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증과 성정을 이용한 사상체질 특성 연구
Study on Sasang Typology Based on the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with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Symptom and Temperament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8 no.3, 2014년, pp.359 - 364  

이수진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  채한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Sasang Digestive function Inventory (SDFI) and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which measures the pathophysiolgoical symptoms and temperament of each Sasang types. The SDFI, SPQ along with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상체질에 있어서의 소증과 성정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SDFI와 SPQ의 구조적 타당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검사가 사상체질 그룹간의 차이를 명료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SDFI와 SPQ가 사상체질별 병태생리적, 심리학적 특성을 안정적으로 측정한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증과 성정을 토대로 한 소양인과 태음인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다면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 아울러 SDFI 및 SPQ의 하위 척도간 상관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서, 체질변증 과정에서의 상호간 유사성으로 인하여 오진을 유발할 수 있는 하위 특성들을 확인함으로서, 보다 객관적이고도 용이한 체질임상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피험자에 있어서도 이러한 체질별 특성들을 측정할 수 있는지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SDFI에 있어서는 소음인보다 태음인이 유의(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상체질에 따른 소화기능의 차이는? 소화기능 소증에 대한 선행 연구에 있어서는, 태음인은 소화기능이 가장 좋고, 체질량지수(BMI)가 높으며, 기능성 소화불량이 적은 반면, 소음인은 이와 정반대로 소화기능이 가장 나쁘며, 체질량 지수가 낮고, 기능성 소화불량이 많은 특성을 지니는 것이 보고되었다3). 사상소화기능검사(Sasang Digestive Function Inventory, SDFI)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임상지표로, 체질간 차이를 안정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NDIK),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 (FDQOL),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와 유의한 상관성이 지니고 있음이 보고되었다9).
성정은 무엇인가? 사상의학을 주제로 한 연구들은 각각의 사상체질별 심리적1), 신체적, 유전적2), 병태생리적3) 특성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4,5). 이러한 특성 중에서 체질별 생병리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는 성정(性情)으로, 행동, 감정, 인지의 측면에 있어서의 고유한 개개인의 특성을 말한다1). 동의수세보원에 있어서, 성정은 인체 장부(臟腑)의 대소(大少)라는 가장 선천적인 장국(臟局)을 결정하며, 이로 인하여 체질별로 고유한 기능적, 형태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6,7).
성정은 인체의 무엇을 결정하는가? 이러한 특성 중에서 체질별 생병리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는 성정(性情)으로, 행동, 감정, 인지의 측면에 있어서의 고유한 개개인의 특성을 말한다1). 동의수세보원에 있어서, 성정은 인체 장부(臟腑)의 대소(大少)라는 가장 선천적인 장국(臟局)을 결정하며, 이로 인하여 체질별로 고유한 기능적, 형태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e, H., Park, S.H., Lee, S.J., Kim, M.G., Wedding, D., Kwon, Y.K. Psychological profile of Sasang typology: a systematic review.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6(s1):21-29, 2009. 

  2. Sohn, K.W., Jeong, A.S., Yoon, M.Y., Lee, S.K., Hwang, S.M., Chae, H. Genetic characteristics of Sasang typolog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cupuncture and Meridian Studies. 5(6):271-289, 2012. 

  3. Lee, M.S., Sohn, K.W., Kim, Y.H., Hwang, M.W., Kwon, Y.K., Bae, N.Y., Chae, H. Digestive system related pathophysiological symptoms of Sasang typology: systematic review,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 39-48, 2013. 

  4. Park, S.J., Kang, K.R., Kim, S.A., Hwang, S.M., Chae, H. Systematic Review on the Study of Sasang Typology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09.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5(4):721-727, 2011. 

  5. Chae, H., Lyoo, I.K., Lee, S.J., Cho, S., Bae, H., Hong, M., Shin, M. An alternative way to individualized medicine: psychological and physical traits of Sasang typology. J Altern Complement Med. 9: 519-528, 2003. 

  6. Chae, H., Lee, S., Park, S.H., Jang, E., Lee, S.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ersonality Assessment Instrument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657013;12, 2012. 

  7. Lee, S.J., Park, S.H., Chae, H. Study on the temperament construct of Sasang typology with biopsychological measure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7: 261-267, 2013. 

  8. Chae, H., Lee, S.J., Park, S.H., Jang, E.S., Lee, S.W. Correlation of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wi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on Schedule and Body Mass Index, J Sasang Const Med, 24(2):39-46, 2012. 

  9. Lee, M.S., Bae, N.Y., Hwang, M.W., Chae,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igestive Function Assessment Instrument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asang Digestive Function Inventory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263752:10, 2013. 

  10. Kim, S., Ko, B., Song, I.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2. J Korean Oriental Med Soc 17: 337-393, 1996. 

  11. Choi, S., Chi, S., Jung, B., Ahn, K., Koh, B., Sung, H.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in and Myer-Briggs Type Indicator.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6(1):47-57, 2000. 

  12. Lee, Y.T., Khang, K.H. Yin-Yang and physiology: Physiology Professors of Korean Medicine. Physiology in Eastern Medicine. Paju:Jipmundang. pp 25-51, 2008. 

  13. Kim, M.G., Lee, H.J., Kim, H.J., Yoo, J.H., Kim, J.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ordinary symptoms from the viewpoint of Sasang Constitution and cold-hot.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 1354-1358, 2008. 

  14. Jang, E.S., Lee, S.J., Park, S.H., Lee, S.W., Joo, J.C., Lee, M.S., Kim, Y.H., Chae, H. Clinical Validation of the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3(3):23-32, 2012. 

  15. Park, S.H., Kim, M.G., Lee, S.J., Kim, JY.,. Chae, H. Temperament and Character Profiles of Sasang Typology in an Adult Clinical Sample.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1:794795:7, 2011. 

  16. Lee, Y.J., Kwak, M.J., Jung, H.R., Ha, H.Y., Chae, H. A study on the statistical methods in KCI listed journal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rom 1999 to 2008. KJOM. 18(2):55-64, 2012. 

  17. Park, S.J., Kang, K.R., Kim, S.A., Hwang, S.M., Chae, H. Systematic review on the study of Sasang typology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09. KJOPP, 25(4):721-727, 2011. 

  18. Chae, H., Park, S.H., Lee, S.J., Kim, M.G., Wedding, D., Kwon, Y.K. Psychological profile of sasang typology: a systematic review.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6(s1):21-29, 2009. 

  19. van den Bree, M., Przybeck, T.R., Robert Cloninger, C. Diet and personality: Associations in a population-based sample. Appetite 46: 177-188, 2006. 

  20. Gendall, K.A., Joyce, P.R., Sullivan, P.F., Bulik, C.M. Personality and dimensions of dietary restraint.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4: 371-379, 1998. 

  21. Fassino, S., Amianto, F., Gramaglia, C., Facchini, F., Daga, G.A.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eating disorders: Ten years of studies. Eating and Weight Disorders. 9(2):81-90, 2004. 

  22. Kim, S.H.,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 II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8(1):187-246, 1996. 

  23. Hahm, T.I., Hwang, M.W., Lee, T.G., KS,B,. Lee, S.K., Koh, B.H. A study on the concordance rate of the diagnostic results among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specialist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8(3):124-130, 200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