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의 성정(性情)과 심욕(心慾) 조절 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the controlling methods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for patients with cancer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0 no.4, 2018년, pp.11 - 21  

전현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암센터) ,  오현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사상체질과) ,  이수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with cancer is a major concern in clinical practice. In this paper, we discussed how to apply the controlling methods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o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간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암환자의 디스트레스를 치료 및 관리함에 있어 사상의학에서 제시하는 성정과 심욕의 조절법을 임상에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암환자의 치료에 활용하는 방안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암에 이환되었을 경우에 환자가 겪게 되는 여러 정지(情志)나 심리적인 변화들은 서양의학적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살펴보았고, 성정과 심욕 조절 방법은 동무공의『格致藁』, 『東武遺藁』, 『東醫壽世保元 四象草本卷』, 『東醫壽世保元』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지인·지병(知病)과 지행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사상의학에서는 암과 같은 중병일수록 희노애락의 중절이 치료에 필수적이라고 보았고, 여러 문헌에서 성정과 심욕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인과 지병, 지행의 측면에서 사상의학의 성정과 심욕 조절 방법을 암환자에게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임상 경험을 토대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암환자에게 사상의학의 성정과 심욕 조절 방법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찰한 첫 시도이다. 지인, 지병하며 스스로 지행을 실천하는 사상의학의 성정과 심욕 조절 방법은 암환자들의 부정적 감정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삶의 주체가 되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가 겪는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통계적 추이는 어떠한가? 암환자의 삶의 질은 암과 암의 치료로 인한 신체적 증상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2,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1)와도 연관되어있다3. 환자들은 암 투병 동안 불안, 우울, 걱정, 두려움과 같은 다양한 정서적,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겪는데, 한 연구에서는 35.1%의 환자가 전반적인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경험 하였으며 우울과 불안의 유병률은 각각 18.7%, 24.1%이었다4.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암의 진행을 촉진하고5,6 생존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7-9,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조절은 임상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암의 치료의 목적으로 가장 중요한것은 무엇인가? 6%를 차지하였다1. 암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암의 치료에서는 생존기간 연장과 삶의 질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암환자의 삶의 질은 암과 암의 치료로 인한 신체적 증상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2,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1)와도 연관되어있다3.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신체적 증상 이외에 무엇이 있는가? 암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암의 치료에서는 생존기간 연장과 삶의 질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암환자의 삶의 질은 암과 암의 치료로 인한 신체적 증상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2,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1)와도 연관되어있다3. 환자들은 암 투병 동안 불안, 우울, 걱정, 두려움과 같은 다양한 정서적,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겪는데, 한 연구에서는 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cs in 2017[Press release]. Statics Korea.; 2018. http://kostat.go.kr. Accessed on 17 Oct 2018. Available from: hppt://kostat.go.kr/portal/korea/kornu/1/6/2/index.board?bmodedaonload&bSeq&aSeq370710&ord1. (Korean). 

  2. Fallowfield L. Quality of life: a new perspective for cancer patients. Nat Rev Cancer. 2002;2(11):873-879. 

  3. Wang X, Lv Y, Li W, Gan C, Chen H, Liu Y, et al.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following radiotherapy. J oncol. 2018;2018:3625302. 

  4. Zabora J, BrintzenhofeSzoc K, Curbow B, Hooker C, Piantadosi S. The prevalence of psychological distress by cancer site. Psychooncology. 2001;10(1):19-28. 

  5. Thaker PH, Han LY, Kamat AA, Arevalo JM, Takahashi R, Lu C, et al. Chronic stress promotes tumor growth and angiogenesis in a mouse model of ovarian carcinoma. Nat Med. 2006;12(8):939-944. 

  6. Bortolato B, Hyphantis TN, Valpione S, Perini G, Maes M, Morris G, et al. Depression in cancer: The many biobehavioral pathways driving tumor progression. Cancer Treat Rev. 2017;52:58-70. 

  7. Shekelle RB, Raynor WJ, Jr., Ostfeld AM, Garron DC, Bieliauskas LA, Liu SC, et al. Psychological depression and 17-year risk of death from cancer. Psychosom Med. 1981;43(2):117-125. 

  8. Hamer M, Chida Y, Molloy GJ. Psychological distress and cancer mortality. J Psychosom Res. 2009;66(3):255-258. 

  9. Satin JR, Linden W, Phillips MJ.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Cancer. 2009;115(22):5349-5361. 

  10. Sasang constitutional department of national college of korean medicine. The revised and enlarg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 Jipmoondang; 2011:47,49-51,56,76,80. (Korean). 

