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 지상 미세먼지 관측 비교
Comparison of Ground-Based Particulate Matter Observations in the Seodaemun-gu District, Seoul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4, 2018년, pp.469 - 477  

구자호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민석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박중희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전수안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노현석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준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윤곤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the comparison of observed $PM_{10}$ and $PM_{2.5}$ at both the Yonsei University and the AIRKOREA site in the same Seodaemun-gu district, Seoul from March to December 2016. Generally, the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two sites were found for both $PM_{10}$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고려, 두 관측소에서의 미세먼지 관측값이 풍향, 풍속에 따라 얼마나 유사하게 또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간략히 비교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도 같은 도시 범위에서의 자료를 활용, 미세먼지 특성을 분석해 보기도 했으나(Son and Kim, 2009), 이 연구는 보다 더 좁은 구별(district) 행정 구역상에서도 관측 기기의 위치에 따라 또는 운영하는 관측 기기에 따라 관측값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봄으로써 공간적으로 조밀한 관측망의 운용 및 그 자료 활용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 실제로 위에서 두 관측소 사이 PM 관측값의 차이를 관측소 주변 바람장의 특징이 연관될 수 있을 가능성과 연관하여 추정해보기도 하였다. 따라서 풍속 및 풍향의 특성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분석을 다음과 같이 진행해보았다.
  • 본 연구는 서대문구에 위치하는 에어코리아 관측소에서 측정한 PM10 및 PM2.5 자료를 연세대학교 과학관에서 관측한 PM10 및 PM2.5 자료와 동일기간에 대해서 비교해보고 대기 미세먼지 농도가 바람장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한 최근 연구 결과들을(Wang et al., 2016; Kim et al., 2017) 고려, 두 관측소에서의 미세먼지 관측값이 풍향, 풍속에 따라 얼마나 유사하게 또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간략히 비교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도 같은 도시 범위에서의 자료를 활용, 미세먼지 특성을 분석해 보기도 했으나(Son and Kim, 2009), 이 연구는 보다 더 좁은 구별(district) 행정 구역상에서도 관측 기기의 위치에 따라 또는 운영하는 관측 기기에 따라 관측값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봄으로써 공간적으로 조밀한 관측망의 운용 및 그 자료 활용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대문구 내에 있는 두 미세먼지 관측소에서 측정된 PM10 및 PM2.5 자료를 비교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추가적으로 두 관측소 사이 미세먼지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인자로 여겨지는 바람장의 특징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변화가 어떤 식으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 추가적으로 두 관측소 사이 미세먼지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인자로 여겨지는 바람장의 특징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변화가 어떤 식으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During the research period (March to December 2016), mean PM10 (yellow) and PM2.5 (brown) values at (a) Yonsei university and (b) AIRKOREA sites for each sector of wind direction are compared.
  • During the research period (March to December 2016), mean PM10 (yellow) and PM2.5 (brown) values at (a) Yonsei university and (b) AIRKOREA sites for each sector of wind speed are compared.
  • , 2007) 북서풍이 강한 시점에 PM 농도가 높게 관측되는 현상이 잘 설명된다. 한편 바람장의 변화와 미세먼지의 농도 사이의 특성을 살펴보는 최근 연구들의 경우(e.g., Kim et al., 2017) 바람장의 변동성이 PM10과 PM2.5 각각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해서는 크게 다룬 바가 없는데 비해 본 연구는 바람에 의해 미세먼지의 축적 및 확산에 따른 농도 변화의 특성이 PM10과 PM2.5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가리키고 있다. 즉 PM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 감시에 위성보다 지상 관측의 중요성이 더 높은 이유는? 5 물리량은 지상 및 위성 관측,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다만 위성 관측의 경우 PM 물리량 대신 에어로졸 광학 깊이(aerosol optical depth, AOD)와 같은 대기 혼탁도를 잘 표현하는 물리량을 산출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를 별도로 PM10 및 PM2.5로 변환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는데 (Seo et al., 2015; Kim et al., 2016) 이 과정에서 불확실한 오차가 개입될 확률이 존재한다. 모델 시뮬레이션의 경우 보통 화학수송모델(Chemical Transport Model, CTM)의 결과값을 통해 PM 특성을 살펴보게 되는데(Kim et al., 2017) 모델 내에서 대기 에어로졸 배출원을 고려하기 위해 초기조건으로 고려하는 배출량 정보가 현시점에서 정확성이 낮은데다 실제 기상, 기후 조건들을 정확하게 고려하는데 아직 한계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PM 정보를 추정하기 쉽지 않다. 즉, 여전히 지상 관측의 중요성이 높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PM10이란? 5 등이 있다. PM10은 건조 공기에서 직경 10 μ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모든 대기 입자의 총 질량 밀도를 의미하며 PM2.5는 같은 관점에서 직경 2.
PM2.5란? PM10은 건조 공기에서 직경 10 μ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모든 대기 입자의 총 질량 밀도를 의미하며 PM2.5는 같은 관점에서 직경 2.5 μm 이하의 입자 총 질량 밀도를 의미한다(단위: μg m−3). 흔히 사막에서 배출되는 모래 먼지, 황사와 같은 입자들의 영향은 크기가 큰 입자를 고려할 수 있는 PM10 값을 통해 주로 확인하는 반면, 건강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볼 때는 PM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tinano, B., P. Salvador, D. G. Alonso, X. Querol, and A. Alastuey, 2003: Anthropogenic and natural influence on the $PM_{10}$ and $PM_{2.5}$ aerosol in Madrid (Spain). Analysis of high concentration episodes. Environ. Pollut., 125, 453-465. 

