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수준협약(SLA) 프레임워크
A Framework of Service Level Agreement for Activating Cloud Servic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173 - 186  

서광규 (상명대학교 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지만, 많은 이용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이용자 입장에서 어떤 클라우드 서비스를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수준협약(클라우드 SLA)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이용자간에 서비스의 품질과 성능 등을 포함한 정성적인 지표와 정량적 지표를 이용하여 협의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하고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국내 클라우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SLA를 위한 프레임워크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클라우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SLA의 세부 구성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의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체계하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간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활용은 물론 궁극적으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 성능 수준 향상 및 이용자 신뢰기반 조성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cloud services are expanding, many users are having difficulty in adopting cloud servic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as to which cloud services can be trusted by users. loud service level agreement (Cloud SLA) is an agreement between cloud service providers and cloud service cons...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LA 구성항목 도출과정과 클라우드전문위원회를 통한 클라우드 SLA 구성항목 제시 결과를 기술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클라우드 산업현황을 고려한 클 라우드 SLA 구성항목 제시를 위해서 클라우드 SLA를 위한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전문위원회는 클 라우드 SLA 구성항목을 적용가능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 해 학계전문가 3인, 11인의 IaaS 제공자, 2인의 PaaS 제 공자, 3인의 SaaS 자로 구성된 총 16인의 클라우드 서비 스 제공자, 3인의 클라우드 품질․성능 전문기업, 3인의 클라우드 서비스 소비자 3인의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되 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 절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클라우드 SLA 구성항목 도출을 위해 국외 3건과 국내 4건의 클라 우드 SLA 문서의 클라우드 SLA 구성항목을 모두 검토 하였다. Fig.
  •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IaaS/PaaS/SaaS)별로 적용 가능한 항목의 검토를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절에서 분석한 국외 3건과 국내 4건의 클라우드 SLA의 세부 항목을 모두 검토하였다. 단, 본 연구에서는 구성 및 변경관리에 포함되는 세부항목은 일반적인 클라우드 SLA 구성내용으로 제외하고 다른 관리 영역의 세부항목만을 고려하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SLA를 위한 관리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무조정실과 정보통신부에서 제정한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지침[18]”을 채택하여 이를 검토하고 수정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클라우드 SLA에 관한 세부항목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SLA를 위한 관리항목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관리영역에 따라 세부항목을 분류하고 매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하고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클라우드 SLA에 관한 기준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ㆍ외 대표적인 클라우드 SLA에 대한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SLA 구성항목 도출 등 클라우드 SLA에 관한 기초연구를 통해 클라우드 SLA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 본 절에서는 국외 클라우드 SLA 분석을 통한 클라우드 SLA를 위한 세부 항목을 확인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전절에서 도출한 클라우드 SLA를 위한 관리 영역에 따라 이를 분류하여 매핑한다.
  • 본 절에서는 전절의 해외 클라우드 SLA의 사례 분석에 이어 대표적인 국내 클라우드 SLA의 사례 분석을 통해 클라우드 SLA를 위한 세부 항목을 확인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전절에서 도출한 클라우드 SLA를 위한 관리영역에 따라 이를 분류하고 매핑한다.
  • 전절에서는 국내·외 대표적인 클라우드 SLA를 조사·분석하고 클라우드 SLA를 위한 관리영역별로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매핑하였다. 본 절에서는 클라우드 SLA 구성항목 도출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기로 하는데, 이는 전절의 국내외 SLA 사례분석결과로 수행된 분류와 매칭된 세부 항목들을 고려하여 궁극적으로 클라우드 SLA의 구성항목 도출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클라우드 SLA의 구성항목을 도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제시는 Table 8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되는데, 단계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KCC)에서 발간한 “클라우드 SLA 가이드”는 SLA를 작성할 때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간의 서비스 항목과 목표 수준 등을 제시한 지침서로써 이용자의 경우 클라우드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하고, 서비스 업체의 경우 서비스 품질을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서는 클라우드 SLA 수준을 향상시켜 클라우드 수요를 확산하고,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었다[22].
  • 이를 위해 국내ㆍ외 대표적인 클라우드 SLA에 대한 현황과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SLA 구성항목 도출 등 클라우드 SLA에 관한 기초연구를 통해 클라우드 SLA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품질ㆍ성능 수준 향상 및 이용자 신뢰기반 조성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 활성화 유도하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SLA는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법적 요구 사항이 다양하고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호스팅되는 개인 데이터의 보호와 관련하여 여러 관할 지역에 걸쳐 있으며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및 배포 모델에는 SLA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SLA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SLA 표준화를 통해 클라우드에 대한 SLA의 명확성을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클라우드 SLA 표준화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 국가들의 “클라우드 우선 적용(Cloud First) 정책”에 대한 사례는 무엇인가? 이러한 ICT 활용 패러다임이 클라우드로 전환함에 따라 2010년부터 미국, 영국 등 주요 국가들은 “클라우드 우선 적용(Cloud First) 정책”을 기반으로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이용을 선도하고 있으며, 동시에 민간기업에서의 클라우드 이용도 급속히 확산중이다. 특히 미국은 보안정책(FedRAMP)과 함께 공공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활성화하였으며[1], 영국은 클라우드 공공수요 조달 관련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였다. 호주는 정부의 클라우드 이용 확대로 민간 활성화를 유도하였으며, 중국은 선도국 수준의 클라우드 실현을 위한 6대 주요전략을 발표하였다. 일본은 클라우드 기반의 ICT 활용 촉진과 지역 ICT 경쟁력 강화 및 클라우드 기업 육성 등을 담은 클라우드컴퓨팅 발전전략을 수립하였고, 프랑스는 미국 클라우드 기업에 집적되는 데이터 주권이슈의 해결과 자국 기업 육성을 위해 자국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였다[2].
SLA의 장점은 무엇인가? 만약 서비스 제공 수준이 주기적으로 혹은 일정기간 사전에 합의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 사업자는 벌과금을 받게 된다. SLA가 있으면 사용자는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성능을 기준으로 이용 환경을 평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SLA는 서비스 수준관리(SLM) 절차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관리된다[15].
클라우드 SLA란 무엇인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서비스 성과를 평가/보상하여 서비스를 주고받는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Cloud Service Provider; CSP)와 클라우드 서비스 소비자(Cloud Service Consumer; CSC)인 양 당사자 간의 서비스를 보증하기 위한 품질 상세 약정[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 K. Seo. (2012). A Comparison Study between Korean Cloud Service Certification Systems and U.S. FedRAM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1), 58-65. 