  11. Lee SM, Park SR, Lee SK. A literature study on the association with critical state of sasang constitutional symptoms and cancer related symptoms.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3):307-317. (Korean). 

  12. Park S, Jeon H, Lee S. The sasang constitutional approach for health preservation of cancer survivors. J Sasang Constitut Med. 2016;28(3):233-245. (Korean). 

  13. Park SR, Lee SM, Lee SK. A case of the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who showed symptoms improvement.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3):326-332. (Korean). 

  14. Park SR, Lee SM, Choi SH, Jung YH, Lee SK. A case study of small-cell lung cancer with multiple brain metastases patient who showed improvement of delirium and performance status.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4):400-408. (Korean). 

  15. Song A, An JH, Choi SH, Kim EH, Park SJ, Kim KS, et al. A case study of rectal cancer patient treated with Dokhwaljihwang-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1):62-70. (Korean). 

  16. Choi SH, Song AN, An JH, Kim EH, Park SJ, Kim KS, et al. A case study of soeumin with peripheral T-cell lymphoma who showed symptomatic improvement including fever, myalgia, performance status, and headache after treated with Osuyubujaijung-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4):100-108. (Korean). 

  17. Yi M, Kim JH, Park EY, Kim JN, Yu ES. Eun Seung. Focus group study on psychosocial distress of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16;22(1):19-30. (Korean). 

  18. Kim BR, Kim YH, Kim JS, Jeong IS, Kim JS. A study to the coping patterns of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003;33(3):321-330. (Korean). 

  19. Yang JH.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living world among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008;38(1):140-151. (Korean). 

  20. Yang JC, Chung WK.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Radiation Oncology Journal 2004;22(4):271-279. (Korean). 

  21. Suh EE. The processes of coping with breast cancer among Korean women. Stress. 2008;16:305-315. (Korean). 

  22. Yi M, Ryu YM, Hwang E. The experience of self-help group activitie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Korean J Adult Nurs. 2014;26(4):466-478. 

  23. Watts S, Leydon G, Birch B, Prescott P, Lai L, Eardley S, et al. Depression and anxiety in prostate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valence rates. BMJ Open. 2014;4:e003901. 

  24. Bleiker EM, Pouwer F, van der Ploeg HM, Leer JW, Ader HJ. Psychological distress two years after diagnosis of breast cancer: frequency and prediction. Patient Educ Couns. 2000;40(3):209-217. 

  25. Burgess C, Cornelius V, Love S, Graham J, Richards M, Ramirez A.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BMJ. 2005;330:702. 

  26. Ozga M, Aghajanian C, Myers-Virtue S, McDonnell G, Jhanwar S, Hichenberg S,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ovarian cancer and fear of recurrence. Palliat Support Care. 2015;13(6):1771-1780. 

  27. Nipp RD, El-Jawahri A, Fishbein JN, Eusebio J, Stagl JM, Gallagher ER,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quality of life, and mood in patients with incurable cancer. Cancer. 2016;122(13):2110-2116. 

  28. Baek SK, Kim SY, Heo DS, Yun YH, Lee MK. Effect of advanced cancer patients' awareness of disease status on treatment decisional conflicts and satisfaction during palliative chemotherapy: a Korean prospective cohort study. Support Care Cancer. 2012;20(6):1309-1316. 

  29. Lee MK, Baek SK, Kim SY, Heo DS, Yun YH, Park SR, et al. Awareness of incurable cancer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vanced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Palliat Med. 2013;27(2):144-154. 

  30. Yun YH, Kwon YC, Lee MK, Lee WJ, Jung KH, Do YR, et al.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oward the disclosure of terminal illnes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0;28(11):1950-1957. 

  31. Nipp RD, Greer JA, El-Jawahri A, Moran SM, Traeger L, Jacobs JM, et al. Coping and prognostic awareness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Clin Oncol. 2017;35(22):2551-2557. 

  32. Thompson GN, Chochinov HM, Wilson KG, McPherson CJ, Chary S, O'Shea FM, et al. Prognostic acceptance and the well-being of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are for cancer. J Clin Oncol. 2009;27(34):5757-5762. 

  33. Tang ST, Chang WC, Chen JS, Chou WC, Hsieh CH, Chen CH. Associations of prognostic awareness/acceptance with psychological distress, existential suffering, and quality of life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ast year of life. Psychooncology. 2016;25(4):455-4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