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327 - 333  

권오형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문재우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2017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2차 조사 대상자 4,400명중 1,483명을 대상으로 SPSS 21.0에 의한 기술통계, 상관분석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일상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은 일상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계와 일상생활 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했다. 원활한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일상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바탕으로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 증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effica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1.0 were applied to 1,483 out of 4,400 of Pena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장애인 스스로 다양한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가하거나 자기효능감을 높이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 요인 변수 중에서 기존 연구에서 다소 소외 되어왔으며, 장애인 스스로 주도적으로 자신의 삶의 변화를 꾀할 수 있는 변수인 대인관계와 자아효능감에 주목하여 생활 만족도를 바라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장애인은 특성상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수동적이거나 비주도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 증진을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실현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인관계와 일상생활 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갖는 경로를 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및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내부요인인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 만을 일정시점에 한정하여 다룬 횡단 연구이다. 따라서 일상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애유형, 만성질환, 사회적 활동, 경제적 요인 및 가족관계 등 다양한 내외부요인을 다루지 못한 점과 일상생활 만족도 변수의 특성상 횡단연구에 의해 얻은 결과는 시간 또는 환경의 변화에 의해 변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가설 설정

  • 또한 대인관계의 왜도 -.074, 첨도 .246, 일상생활 만족도의 왜도 -.051, 첨도 .074 및 자기효능감의 왜도는 -.084, 첨도 .222로 변수 별 왜도는 1미만, 첨도는 7미만으로 나타나 모든 변수는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가정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어떻게 향상되는가? 자기효능감은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자신에 대한 신념으로 대인관계가 원만 할 때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아향상된다[7, 8, 11].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분야에서 삶의 질이 높으며, 가족 간 갈등적인 대인관계에 의해 저하된 자아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현저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2, 13].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물리적 능력의 한계로부터 오는 것 보다 무엇이 더 큰가? 사회적 관계망이 다양한 장애인 임금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장애인 임금 근로자보다 일상생활 만족도가 높고, 직장 내에서 대인관계로부터 오는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9]. 또한 직장 내 대인관계로부터 오는 직무 스트레스는 장애인의 특수성으로 인한 물리적 능력의 한계로부터 오는 것 보다 크다[10].
생활 만족도의 특징은? 객관적 행복도 지수는 높지만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생활 만족도는 높지 않을 수 있다. 즉, 생활 만족도는 객관적 상황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지표로부터 영향을 받으나 반드시 일치하는것은 아니다[1]. 그래서 생활만족도는 주관적 입장을 중시하는 주관적 행복(subjective well-being)으로 정의되어지기도 한다[2]. 한국은 2017년 기준 GDP가 세계에서12위를 기록 했지만, 생활 만족도는 OECD가 발표한 38개국 중 30위를 기록했다[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 H. Cwon. (2015). The Influence of Disabled Paid Worker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 the Main Focus on Analyzing Mediation Effect of Self Esteem and Moderating Effect of Standard and Non-standard Workers. Disability & Employment, 25(4), 297-319. 

  2. Diener, Ed, E. Sandvik, L. Seidlitz & M. Diener.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 and subjective well-bing; relative or absolut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8, 195-223. 

  3. S. H. Kim. (2018). Gross domestic product 2017.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8/14/0200000000AKR20180814148100002.HTML 

  4. OECD (2017). World Happiness Report 2017. OECD.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topics/life-satisfaction/ 

  5. H. Joon. (2015). Quality of Life in Korea and Its Social Determinants.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10(2), 67-95. 

  6. R. Montemayor. (1994). The study of 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t, in persional relationship during adolescent, edited by R. Montemayor, G. Adam & T. Gulotta, CA; Sage. 

  7. S. J. Lee. (2008). The Relationship of Social Connectedness with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7(1), 67-87 

  8. H. S. Kang & K. H. Lim. (2013). The Influenc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nam-do.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1), 481-500. 

  9. D. M. Yeum, M. J. Kim & H. Y. Baek. (2013).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the social network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 Employment, 23(1), 303-325. 

  10. C. S. Lee & M. S. Kim. (2012). The study on the psychosocial variab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the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 Employment, 22(1), 29-54. 

  11.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entral. New York; Freeman. 

  12. W. G. Jang, Y. S. Park & U. C. Kim. (2007). Human relationship,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ical analysis.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25(1), 1-21. 

  13. H. Y. Lee. (2014).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flict.Interpersonal Rela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in-Law Living Together with Daughter-in-Law. The Society of Korean Thought And Culture, 75, 457-484. 

  14. H. S. Kim & Y. S. Lee. (2014). Effects of Household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o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Disabled. Disability & Employment, 24(4), 146-171. 

  15. M. S. Jeon. (2018).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Disabled's Quality of Life: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Disabled Peopl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 201-221. 

  16. H. E. Nam. (2015). A study on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warenes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Quality of Life - Center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coping resources and stress-coping methods -. Korea Academy of Disability and Welfare, 30, 117-143. 

  17. J. S. Lee. (2011). The effect of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self stigma o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7(1), 277-299. 

  18. H. K. Kim. (2010).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Prejudice Experienced by the Mentally Ill on Quality of their Life.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1(2), 63-84. 

  19. I. G. Jeong. (2015).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erebral Pals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Korea, 19(4), 61-81. 

  20. J. O. Sin. (2015). Multiple Mediator of Job Environment and Work Sustainability on the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49, 202-226. 

  21. N. H. Park & M. S. Gu. (2016). The impac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19, 79-115. 

  22. H. S. Kim & Y. S. Kim. (2009). Th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ith Disability.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2, 183-215. 

  23. S. H. Kim, J. K. Park & E. R.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ability & Employment, 26(4), 173-195. 

  24. S. G. Song & H. Lee. (2014). The Leisure Participations and Leisur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Objective Frequency and Perceived Frequency. Tourism & Leisure Research, 26(6), 261-280. 

  25. J. J. J. Lee. (2017). Pe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Disability & Employment. 

  26. S. Schlein & B. G. Guerney. (1971).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7. M. Jerusalem & R. Schwarzer. (1992). Self-efficacy as a resource factor in stress appraisal processes. In R. Schwarzer (Ed.), Self-efficacy: Thought control of action(pp. 195-213). Washington, D.C.: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28.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 15(6), 1173-1182. 

  29.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man, S. west & V. Sheets.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es, 7, 83-104. 

  30. E. S. Kwak. (2003). The influances of leisure activitied and peer -relationship on adolescets' life satisfac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31. U. G. Jang, Y. S. Park & U. C. Kim. (2008).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 2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