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Development and relative validity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1, 2018년, pp.103 - 119  

김소혜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경희 (동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염혜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양실) ,  남연서 (중앙보훈병원 영양실) ,  김주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 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9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111명을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와 3일 식사 기록지를 동시에 조사한 후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에서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 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spearman 상관 계수를 보면 평균 0.402이었고, 포화지방산이 0.121로 가장 낮았고, 열량이 0.583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이 각각 0.583, 0.500, 0.466으로 다량영양소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도 0.527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지금까지 보고된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성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다량영양소와, 열량, 섬유소, 알코올, 그리고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영양소와 관련 있는 만성질병과의 역학연구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낮게 보인 비타민과 지방산 종류의 섭취측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assess energy, carbohydrates, fat,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as well as fatty acids and alcohol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Q-FFQ consisted of 88 food items, and 12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검진의 여러 검사결과들은 한국인의 질환예방과 관리를 위한 연구자료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건강검진은 주로 급성질환 보다는 유방암, 전립선암, 위암, 대장암등 여러가지 암과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장 질환 뿐 아니라 당뇨, 고혈압, 지방간,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을 초기에 발견, 치료 및 예방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만성 질환의 역학연구에는 영양소 섭취평가가 기초도구로 필요 하며 꼭 수반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 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 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기존 개발된 식품섭취빈도 조사에서 주로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만성질환과 관련이 높은 영양소인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알코올도 섭취평가항목에 넣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영양소를 조사하기 위해서 ‘버터/마아가린’를 식품항목에 넣어 빵과 함께 먹는 추가 지방섭취량을 구하고자 하였고 ‘육류 부산물 (간, 곱창, 순대, 양 등)’, ‘탕류 (설렁탕, 곰탕, 갈비탕)’도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 이러한 영양소와 식품섭취정보들을 잘 반영하고 건강검진을 이용하는 인구 집단의 특성에 맞는 실질적인 영양조사도구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 및 식품자료를 얻고 영양부족보다는 영양불균형에 초점을 맞춘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고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성인에게 3일 식사기록법 (3 day diet record)을사용하여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사 평가를 위한 조사법들 중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의 단점은? 1 식사기록법과 24시간 회상법의 경우 최근의 식사 평가는 가능하지만 장기간의 섭취 유형을 파악하기에는 부적절한 방법으로 보고 되고 있다.3 반면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은 정확한 평가에는 한계가 있으나 장기간의 식습관이 반영되는 조사법으로 인구집단의 질병과의 관련성을 구명하기에 유용하며4 , 24시간 회상법 보다 비교적 간단하여5 연구대상자의 전반적인 식사를 대표 할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6-8 미국을 비롯한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는 다수의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건강 및 만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영양소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식사는 무엇인가? 식사는 질병의 발생 및 예방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이다.1 그러나 만성질환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은 다양하고 복잡하여 식사 요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식사 평가를 위해 어떤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가? 현재 식사 평가를 위해 식사기록법 (Diet record method), 24시간 회상법 (24-hour recall method), 식품섭취빈도 조사법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method)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어 조사 목적에 따라 조사법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1 식사기록법과 24시간 회상법의 경우 최근의 식사 평가는 가능하지만 장기간의 섭취 유형을 파악하기에는 부적절한 방법으로 보고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Willett WC. Nutritional epidemiology. 2nd edi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 Block G. A review of validations of dietary assessment methods. Am J Epidemiol 1982; 115(4): 492-505. 

  3. Willett WC, Hu FB. Not the time to abandon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oint.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6; 15(10): 1757-1758. 

  4. Chu SY, Kolonel LN, Hankin JH, Lee J. A comparison of frequency and quantitative dietary method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diet and disease. Am J Epidemiol 1984; 119(3): 323-334. 

  5. Lee RD, Nieman DC.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ition. Boston (MA): McGraw-Hill; 2007. 

  6. Zulkifli SN, Yu SM. The food frequency method for dietary assessment. J Am Diet Assoc 1992; 92(6): 681-685. 

  7. Horwath CC. Validity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nutrient intake in elderly people. Br J Nutr 1993; 70(1): 3-14. 

  8. Kim MK, Lee SS, Ahn YO.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middle-aged m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3): 376-394. 

  9. Overvad K, Tjonneland A, Haraldsdottir J, Ewertz M, Jensen OM.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food,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 Denmark. Int J Epidemiol 1991; 20(4): 900-905. 

