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정치과에서의 손 위생과 건강신념간의 융합 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Hand washing and Health Belief on Convergence Study in Orthodontic clinic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115 - 122  

이소영 (대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이유희 (대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진료 환경은 병원 미생물에 쉽게 노출되어 종사자의 감염 위험성은 매우 높다. 그중 손은 감염의 중요한 매개가 되므로 손위생은 감염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에 치과진료 과목을 세분화하여 교정치과 진료실의 손위생과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손위생과 건강신념간의 차이 분석 결과 손 위생 관리 중요도와 손 위생 교육 경험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10)(p=0.000). 건강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손 위생 관리 중요도(p=0.014), 손 위생 교육 경험(p=0.010)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치과 감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본적인 방법인 손 씻기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을 예상 할 때 감염관리 교육은 건강신념을 확립하는데 높은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tal environments are easily exposed to hospital microorganisms, so the risk of infection among workers is very high. Hand wash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way to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as hands are an important medium of infection. Therefore, a convergence study was conducte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수요는 많고 진료시간이 비교적 짧은 치과교정 진료업무를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손 위생 실태와 지식, 건강신념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치과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손 위생에 관한 실태와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교정 진료 시 긍정적인 건강신념을 바탕으로 올바른 감염관리활동이 수행 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치과 감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고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손 씻기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치과의 특수 과목들을 세부화 하여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일반진료와는 달리 특수 과목으로 알려진 교정치과에서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손 위생에 관한 실태와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교정 진료 시 올바른 감염관리활동 수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진료 환경의 특징은? 치과진료 환경은 구강 내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 중에 타액과 혈액 등에 의한 병원 미생물에 쉽게 노출되며, 에어로졸과 분진의 발생으로 인하여 치과종사자는 감염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보건복지부에서는 치과진료에 이용되는 진료용 기자재 및 장비에 대한 소독, 멸균, 취급 등을 규정하는 치과진료 감염방지 기준을 마련하여 환자 간, 환자와 치과종사자 사이의 감염 예방에 노력하고 있다[2].
감염의 중요한 매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치과진료 환경은 병원 미생물에 쉽게 노출되어 종사자의 감염 위험성은 매우 높다. 그중 손은 감염의 중요한 매개가 되므로 손위생은 감염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에 치과진료 과목을 세분화하여 교정치과 진료실의 손위생과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치과종사자는 감염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보건복지부에서는 어떻게 하였는가? 치과진료 환경은 구강 내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 중에 타액과 혈액 등에 의한 병원 미생물에 쉽게 노출되며, 에어로졸과 분진의 발생으로 인하여 치과종사자는 감염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보건복지부에서는 치과진료에 이용되는 진료용 기자재 및 장비에 대한 소독, 멸균, 취급 등을 규정하는 치과진료 감염방지 기준을 마련하여 환자 간, 환자와 치과종사자 사이의 감염 예방에 노력하고 있다[2]. 의료기관 종사자의 손은 전염성 미생물과 세균에 노출되기 가장 좋은 매개체이며, 대부분의 미생물은 접촉, 공기, 비말을 통해 전파 되는데 그 중 에서도 접촉이 가장 중요한 전파 수단이므로 손 씻기는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고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방법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S. Bae, & M. S. Lee.(2013).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and its validity verification. J Dent Hyg Sci, 13(3) 254-63. 

  2.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ral health team: Dental treatment in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standard. Seoul: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1-3. 

  3. S. S. Budhathoki1, M. Bhattachan1, A. K. Yadav, P.Upadhyaya1 & P. K. Pokharel1. (2016). Eco-social and behavioural determinants of diarrhoea in under-five children of Nepal: a framework analy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Tropical Medicine and Health, 44(7), 2-9.DOI: 10.1186/s41182-016-0006-9 

  4. D. F. Zhang, M. S. Lee, S. Hong, N. Y. Yang, H. J.Hwang, B. H. Kim, H. S. Kim, E. Y. Kim, Y. J. Park, K.E. Lim & Y. T. Kim. (2015).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practices and infectious diseases in Korean students. Korean Society for R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0(4), 206-220. https://www.koreamed.org/SearchBasic.php?DT1&RID...40... 