  2. Davidson, C. I., R. F. Phalen, and P. A. Solomon, 2005: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human health: A review. Aerosol Sci. Tech., 39, 737-749. 

  3. Hwang, Y.-J., S.-J. Lee, H.-S. Do, Y.-K. Lee, T.-J. Son, T.-G. Kwon, J.-W. Han, D.-H. Kang, and J.-W. Kim, 2009: The analysis of $PM_{10}$ concentration and the evaluation of influences by meteorological factors in ambient air of Daegu Area. J. Kor. Soc. Atmos. Environ., 25, 459-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acobson, M. Z., 2001: Global direct radiative forcing due to multicomponent anthropogenic and natural aerosols. J. Geophys. Res., 106, 1551-1568. 

  5. Jeong, U., J. Kim, H. Lee, J. Jung, Y. J. Kim, C. H. Song, and J.-H. Koo, 2011: Estimation of the contributions of long range transported aerosol in East Asia to carbonaceous aerosol and PM concentrations in Seoul, Korea: a PSCF model approach. J. Environ. Monitor., 13, 1905-1918, doi:10.1039/c0em00659a. 

  6. Jung, J., Y. J. Kim, K. Y. Lee, M. G.-Cayetano, T. Batmunkh, J.-H. Koo, and J. Kim, 2010: Spectral optical properties of long-range transport Asian Dust and pollution aerosols over Northeast Asia in 2007 and 2008. Atmos. Chem. Phys., 10, 5391-5408, doi:10.5194/acp-10-5391-2010. 

  7. Kim, H. C., and Coauthors, 2017: Recent increase of surfac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Sci. Rep., 7, 4710, doi: 10.1038/s41598-017-05092-8. 

  8. Kim, J.-A., H.-A. Jin, and C.-H. Kim, 2007: Characteristics of time variations of $PM_{10}$ concentrations in Busan and interpreting its generation mechanism using meteorological variables. J. Environ. Sci. Int., 16, 1157-1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 and Coauthors, 2016: Estimation of surface-level PM concentration from satellite observ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aerosol vertical profiles and hygroscopicity. Chemosphere, 143, 32-40, doi:10.1016/j.chemosphere.2015.09.040. 

