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획실 내 가스연료 화재의 CO 농도에 대한 FDS 연소모델의 예측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FDS Combustion Models for the CO Concentration of Gas Fires in a Compartmen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1, 2018년, pp.7 - 15  

백빛나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  오창보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윤홍석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획실 내 프로판 가스화재에 대해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이용한 수치계산을 수행하고 실험과의 비교를 통해 적용된 연소모델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검토된 연소모델은 FDS v5.5.3의 혼합분율 연소모델과 FDS v6.6.3의 Eddy Dissipation Concept (EDC) 모델이며, EDC 모델에서 화학반응기구는 1-step Mixing Controlled, 2-step Mixing Controlled, 3-step Mixing Controlled 및 Mixing Controlled 반응과 유한화학반응이 혼합된 3-step Mixed 반응을 적용하였다. 구획실 내부의 온도에 대해서는 각 연소모델들 간의 예측성능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연소모델 차이에 의한 $O_2$$CO_2$ 농도에 대한 예측성능 차이보다는 CO에 대한 예측결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CO 농도에 대해서는 EDC 3-step Mixing Controlled 모델이 가장 높게 예측하며 혼합분율 연소모델은 실험보다는 낮게 예측하였다. EDC 3-step Mixed 모델이 가장 예측성능이 좋았지만 EDC 2-step Mixing Controlled 모델도 충분히 합리적인 수준으로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EDC 1-step Mixing Controlled 모델에 기존에 제안된 CO 수율을 적용할 경우 CO 농도에 대해서 너무 과소 예측하며 CO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율을 높이면 $CO_2$ 농도에 대한 합리적인 예측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combustion models in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with experiment for compartment propane gas fires. The mixture fraction model in the FDS v5.5.3 and Eddy Dissipation Concept (EDC) model in the FDS v6.6.3 were adopted in the simulations....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19)

  1. "Fire Status Statistic", National Fire Data System, (http://www.nfds.go.kr/fr_base_0001.jsf). 

  2. J. S. Nam,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erformance-Based Design", Proceedings of 2017 KIFSE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57-58 (2017). 

  3. B. Baek, C. B. Oh, E. J. Lee and D. G. Nam, "Application Study of Design Fire Curves for Liquid Pool Fires in a Com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4, pp. 43-51 (2017). 

  4. P. A. Reneke, M. J. Peatross, W. W. Jones, C. L. Beyler and R. Richards, "A Comparison of CFAST Prediction to USCG Real-scale Fire Tests", Journal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Vol. 11, No. 1, pp. 43-68 (2001). 

  5. Z. Chen, J. X. Wen, B. and S. Dembele, "Large Eddy Simulation of Fire Dynamics with the Improved Eddy Dissipation Concept", Fire Safety Science, Vol. 10, pp. 795-808 (2011). 

  6. T. Beritic, "The Challenge of Fire Effluents",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00, pp. 696-698 (1990). 

  7. K. McGrattan, S. Hostikka, J. E. Floyd and R. McDermott, "Fire Dynamics Simulator Technical Reference Guide Volume 1: Mathmatical Model",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 5th Edition (2007). 

  8. K. McGrattan, S. Hostikka, J. E.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Technical Reference Guide Volume 1: Mathmatical Model",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 6th Edition (2015). 

  9. G. Hadjisophocleous and Q. Jia, "Comparison of FDS Prediction of Smoke Movement in a 10-storey Building with Experimental Data", Fire Technology, Vol. 45, No. 2, pp. 163-177 (2009). 

  10. N. D. Pope and C. G. Bailey, "Quantitative Comparison of FDS and Parametric Fire Curves with Post-flashover Compartment Fire Test Data", Fire Safety Journal, Vol. 41, No. 2, pp. 99-110 (2006). 

  11. D. Yang, L. H. Hu, Y. Q. Jiang, R. Huo, S. Zhu and X. Y. Zhao, "Comparison of FDS Prediction by Different Combustion Models with Measured Data for Enclosure Fires", Fire Safety Journal, Vol. 45, No. 5, pp. 298-313 (2010). 

  12. Y. B. Bae, S. H. Ryu, Y. I. Kim, S. K. Lee, O. H. Keum and J. S. Park, "Validation of FDS for the Pool Fires within Two Room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4, No. 5, pp. 60-67 (2010). 

  13. ISO 9705, International Standard, "Fire tests-Full Scale Room Test for Surface Products", First Edition, Reference Number ISO/TC92/WG7/N124 (1993). 

  14. C. H. Hwang, "Effects of Change in Heat Release Rate on Unsteady Fire Characteristics in a Semi-Closed Compart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75-83 (2012). 

  15. K. McGrattan, S. Hostikka, J. Floyd, H. R. Baun, R. Rehm, W. Mell and R. McDermott, "Fire Dynamics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 5th Edition (2010). 

  16.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 6th Edition (2015). 

  17.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Technical Reference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 6th Edition (2015). 

  18. NFPA,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NFPA, 2th Edition (1995). 

  19.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Technical Reference Guide Volume 3: Validation",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3, 6th Edition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