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권리옹호에 관한 실천적 인식연구
A Study on Practical Recognition about Rights Advocacy of Social Workers in Disabled Welfare Cente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265 - 271  

이세희 (가톨릭대학교) ,  최윤영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장애인복지관에서 권리옹호는 장애인복지의 패러다임이며 평가의 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권리옹호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이 쉽지 않아 현장의 사회복지사 각자가 실천현장의 경험을 토대로 권리옹호에 대한 개념을 만들어 가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권리옹호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는 것은 권리옹호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메타포 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메타포 분석은 새로운 것에 대한 구체적 설명 즉, 은유의 근거를 제공하고 이후 그것을 분석함으로써 특정한 맥락과 상황에서 개인의 인식을 살펴보는 분석방법이다. 연구결과로는 사회복지사의 권리옹호에 대한 인식이 이념형(꼭 필요한 것)과 실천형(함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리옹호가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는 '실천적인 개념'으로 파악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권리옹호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이러한 인식을 반영하여 복지현장에서 권리옹호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환경과 정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권리옹호를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배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지 실습현장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rights advocacy in disabled welfare cente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stimation and also transition of paradigm.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rights advocacy specifically, so each disabled welfare center goes to conceptualize rights advocacy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Study 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서는 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권리옹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권리옹호를 ‘함께하는 것’, ‘함께 사는 것’, ‘동행’, ‘촛불’ 등 함께 하는 행위로 인식하는 이유? 셋째, 사회복지사들은 권리옹호를 ‘함께하는 것’, ‘함께 사는 것’, ‘동행’, ‘촛불’ 등 함께 하는 행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조직의 영향을 받는 사회복지사로서 사회복지조직이 아픔과 치유가 공존하는 장소이면서 컴페션과 돌봄을 서로 주고받는 공간[11]에서 당사자 및 다른 기관과 함께 업무를 수행해온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권리옹호제도란? 과연 권리옹호는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 제철웅은(2017) 권리옹호제도를 설명하면서, 장애인의 입장에서 장애인이 겪는 차별 및 장애로 인해 입는 피해에 대해 그 장애인과 함께 권리구제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제도라고 하였으며, ‘장애로 인한 모든 유형의 차별로 불이익을 당하거나 장애로 인해 피해를 입는 개인들을 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2]. 또한 권리옹호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재산권 침해, 유기나 방임 등의 학대, 법정에서 자신을 옹호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을 변론하거나, 피해 장애인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때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쉬운 말과 그림으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역할, 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대한 적극적 지원 등 다양한 차별상황을 지원하는 수단이기도 하다[3].
권리옹호에 대한 통일된 목적이나 개념을 가지는 것이 어려운 이유? 이렇듯 다양한 범주에서 상황에 맞게 다른 지원을 통해 나타나는 권리옹호의 특성 때문에 지역의 장애인의 복지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관에서는 오히려 권리옹호에 대한 통일된 목적이나 개념을 가지는 것이 더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현재 한국의 장애인 권익옹호 혹은 권리옹호 지원체계는 관련된 복지 단체나 기관중심의 지원방식으로 작동되고 있기 때문이다[4]. 따라서 한국의 장애인 권익옹호 혹은 권리옹호 지원체계는 체계적이고 전문적 옹호, 개별적 옹호지원을 할 수 있는 토양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E. Shin & Y. H. Song. (2017). The Cognition of Job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Small and Medium-sized Organization) in Gyeonggi.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7), 151-157. 

  2. C. U. Je. (2015). Legislative Task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Chonbuk Law Review, 44, 153-182. 

  3. J. K. Seo, C. U. Je & Y. Y. Choi. (2016). The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 Protection and Advocacy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Korea: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relevant Discussion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2, 141-170. 

  4. Y. D. Kim & M. Y. Kim & J. K. Seo & J. E. Jang & S. G. Park. (2014).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Rights Advocacy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Seoul: EM Community. 

  5. J. K. Seo, C. U. Je. & Y. Y. Choi. (2016). The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 Protection and Advocacy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Korea: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relevant Discussion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2, 141-170. 

  6. S. T. Yim. (2014).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Advocacy System of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Policy Discussion to Establish the System of Protection and Advocacy for the Disabled, 23-46. 

  7. B. S. Seo, J. K. Park. & L. E. Park. (2014). Metaphor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Workers Concern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15(3), 191-214. 

  8. J. I. Lee & H. A. Seo. (201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about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by Metaphor Analysi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7(2), 275-300. 

  9. K. M. Kim. (2015).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Early Special Education: A Study of Metaphor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50(3), 121-141. 

  10. K. H. Jun. (2018). Population Policy in Korea-a Human-Rights Perspectiv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41(2), 1-30. 

  11. S. H. Ko. (2018)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on Collective Self-Esteem :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Work-Related Identity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179-185. 

  12. K. S. Park. (2008). The Study on the Role Orientation of Social Work Professional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2(2), 19-45. 

  13. Y. M. Jeon & H. W. Lee. (2017).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