  10. Kim, K.-H., E. Kabir, and S. Kabir, 2015: A review on the human health impact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Environ. Int., 74, 136-143, doi:10.1016/j.envint.2014.10.005. 

  11. Kim, S.-M., J. Yoon, K.-J. Moon, D.-R. Kim, J.-H. Koo, M. Choi, K. N. Kim, and Y. G. Lee, 2018: Empirical estimation and diurnal patterns of surface $PM_{2.5}$ concentration in Seoul using GOCI AOD. Kor. J. Remote Sens., 34, 451-463, doi:10.7780/kjrs.2018.34.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Y. P.,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 Kor. Soc. Atmos. Environ., 22, 535-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 P., and G. Lee, 2018: Trend of Air Quality in Seoul: Policy and Science. Aerosol Air Qual. Res., 18, 2141-2156, doi:10.4209/aaqr.2018.03.0081. 

  14. Koo, J.-H., J. Kim, M.-J. Kim, H. K. Cho, K. Aoki, and M. Yamano, 2007: Analysis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in Seoul using skyradiometer observation. Atmosphere, 17, 407-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ng, J., Z. Liu, X. Wang, J. Bresch, J. Ban, D. Chen, and J. Kim, 2018: Assimilating AOD retrievals from GOCI and VIIRS to forecast surface $PM_{2.5}$ episodes over Eastern China. Atmos. Environ., 179, 288-304, doi:10.1016/j.atmosenv.2018.02.011. 

  16. Perez, N., J. Pey, X. Querol, A. Alastuey, J. M. Lopez, and M. Viana, 2008: Partitioning of major and trace components in $PM_{10}$ - $PM_{2.5}$ -PM1 at an urban site in Southern Europe. Atmos. Environ., 42, 1677-1691. 

  17. Seo, J.-H., E.-H. Ha, B.-E. Lee, H.-S. Park, H. Kim, Y.-C. Hong, and O.-H. Yi, 2006: The effect of PM10 on respirtory-related admission in Seoul. J. Kor. Soc. Atmos. Environ., 22, 564-5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eo, S., J. Kim, H. Lee, U. Jeong, W. Kim, B. N. Holben, S.-W. Kim, C. H. Song, and J. H. Lim, 2015: Estimation of $PM_{10}$ concentrations over Seoul using multiple empirical models with AERONET and MODIS data collected during the DRAGON-Asia campaign. Atmos. Chem. Phys., 15, 319-334, doi:10.5194/acp-15-319-2015. 

  19. Shin, M.-K., C.-D. Lee, H.-S. Ha, C.-S. Choe, and Y.-H. Kim, 2007: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_{10}$ concentration in Incheon. J. Kor. Soc. Atmos. Environ., 23, 322-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on, H.-Y., and C.-H. Kim, 2009: Interpretat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measured particle concentrations in Busan. J. Kor. Soc. Atmos. Environ., 25, 133-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Wang, X., K. Wang, and L. Su, 2016: Contribution of atmospheric diffusion conditions to the recent improvement in air quality in China. Sci. Rep., 6, 36404. 

  22. Yoo, J.-M., M.-J. Jeong, D. Kim, W. R. Stockwell, J.-H. Yang, H.-W. Shin, M.-I. Lee, C.-K. Song, and S.-D. Lee, 2015: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air pollutants ( $O_3$ , $NO_2$ , $SO_2$ , CO, $PM_{10}$ , and VOCs) with land-use types. Atmos. Chem. Phys., 15, 10857-10885, doi: 10.5194/acp-15-10857-2015. 

  23. Zhang, X., X. Chen, and X. Zhang, 2018: The impact of exposure to air pollution on cognitive performance. Proc. Natl. Acad. Sci., 115, 9193-9197, doi:10.1073/pnas.1809474115. 

  24. Zou, Y., Y. Wang, Y. Zhang, and J.-H. Koo, 2017: Arctic sea ice, Eurasia snow, and extreme winter haze in China. Sci. Adv., 3, e1602751, doi:10.1126/sciadv.16027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