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s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nutrient intak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5, 2019년, pp.435 - 448  

김현경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자용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 사회에서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및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40 ~ 64세 중년층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남 여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년 남녀에서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에 따른 영양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루 1회 이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혼자 식사하는 군은 함께 식사하는 군에 비해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 높은 비경제활동과 흡연 비율을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남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단백질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과 칼륨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지방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은 그룹에서 에너지를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과 리보플라빈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에 따른 BMI와 대사증후군 구성지표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평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대사증후군과 구성지표에 대한 오즈비를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대사증후군과 복부비만 및 혈압 상승의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당 상승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룹별 평균 BMI가 감소하였으며, 보정 후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구성지표에 대한 위험도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영양 및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름을 보였으며, 중년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 증가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에게서 칼륨과 단백질 섭취가 감소하였음을 고려하여, 혼자 식사하는 중년 남성들에 적합한 영양 관리와 식사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in middle-aged men and women. Methods: The data from the 2013 ~ 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A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 ~ 64세 성인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행동에 따른 영양소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영양 상태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성에서 칼륨과 단백질 에너지 섭취비율의 유의적인 감소, 대사증후군 위험의 유의적인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40 ~ 64세 중년층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에너지와 영양소 섭취 상태, BMI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별 수준,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남, 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년 남녀에서 혼자 식사하는 식습관에 따른 영양 상태와 건강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건강과 영양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연구에서는 2013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40 ~ 64세 중년층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남· 여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년 남녀에서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에 따른 영양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루 1회 이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 96 mmHg 감소시킴을 보고한 바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남성의 대사증후군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부족한 칼륨의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도와의 관련성을 제시한다. 최근의 메타 분석 연구에 따르면 칼륨의 적절한 섭취는 대사증후군 위험도의 감소와 유의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38].

가설 설정

  • 2) Total numbers in some variables are different due to missing valu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체지방 증가, 혈당 상승, 혈압 상승, 혈중 지질 농도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대사 이상의 상태를 말하며, 대사증후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심혈관계 질환과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에 대한 발병 위험도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998년 24.
혼자 식사하는 군은 함께 식사하는 군에 비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 결과 하루 1회 이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혼자 식사하는 군은 함께 식사하는 군에 비해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 높은 비경제활동과 흡연 비율을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남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단백질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과 칼륨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지방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혼자 식사하는 행동의 성별별 씁양소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 국민건강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 ~ 64세 성인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행동에 따른 씁양소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씁양 상태와 건강에 미치는 씁향은 성별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성에서 칼륨과 단백질 에너지 섭취비율의 유의적인 감소, 대사증후군 위험의 유의적인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Lee EJ, Lee KR. Comparison of solo eating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in the Seoul and Gyonggi-do regions. J Korean Soc Food Cult 2018; 33(6): 531-542. 

  2. Statistics Korea.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 person household i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3. Yeon JY, Bae YJ. Evaluation of the meal variety with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in Korean children: based on 2013-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8; 51(1): 50-59. 

  4. Kwon JE, Park HJ, Lim HS, Chyun JH.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3; 28(3): 272-281. 

  5. Tani Y, Kondo N, Takagi D, Saito M, Hikichi H, Ojima T, et al. Combined effects of eating alone and living alone on unhealthy dietary behaviors, obesity and underweight in older Japanese adults: results of the JAGES. Appetite 2015; 95: 1-8. 

  6. Kimura Y, Wada T, Okumiya K, Ishimoto Y, Fukutomi E, Kasahara Y, et al. Eating alone among community-dwelling Japanese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food diversity. J Nutr Health Aging 2012; 16(8): 728-731. 

  7. Tani Y, Kondo N, Noma H, Miyaguni Y, Saito M, Kondo K. Eating alone yet living with others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older men: the JAGES Cohort Survey.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18; 73(7): 1330-1334. 

  8. Sung SJ, Kwon S.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206-226. 

  9. Lee SA, Park EC, Ju YJ, Nam JY, Kim TH. Is one's usual dinner companion associated with greater odds of depression? Using data from the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 J Soc Psychiatry 2016; 62(6): 560-568. 

  10. Song EG, Yoon YS, Yang YJ, Lee ES, Lee JH, Lee J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eating alone in Korean adults: findings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Korean J Fam Pract 2017; 7(5): 698-706. 

  11. Statistics Korea. Korean social trends 2015. 2015. 

  12.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 34(6): 1323-1328. 

  13. Tran BT, Jeong BY, Oh JK. The prevalence trend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nd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3. BMC Public Health 2017; 17(1): 71. 

  14. Park E, Kim J. Gender- and age-specific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Cardiovasc Nurs 2015; 30(3): 256-266. 

  15.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The metabolic syndrome. Lancet 2005; 365(9468): 1415-1428. 

  16. He D, Xi B, Xue J, Huai P, Zhang M, Li J. Association betwee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Endocrine 2014; 46(2): 231-240. 

  17. Oh SW, Yoon YS, Lee ES, Kim WK, Park C, Lee S, et al.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005; 28(8): 2064-2066. 

  18. Yoon YS, Oh SW, Baik HW, Park HS, Kim WY. Alcohol consump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Clin Nutr 2004; 80(1): 217-224. 

