Hemisphere during the international polar year 2007- 2009: a synthesis. Permafrost Periglac., 21, 106-116. 

  25. Schuur, E. A. G., J. G. Vogel, K. G. Crummer, H. Lee, J. O. Sickman, and T. E. Osterkamp, 2009: The effect of permafrost thaw on old carbon release and net carbon exchange from tundra. Nature, 459, 556-559. 

  26. Schuur, E. A. G., and Coauthors, 2013: Expert assessment of vulnerability of permafrost carbon to climate change. Climatic Change, 119, 359-374, doi:10.1007/s10584-013-0730-7. 

  27. Taylor, K. E., R. J. Stouffer, and G. A. Meehl, 2012: An overview of CMIP5 and the experiment design. Bull. Amer. Meteor. Soc., 93, 485-498, doi:10.1175/BAMSD-11-00094.1. 

  28. Wu, Q., and T. Zhang, 2010: Changes in active layer thickness over the Qinghai-Tibetan Plateau from 1995 to 2007. J. Geophys. Res. Atmos., 115, D09107, doi: 10.1029/2009JD012974. 

  29. Xie, K., Y. Zhang, G. Meng, and J. T. Irvine, 2011: Direct synthesis of methane from $CO_2$ / $H_2O$ in an oxygenion conducting solid oxide electrolyser. Energ. Environ. Sci., 4, 2218-2222, doi:10.1039/C1EE01035B.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