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세 국지 기류 분포를 고려한 부산 지역 내 미세 먼지 분포 특성
Characteristic of PM10 Distribution Related to Precise Local Wind Patterns in Busan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12, 2017년, pp.1375 - 1387  

홍선화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순환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M_{10}$ concentration trend and its characteristics over five different sub area in Busan from 2013 to 2015, data analysis with considering air flow distribution according to its topography was carried out using statistical methodology. The annual mean con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최근 3년 동안의 PM10 농도의 연변화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2015년 한 해 동안의 부산 지역의 지형에 따른 기류분포를 고려하여 대기오염측정소를 권역별로 나누어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의 특징을 비교하고, 고농도 발생일과 저농도 발생일의 기상 요건을 지역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미세먼지 농도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부산의 지형에 따른 기류분포를 고려하여 2015년 한 해 동안의 지역별 미세먼지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 황사와 같은 장거리 수송에 의한 외부 물질의 유입과 별개로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는 내부배출원에 의한 영향이나 종관 및 국지적인 기상조건, 지형 등의 영향을 받는다(Park and Kwon, 2006;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황사나 내부 배출원을 제외하면 미세먼지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풍속, 풍향 등의 기상조건이라 볼 수 있으며(Shin et al., 2007; Kim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한 해를 대상으로 관측소별 저농도 발생일과 고농도 발생일의 기상 요인을 비교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의 오염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미세먼지의 오염도는 주로 장거리 수송에 의한 외부유입, 기상과 대기화학과정,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조건, 내부 배출원, 지형조건 등에 의해 결정된다(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Chen et al., 2008 ).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는 어떠한 것에 영향을 받는가? 황사와 같은 장거리 수송에 의한 외부 물질의 유입과 별개로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는 내부배출원에 의한 영향이나 종관 및 국지적인 기상조건, 지형 등의 영향을 받는다(Park and Kwon, 2006;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황사나 내부 배출원을 제외하면 미세먼지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풍속, 풍향 등의 기상조건이라 볼 수 있으며(Shin et al.
우리나라의 대기환경기준 달성률은 어떠한가? 결과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개선되었지만, 오존과 미세먼지의 오염도는 심각하여 여전히 대기환경기준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2015년 기준으로 전국 253개의 대기오염측정소(유효측정소수는 253개)에서 연 평균 환경기준 달성률은 65.6%, 24시간 환경기준 달성률은 10.7%로 다른 대기오염물질들에 비하여 환경기준 달성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부산시의 경우도 PM10의 연간환경기준은 달성하였지만, 24시간 환경기준 초과 횟수는 19개의 도시대기측정소에서 145회로(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5)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5, Air quality evaluation Report 2015. 

  2. Chen, Z. H., Cheng, S. Y., Li, J. B., Guo, X. R., Wang, W. H., Chen, D. S., 2008,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pollution processes and synoptic pressure patterns in northern China, Atmos. Environ., 42(24), 6078-6087. 

  3. Choi, K. C., Kim, C. H., Cho, J. G., Park, J. H., 1998, Ionic composition of early and succeeding rainwater in Pusan area,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4(4), 361-368. 

  4. Do, W. G., Jung, W. S., 2015, Estimation of $PM_{10}$ source locations in Busan using PSCF mode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4(6), 793-806. 

  5. Ha, K. H., Suh, M. A., Kang, D. R., Kim, H. C., Sin, D. C., Kim, C. S., 2011, Ambient particulate matter and the risk of deaths from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17(2), 74-83. 

  6. Han, S. W., Lee, S. H., Lee, H. W., 2015,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M distribution in coastal and inland cities correlation and its correlatio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11), 1513-1523. 

  7. Jeon, B. I., Hwang, Y. S., 2007,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 $PM_{10}$ ) concentration in Busan for five year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6(6), 533-542. 

  8. Jeon, B. I., 2010, Characteristics of spacio-temporal variation for $PM_{10}$ and $PM_{2.5}$ concentr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8), 1013-1023. 

  9. Kang, K. K., 2004, A Study on the analysis of damages from the northeast Asian dust and sand storm and the regional cooperation strategies, Report 01,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0. Kim, M. K., Jung, W. S., Lee, H. W., Do, W. G., Cho, J. G., Lee, K. O., 2013, Analysis on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M_{10}$ concentr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2(9), 1213-1226. 

  11. Lee, H. M., Kim, D. S., Lee, J. H., 1996, An Assessment of the long-term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associated risk in ambient PM-10,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2(5), 555-566. 

  12. Lee, H. W., Jung, W. S., 2001, Observational evidence of medium-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Korea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37(5), 475-486. 

  13. Lee, H. W., Kim, D. H., Lee, S. H., Kim, M. J., Park, S. Y., Kim, H. G., 2010, Skillful wind field simulation over complex terrain using coupling system of atmospheric prognostic and diagnostic model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1), 27-37. 

  14. Lee, S. H., Lee, K. Y., 2015, Evaluation of contribution rate of PM concentrations for regional emission inventories in Korean peninsula using brute-force sensitivity analysi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11), 1525-1540. 

  15. Lee, S. H., Park, G. Y., Chang, L. S., Song, C. K., 2015, Behavior of air particles associated with atmospheric recirculation over complex coastal area, Korea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51(4), 311-322.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4. 

  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5. 

  18. Park, O. Y., Kwon, O. Y., 2006, Statistical analysis of air pollutants concentrations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Masan and Jeonju area, proceeding of the 41st meeting of KOSAE 2006,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412-413. 

  19.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A Study on building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local $PM_{10}$ Emission Inventory in Seoul, 30-47. 

  20. Shin, M. K., Lee, C. D., Ha, H. S., Choe, C. S., Kim, Y. H., 2007,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_{10}$ concentration in Inch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3), 322-331. 

  21. Son, H. Y., Kim, C. H., 2009, Interpretat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measured particle concentrations in Bu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2), 133-140. 

  22. Song, S. K., Shon, Z. H., 2008, Analysis of chemical and meteorological effects on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of photochemical air pollutants between coastal and inland regions in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10), 1169-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