  5. K. O. Yun.(2013). Actual status of infection control by the dental hygienist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13(3): 369-76.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369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Morbidity Weekly Report 2002; 51(RR-16): 51. 

  7. World Health Organization(2009). WHO guidelines for hand hygiene in health care. Geneva, Switzerland: Author. 

  8. Shah S & Singhal T.(2013). Hand Hygiene and health care associated infection: What, Why and how.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5(3): 130-4. 

  9. J. Y. Choi, H. S. Park, S. H. Sim, J. S. Kim, B. K. Choi, & H. K. Jang.(2009). A study on affect factors in dental infection control. Focus on wash hand and put gloves on of a dental step. J Dent Hyg Sci 9: 35-41. 

  10. M. H. Ko et al.(2014). Orthodontics Komunsa, Seoul 230. 

  11. Y. N. Park & M. R. Lee.(2010). Main cause of influenc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and self-esteem of orthodontic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10(3), 513-22. 

  12. M. H. Jung. (2009). Current trends in orthodontic patients in private orthodontic clinics.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39(1), 36-42. http://dx.doi.org/10.4041/kjod.2009.39.1.36 

  13. S. Y. Jeong, O. S. Kim & J. Y .Lee. (2014).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Digital Convergence. 12(5):353-66. http://dx.doi.org/10.14400/JDC.2014.12.5.353 

  14. S. Y. Jeong & O. S. Kim. (2013). Knowledge and Beliefs about Hand Hygiene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2(3), 198-207.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3.198 

  15. H. S. Oh. (2015). Analysis of Hand Hygiene Practices of Health Care Personne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6160-8.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160 

  16. J. Y. Choi, H. S. Park, S. H. Sim, J. S. Kim, B. K. Choi & H. K. Jang. (2009). A Study on Affect Factors in Dental Infection Control: Focus on Wash Hand and Put Gloves on of a Dental Step.J Dent Hyg Sci, 9(1), 35-41. 

  17. J. H. Jeong, H. J. Noh, J. H. Yoo & S. J. Mun. (2017). Correlation between belief in hand hygiene, related activities and performance rate among dental staff. J Korean Soc Dent Hyg, 17(2), 247-258.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2.247 

  18. Y. K. Lee & S. D. Kim. (2010)About dentistry infection from dentistry medical institution recognition research of patient. J Korean Soc Dent Hyg,10(4),617-25. 

  19. H. S. Park, J. Y. Bae, Y. A. Lee. &M. J. Jo. (2007). A Study on Recognition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7(4),257-62. 

  20. S. H. Hong. (2014) The Associated Factors with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mong the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Gwangju. 

  21. H. N. Lee. (2017).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 J Korean Soc Dent Hyg 17(4):621-30. 

  22. M. J. Kim, J. S. Kim & S. J. Eum. (2003). Knowledge, universal precaution practice, and hindrance factors of medical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concerning blood-mediated diseases. Clinical Nursing Research9(1),41-54. 

  23. G. H. Kim & Y. S. Kwon. (2018). A study on the hand washing practice of a clinical nurse in a hospital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35(2)532-9. http://dx.doi.org/10.12925/jkocs.2018.35.2.532 

  24. H. N. Yoo &K. H. Kang. (2013).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ental treatment infection control standards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Digital Convergence.11(12):649-56.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649. 

  25. I. S. Jung. (2018).Comparison on handwash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Korea and Nepal.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63-71.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4.063 

  26. M. Kapali & I. S. Jung. (2018). A convergence study on hand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8(2):51-60.https://doi.org/10.22156/CS4SMB.2018.8.2.051 

  27. M. H. Lim. (2013).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hand washing practice of dental hygienists by health belief model. J Korean Soc Dent Hyg 13(2),193-200 

  28. M. J. Kim & S. J. Yun.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tandard Precautions: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77-88. https://doi.org/10.15207/JKCS.2018.9.6.077 

  29. H. J. Jung & J. H. Lee. (2015).Impact factor of cogni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15(3):363-9.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3.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