  19. Calton EK, James AP, Pannu PK, Soares MJ. Certain dietary patterns are beneficial for the metabolic syndrome: reviewing the evidence. Nutr Res 2014; 34(7): 559-568. 

  20. Kim MR, Kim HJ, Kim JH, Park BJ. Sex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ing meal-sharing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he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am Pract 2018; 8(1): 125-130. 

  21. Kim CK, Kim HJ, Chung HK, Shin D. Eating alone is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and women.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8; 15(5): E102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24.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urr Opin Cardiol 2006; 21(1): 1-6. 

  25.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 75(1): 72-80. 

  26. Kim SR, Kim OK, Yun KE, Khang YH, Cho HJ. Socio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ng and quitting cigarette smoking among Korean men. Korean J Fam Med 2009; 30(6): 415-425. 

  27. Kim SY, Seo YJ, Kim MH, Choi MK. Eating habit and stress status according to exercising habits of middle-aged adults in Chungnam. Korean J Food Nutr 2016; 29(1): 43-51. 

  28. Kutsuma A, Nakajima K, Suwa K.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breakfast skipping and concomitant late-night-dinner eating with metabolic syndrome and proteinuria in the Japanese population. Scientifica (Cairo) 2014; 2014: 253581. 

  29. Odegaard AO, Jacobs DR Jr, Steffen LM, Van Horn L, Ludwig DS, Pereira MA. Breakfast frequency and development of metabolic risk. Diabetes Care 2013; 36(10): 3100-3106. 

  30. Kim S, Goh E, Lee DR, Park MS. The association between eating frequency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Health Promot 2011; 11(1): 9-17. 

  31. Shin A, Lim SY, Sung J, Shin HR, Kim J. Dietary intake, eating habit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J Am Diet Assoc 2009; 109(4): 633-640. 

  32. Lee Y, Oh YJ, Cho W, Jo PK.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015; 21(1): 57-71. 

  33. Zhang Z, Cogswell ME, Gillespie C, Fang J, Loustalot F, Dai S, et al. Association between usual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among U.S. adults: NHANES 2005-2010. PLoS One 2013; 8(10): e75289. 

  34. Haddy FJ, Vanhoutte PM, Feletou M. Role of potassium in regulating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6; 290(3): R546-R552. 

  35. Aburto NJ, Hanson S, Gutierrez H, Hooper L, Elliott P, Cappuccio FP. Effect of increased potassium intake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BMJ 2013; 346(7903): f1378. 

  36. Cappuccio FP, MacGregor GA. Does potassium supplementation lower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published trials. J Hypertens 1991; 9(5): 465-473. 

  37. Whelton PK, He J, Cutler JA, Brancati FL, Appel LJ, Follmann D, et al. Effects of oral potassium on blood pressure.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JAMA 1997; 277(20): 1624-1632. 

  38. Cai X, Li X, Fan W, Yu W, Wang S, Li Z, et al. Potassium and obesity/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Nutrients 2016; 8(4): 183. 

  39. Mariosa LS, Ribeiro-Filho FF, Batista MC, Hirota AH, Borges RL, Ribeiro AB, et al. Abdomin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potassium depletion and changes in glucose homeostasis during diuretic therapy. J Clin Hypertens (Greenwich) 2008; 10(6): 443-449. 

  40. Ashcroft FM.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opathies: focus on insulin secretion. J Clin Invest 2005; 115(8): 2047-2058. 

  41. Chatterjee R, Yeh HC, Shafi T, Selvin E, Anderson C, Pankow JS, et al. Serum and dietary potassium and risk of inci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Arch Intern Med 2010; 170(19): 1745-1751. 

  42. Lee SY, Lee SY, Ko YE, Ly SY. Potassium intake of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7; 50(1): 98-110. 

  43. Song S, Lee JE, Song WO, Paik HY, Song Y. Carbohydrate intake and refined-grain consumption a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J Acad Nutr Diet 2014; 114(1): 54-62. 

  44. Moghaddam E, Vogt JA, Wolever TM. The effects of fat and protein on glycemic responses in nondiabetic humans vary with waist circumference, fasting plasma insulin, and dietary fiber intake. J Nutr 2006; 136(10): 2506-2511. 

  45. Pasiakos SM, Lieberman HR, Fulgoni VL 3rd. Higher-protein diets are associated with higher HDL cholesterol and lower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US adults. J Nutr 2015; 145(3): 605-614. 

  46. Westerterp-Plantenga MS, Nieuwenhuizen A, Tome D, Soenen S, Westerterp KR. Dietary protein, weight loss, and weight maintenance. Annu Rev Nutr 2009; 29(1): 21-41. 

  47. Layman DK, Clifton P, Gannon MC, Krauss RM, Nuttall FQ. Protein in optimal health: heart disease and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08; 87(5): 1571S-1575S. 

  48. Julibert A, Bibiloni MD, Bouzas C, Martinez-Gonzalez MA, Salas-Salvado J, Corella D, et al. Total and subtypes of dietary fat intake and its association with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at high cardiovascular risk. Nutrients 2019; 11(7): E14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