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 동반 아침식사에 따른 아동의 식사 다양성 평가 :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the meal variety with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in Korean children: based on 2013~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1, 2018년, pp.50 - 59  

연지영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6 ~ 11세 아동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아침식사 가족 동반 여부 및 아침결식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 식사의 다양성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체질량지수, 가구소득, 가구 세대구성 등의 일반사항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 여부 및 아침결식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1일 총 열량 섭취량 역시 아침식사 가족 동반 여부 및 아침결식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남학생의 탄수화물과 비타민 C 섭취 밀도의 경우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과 혼자 아침식사군이 아침결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방 섭취 밀도는 아침결식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일 총 식품 섭취량과 섭취한 식품의 총 가짓수 역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아침식사 가족 동반 여부 및 아침결식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끼니별 식품 섭취량, 음식 및 식품의 가짓수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과 혼자 아침식사군의 아침식사로 섭취하는 음식의 가짓수가 아침결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남학생에서 아침식사로 섭취한 식품 가짓수의 경우 가족 동반 아침식사군이 혼자 아침식사군과 아침결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여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 하는 아동의 경우 혼자 아침식사를 하는 아동이나 아침결식을 하는 아동에 비해 섭취하는 식품이 좀 더 다양할 수 있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바람직한 영양섭취를 위한 가족 동반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children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or skipping breakfast from the 2013 ~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A total of 1,393 subjects (boys = 731, girls = 662),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섭취한 식품의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인별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끼니별 식품 섭취량, 섭취한 음식의 가짓수 및 식품의 가짓수를 분석하였다. 끼니별 섭취한 음식의 가짓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음식코드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음식을 섭취한 경우 한 가지 음식으로 분석하였고, 식품의 가짓수는 식품군별 섭취 가짓수 분석과 동일하게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식품코드 2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아침, 점심, 저녁, 간식으로 끼니별에 따라 산출하였다
  • 본 연구의 장점 및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장점은 아동에서 아침식사 가족 동반 여부 및 아침결식 여부에 따른 식사의 다양성을 국가 규모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것이다. 또한 아침식사 가족 동반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도 함께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6 ~ 11세 아동을 대상으로 남녀로 구분한 후 가족 동반 아침식사 여부에 따라 가족 동반 아침 식사군, 혼자 아침식사군, 아침결식군으로 나누어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상태, 식사의 다양성 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란 어떤 시기인가? 아동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식습관을 형성하게 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아동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적절한 영양 섭취는 신체적 성장 및 발달에 기여하게 되며, 또한 건강에 바람직한 식습관의 확립으로 인하여 성인기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아동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적절한 영양 섭취의 장점은 무엇인가? 아동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식습관을 형성하게 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아동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적절한 영양 섭취는 신체적 성장 및 발달에 기여하게 되며, 또한 건강에 바람직한 식습관의 확립으로 인하여 성인기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기의 가공식품 섭취 증가, 외식 빈도의 증가, 편식 및 불규칙한 식사 등의 문제가 아동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가족식사의 장점은 무엇이며, 식사 관련 현재 우리나라 아동의 경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3 가족식사는 생활 공동체인 가족이 모여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단순히 식사를 하는 행위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식사에 필요한 식품의 구입 및 저장, 음식의 준비, 상차리기, 먹기 및 뒷정리 등과 같은 많은 행동을 포함하게 된다.5 이와 같은 식사와 관련된 행위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게 되며, 특히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를 통해 아동 및 청소년은 정서적 또는 영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지만,6,7 현재 우리나라 아동의 경우 오히려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는 감소하고, 혼자 하는 식사는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4. Lobstein T, Jackson-Leach R, Moodie ML, Hall KD, Gortmaker SL, Swinburn BA, James WP, Wang Y, McPherson K.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part of a bigger picture. Lancet 2015; 385(9986): 2510-2520. 

  5. Snow CE, Beals DE. Mealtime talk that supports literacy development. New Dir Child Adolesc Dev 2006; (111): 51-66. 

  6. Fulkerson JA, Story M, Mellin A, Leffert N, Neumark-Sztainer D, French SA.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ts and high-risk behaviors. J Adolesc Health 2006; 39(3): 337-345. 

  7. Videon TM, Manning CK.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patterns: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J Adolesc Health 2003; 32(5): 365-373. 

  8. Kim JN, Min HJ, Chae JM. The effect of family meal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2013; 19(2): 140-158. 

  9. Kwon JE, Park HJ, Lim HS, Chyun JH.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3; 28(3): 272-281. 

  10. Bae YJ.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based on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ood Nutr 2017; 30(6): 1210-1221. 

  11. Burgess-Champoux TL, Larson N,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Are family meal patterns associated with overall diet quality during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adolescence? J Nutr Educ Behav 2009; 41(2): 79-86. 

  12. Fulkerson JA, Kubik MY, Story M, Lytle L, Arcan C. Are there nutritional and other benefits associated with family meals among at-risk youth? J Adolesc Health 2009; 45(4): 389-395. 

  13. Woodruff SJ, Hanning RM. Associations between family dinner frequency and specific food behaviors among grade six, seven, and eight students from Ontario and Nova Scotia. J Adolesc Health 2009; 44(5): 431-436. 

  14. Larson N, Wang Q, Berge JM, Shanafelt A, Nanney MS.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mealtime experiences and associations with dietary intake among adolescents in rural Minnesota, USA. Public Health Nutr 2016; 19(9): 1565-1574. 

  15.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food variety by age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5; 48(3): 236-247. 

  16. Wang Y, Li J, Caballero B. Resemblance in dietary intakes between urban low-income African-America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the healthy eating and active lifestyles from school to home for kids study. J Am Diet Assoc 2009; 109(1): 52-63.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pediatric adolescent growth chart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cited 2017 Aug 6]. Available from: http://cdc.go.kr/CDC/info/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MNU1889&cid1235. 

  18.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 Guthrie HA, Krebs-Smith J.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1987; 87(7): 897-903.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0. Gillman MW, Rifas-Shiman SL, Frazier AL, Rockett HR, Camargo CA Jr, Field AE, Berkey CS, Colditz GA. Family dinner and diet quality among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Arch Fam Med 2000; 9(3): 235-240. 

  21.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Croll J, Perry C. Family meal patterns: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dietary intake among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3; 103(3): 317-322. 

  22. Yuasa K, Sei M, Takeda E, Ewis AA, Munakata H, Onishi C, Nakahori Y. Effects of lifestyle habits and eating meals together with the family on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school children in Tokushima, Japan: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based survey. J Med Invest 2008; 55(1-2): 71-77. 

  23. Utter J, Scragg R, Schaaf D, Mhurchu CN.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family meals, BMI and nutritional aspects of the home food environment among New Zealand adolescents. Int J Behav Nutr Phys Act 2008; 5: 50. 

  24. Neumark-Sztainer D, Wall M, Fulkerson JA, Larson N. Changes in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from 1999 to 2010 in the homes of adolescents: trend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 Adolesc Health 2013; 52(2): 201-206. 

  25. Larson N, MacLehose R, Fulkerson JA, Berge JM, Story M, Neumark-Sztainer D. Eating breakfast and dinner together as a family: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diet quality and weight status. J Acad Nutr Diet 2013; 113(12): 1601-1609. 

  26. Lee Y, Oh YJ, Cho W, Jo PK.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015; 21(1): 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