  10. Egami I, Wakai K, Kato K, Lin Y, Kawamura T, Tamakoshi A, Aoki R, Kojima M, Nakayama T, Wada M, Ohno Y. A simp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Japanese diet--Part II.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for nutrient intakes. J Epidemiol 1999; 9(4): 227-234. 

  11. Barrett-Connor E. Nutrition epidemiology: how do we know what they ate? Am J Clin Nutr 1991; 54(1 Suppl): 182S-187S. 

  12. Paik HY, Ryu JY, CHoi JS, Ahn YJ, Moon HK, Park YS, Lee HK, Kim Y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assessment of Korea adults in rural area. Korean J Nutr 1995; 28(9): 914-922. 

  13. Lee HJ, Park SJ, Kim JH, Kim CI, Chang KJ, Yim KS, Kim KW, Choi H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mputeriz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ogram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2): 277-285. 

  14. Willett WC, Sampson L, Browne ML, Stampfer MJ, Rosner B, Hennekens CH, Speizer FE. The use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assess diet four years in the past. Am J Epidemiol 1988; 127(1): 188-199.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16. Kim WY, Yang EJ.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s. Korean J Nutr 1998; 31(2): 220-230. 

  17. Shim JS, Oh KW, Suh I, Kim MY, Sohn CY, Lee EJ, Nam CM. A study on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484-494. 

  18. Yang YJ, Kim MK, Hwang SH, Ahn Y, Shim JE, Kim DH. Relative validities of 3-day food records and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Nutr Res Pract 2010; 4(2): 142-148. 

  19. Bae YJ, Choi HY, Sung MK, Kim MK, Choi MK.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ary nutrient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Nutr Res Pract 2010; 4(2): 121-127. 

  20. Kye SH, Moon HK, Park MA, Lee HS. The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food items from 1993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1): amounts and frequency of foods. Korean J Diet Cult 1996; 11(5): 569-579. 

  2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edit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2.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orean food exchange lists for diabetes. 3rd edition.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0. 

  2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iet history questionnaire.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0. 

  24. Block G, Hartman AM, Dresser CM, Carroll MD, Gannon J, Gardner L. A data-based approach to diet questionnaire design and testing. Am J Epidemiol 1986; 124(3): 453-469. 

  25. Tylavsky FA, Sharp GB. Misclassification of nutrient and energy intake from use of closed-ended questions in epidemiologic research. Am J Epidemiol 1995; 142(3): 342-352. 

  26. Stein AD, Shea S, Basch CE, Contento IR, Zybert P. Consistency of the Willett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24-hour dietary recalls in estimating nutrient intakes of preschool children. Am J Epidemiol 1992; 135(6): 667-677. 

  27. Rosner B, Willett WC. Interval estimates for correlation coefficients corrected for within-person variation: implications for study design and hypothesis testing. Am J Epidemiol 1988; 127(2): 377-386. 

  28. Jackson M, Walker S, Cade J, Forrester T, Cruickshank JK, Wilks R.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quantitativ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Jamaicans of African origin. Public Health Nutr 2001; 4(5): 971-980. 

  29. Won HS, Kim W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2000; 33(3): 314-323. 

  30. Willett WC, Sampson L, Stampfer MJ, Rosner B, Bain C, Witschi J, Hennekens CH, Speizer FE.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 J Epidemiol 1985; 122(1): 51-65. 

  31. Gray GE, Paganini-Hill A, Ross RK, Henderson BE. Assessment of three brief methods of estimation of vitamin A and C intakes for a prospective study of cancer: comparison with dietary history. Am J Epidemiol 1984; 119(4): 581-590. 

  32. Hong S, Choi Y, Lee HJ, Kim SH, Oe Y, Lee SY, Nam M, Kim 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s of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Diabetes J 2010; 34(1): 32-39. 

  33. Goldbohm RA, van den Brandt PA, Brants HA, van't Veer P, Al M, Sturmans F, Hermus RJ. Validation of a dietary questionnaire used in a large-scale prospective cohort study on diet and cancer. Eur J Clin Nutr 1994; 48(4): 253-265. 

  34. Na YJ, Lee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dults. Nutr Res Pract 2012; 6(5): 444-450. 

  35. Kim YO, Kim MK, Lee SA, Yoon YM, Sasaki S. A study testing the usefulness of a dish-based food-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epidemiological studies in Korea. Br J Nutr 2009; 101(8): 1218-12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