  2. Joint Ministry (2015). Cloud Computing Activation Plan: 1st Cloud Computing Development Master Plan(between 2016 and 2018). OPM. 

  3.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15).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Users. MOI. 

  4.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15).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Users. MOI. 

  5. H. W. Kim, J. Jung, D. S. Kim, H. K. Lee & K. J. Han. (2012). An Information System Audit Model for IT Outsourcing Op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1), 185-196. 

  6. S. H. Lee, J. T. Choi, D. S. Kim & H. W. Kim. (2012). The Model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ng Audit for the Service Level Agre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6), 71-82. 

  7. D. S. Kim & H. W. Kim. (2015). A Study on the Audit Model of Outsourcing Operation based on Availability Metrics in perspective of Service Level Agre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183-196. 

  8. J. D. Kim, D. H. Park & H. Y. Yeum. (2015). A Study on development of privacy indicators in the context of cloud service level agre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115-120. 

  9. S. R. Kim, M. M. Kang & J. H. Bae. (2013). Automation of Service Level Agreement based on Active SLA.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3(4), 229-237. 

  10. Y. M. Ahn, J. S. Park & K. H. Yeum. (2015). Quality Metrics of Cloud Service Based on Cross-cutting and SLA Specification Mechanism. Journal of KIISE, 42(11), 1361-1371. 

  11. G. R. Yoon & B. H. Lee. (2013). Implementation of SLA Management System for QoS Guarante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7(2), 302-308. 

  12. L. Z. Sakr & A. Liu. (2015). A Framework for Consumer-Centric SLA Management of Cloud-Hosted Databases. IEEE Transactions on Services Computing, 8(4), 534-549. 

  13. D. Serrano, S. Bouchenak, Y. Kouki, F. A. Oliveir, T. Ledoux, J. Lejeune, J. Sopena, L. Arantes & P. Sens. (2015). SLA guarantees for cloud services.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54, 233-246. 

  14. W. Hussain, F. K. Hussain, O. Hussain, R. Bagia, E. Chang. (2018). Risk-based framework for SLA violation abatement from the cloud service provider's perspective. The Computer Journal, 61(9), 1306-1322. 

  15.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07). Information System Operating Contract Reference Model for Strengthening SLAs. Information Communication Group Standard. TTA.. 

  16. ISO/IEC (2016). ISO/IEC 19086-1: Information technology - Cloud computing - Service level agreement (SLA) framework - Part 1: Overview and concepts. ISO. 

  17. ISO/IEC (2014). ISO/IEC 17788:2014, Information technology - Cloud computing - Overview and vocabulary. ISO. 

  18.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05). Guidelines for information System Operations. MIC. 

  19. The Cloud Select Industry Group - Subgroup on Service Level Agreements(C-SIG-SLA) (2014). Cloud Service Level Agreement Standardisation Guideline, EU EC. 

  20. Cloud Standards Customer Council (2015). Practical Guide to Cloud Service Agreements Version 2.0. CSCC 

  21.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0). Quality factor for establishing cloud computing SLAs. Information Communication Group Standard. TTA. 

  22.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0). Quality factor for establishing cloud computing SLAs. Information Communication Group Standard. TTA. 

  23.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1). Cloud SLA Guide and Privacy Rules. KCC. 

  24.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6). Guidelines for Private Cloud Utilization for Public Institutions. MOGAHA. 

  2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6). Official announcement No. 2016-42 of the Criteria for Cloud Computing Service Quality and Performance. MSI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