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 의사결정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 연구
Smart Space based on Platform using Big Data for Efficient Decision-making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5 no.4, 2018년, pp.108 - 120  

이진경 (Department of Real Estate, Sangj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맞춰 한국은 적극적으로 국가적 대응계획 I-Korea 4.0을 수립하여 2017년 11월에 발표하였다. 이 계획은 국가성장을 위한 산업혁신과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동산산업도 예외는 아니며 산업혁신을 위해서는 스마트환경에서 주거, 상업, 업무, 복합 등 다양한 가용공간의 효과적 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 의사결정이 필요하고 이는 공간수요자 행태의 실시간 정보와 정확한 예측이 이루어 질 때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을 제안하고 플랫폼의 구조와 서비스를 구체화 시키고자 한다.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도 스마트 트래픽,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 등 다양한 스마트환경 적용사례처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빅데이터의 효율적 저장, 접근, 분석, 활용이 가능하다. 스마트 스페이스 플랫폼의 구조는 6개 레이어 즉, Collection layer, Transfer layer, Storage layer, Service layer, Application layer, Management layer로 구성된다. 이 플랫폼은 의사결정자들이 행위기반(activity-based), 시장기반(market-based), 정책기반(policy-based) 빅데이터를 Searching, Mining, Integrating, Storing, Analyzing, Visualizing 할 수 있는 서비스체계를 가지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i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Korea 4.0, both of which pursue strategies for industrial innovation and for the solution to social problems, the real estate industry needs to change in order to make effective use of available space in smart environments. The implementation 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big data as the first step in the establishment of smart space. A key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mart space based on platform that utilizes big data compared with smart cities and smart homes. Smart cities app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 solve issues arising from urbanization (Avelar, et al.
  • This paper focuses on definition of big data, its aspects, government’s strategy for big data, high-impact application area using big data.
  •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big data as the first step in the establishment of smart space. A key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mart space based on platform that utilizes big data compared with smart cities and smart homes.

가설 설정

  • ●: If decision-makers can achieve fully their purpose each services, there is best achievement.
  • ◑: If access to services is restricted to special users such as policy makers, there is only special us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velar E., Marques L., Passos D., Macedo R., & Dias K., Nogueira M. (2015). "Interoperability issues o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Computer Communications, 58, 4-15. 

  2. Chang R., Kauffman R., & Kwon Y. (2013). "Understanding the paradigm shift to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in the presence of big data", Decision Support Systems, 63, 67-80. 

  3. Chen B. & Lee S. (2014). "A study on big data processing mechanism and applic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Its Applications, 8(8), 73-82. 

  4. Chen H., Chiang R., & Storey V. (2012).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From big data to big impact", MIS Quarterly, 36(4), 1165-1188. 

  5. Demirkan H. (2013). "A smart healthcare systems framework", IT Professional, 15(5), 38-45. 

  6. Felipe G., Enrique C., Francisco J., Cristina L., Timo O., & Raja B. (2011). "Experiences inside the ubiquitous Oulu smart city", Computer, 44(6), 48-55. 

  7. Hashem I., Chang V., Anuar N., Adewole K., Yaqoob I., Gani A., Ahmed E., & Chiroma H. (2016). "The role of big data in smart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6, 748-758. 

  8. IEEE Smart Grid Working Group (2017). Big data analytics,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smart grid: Introduction, benefits, challenges and issues, IEEE Smart Grid white paper, USA. 

  9. ISACA (2013). Big Data Impact and Benefits, an ISACA white paper, USA. 

  10. Jeon B. & Kim H.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haring and Application of Public Open Big Data", Informatization Policy, 24(3), 27-41. 

  11. Kim H. (2017), "Deep Learning City: A Big Data Analytics Framework for Smart Cities", Informatization Policy, 24(4), 79-92. 

  12. Kim S., Shim S., & Seo Y. (2017), "SNA Pattern Analysis on the Public Software Industry based on Open API Big Data from Korea Public Procurement Service", Informatization Policy, 24(3). 42-66. 

  13. Lee J., Phaal R., & Lee S. (2013). "An integrated service-device-technology roadmap for smart city develop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80, 286-306. 

  14. Moon S., Pyeon M., Bae S., Lee D., & Han S. (2016). "Big data architec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hyper live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2), 207-215. 

  15. Mainetti L., Palano L., Patrono L., Stefanizzi M., & Tarricone L. (2015). "AnIo T-aware architecture for smart healthcare systems",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2(6), 515-526. 

  16. Park J., Lee M., Shin D., & Ahn J. (2015). "Deduction of the policy issues for activating the geospatial big data service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 19-29. 

  17. Chang R., Kauffman R., & Kwon Y. (2014). "Understanding the paradigm shift to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in the presence of big data", Decision Support System, 63, 67-80. 

  18. Raguseo E. (2018). "Big data technologi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ir adoption, benefits and risks for compan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8, 187-195. 

  19. Rita Y., Herru C., Cho K., & Tony B. (2016). "Sustainable smart home and home automation: Big data analytics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10(8), 177-198. 

  20. Rogge N., Agasisti T., & Witte K. (2017). "Big data and the measurement of public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e state-of-the-art",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32(4), 263-281. 

  21. Tiwari S., Wee H., & Daryanto Y. (2018). "Big data analytics in supply chain management between 2010 and 2016: Insights to industries",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115, 319-330. 

  22. Seo Y. & Kim W. (2015).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for spatial big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 109-116. 

  23. Xu K., Zhen H., Li Y., & Yue L. (2016). "Big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platform for intermodal tran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base Theory and Application, 9(12), 67-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