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항정신약의 사용 실태
The using practices of antipsychotic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207 - 216  

김미숙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은 지적장애인에 대한 항정신약의 사용 실태를 국가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없어 항정신약 사용의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에게 처방되는 항정신약의 사용 실태를 국가적으로 조사한 일본의 동향을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일본의 J-STAGE, 메디칼온라인, 코호트 연구에서 정신박약, 정신지체, 지적장애, Psychotropic, Antipsychotic, 행동장애로 검색하여 유효한 논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지적장애인에게 처방되는 다양한 항정신약물의 치료 효과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곤란하며, 둘째, 부작용을 쉽게 알아내지 못하는 동향이 높으며 셋째, 약물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한국의 지적장애인에게 보다 안전한 항정신약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와 조사는 물론 개선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re has been no national research on the use of antipsychotic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oblems or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in using antipsychotic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 research findings on the us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일본의 지적장애인 시설에서 사용되는 정신과 관련 약물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의 주증상과 중복되어 나타나 정신질환과 문제행동을 위해 처방되는 항정신약의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하는 일본의 동향을 분석하여 한국의 지적장애인에게 처방되는 항정신약의 사용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지적장애인을 위한 약물치료는 주증상인 지적능력 및 적응능력의 개선보다는 중복되어 나타나는 정신질환과 문제행동을 완화시키는데 큰 목적을 둔다. 이런 이유로 한국도 정신질환이나 문제행동을 보이는 지적장애인에게 항정산약물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장애란 무엇인가? 지적장애는 지적기능과 적응행동 모두에서 현저한 문제가 18세 이전에 발생하는 장애로, 여러 가지 정신질환 및 문제행동, 신경학적 장애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1,2]. 이는 지적장애인들이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과 여러 경험에 대한 누적적 실패로 불안, 분노, 난폭행동, 공격행동, 자해 등의 행동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적장애인들이 불안, 분노, 난폭 행동 등의 행동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는 요인은 무엇인가? 지적장애는 지적기능과 적응행동 모두에서 현저한 문제가 18세 이전에 발생하는 장애로, 여러 가지 정신질환 및 문제행동, 신경학적 장애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1,2]. 이는 지적장애인들이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과 여러 경험에 대한 누적적 실패로 불안, 분노, 난폭행동, 공격행동, 자해 등의 행동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진숙은 항정신약의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항정신약은 지적장애와 중복된 정서·행동적 문제와 동일한 증상들을 주로 보이는 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틱장애, 뚜렛장애, 사춘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있다[5-7]. 그러나 최진숙은[8] 발달장애의 특성이 다양함으로 약물 선택과 사용에 신중성을 지적한다. 이와 같이 특정 약물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할 때에는 좀 더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하여 우선 약물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총체적 조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 M. Chitty et al. (2016). Central nervous system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sults from the successful ageing in intellectual disability study. Aust NZJ Psychiatry, 50(4), 352-362. 

  2. N. D. Goli et al. (2016). Intellectual Disability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Quarterly of International Archives of Health Sciences. 3(2), 27-36. 

  3. S. L. Einfeld et al. (2011). Comorbidity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mental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J Intellect Dev Disabil., 36(2), 137-143. 

  4. Y. H. Kang. (2008). Encyclopedia of Life Science. Academy Books. 

  5. M. A Song & H. J. Hong. (2013). Use of Antipsychotic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Kor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cology, establishment 11-17. 

  6. E. Y. Oh, et al. (2000). Comparison of Therapeutic Efficacy between Haloperidol and Risperdone in Tic Disirders. Kor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cology, 11(3), 270-277. 

  7. N. Ji & R. L. Findling. (2015). Anupdate on pharmaco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 Opin Psychiatry, 28(2), 91-101. 

  8. J. S. Choi. (1993). Pharmacological Treatment i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1), 27-38. 

  9. T. Hayashi et al. (2004). Actual Conditions of Use of Anti-Psychotic Drugs in Institut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lletin of the School of Nursing, Yamaguchi Prefectural University, 8, 1-4. 

  10. Y. Ono. (2000). Usage status of psychotropic medication in Mental retardation. Clinical psychiatry, 47(7), 697-703. 

  11. H. Nakayama. (2001).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sychiatric conditions of patient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Japanese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2(1), 57-65. 

  12. K. Tanaka et al. (2006).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harmacotherapy of Extremely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in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No To Hattatsu, 38, 19-24. 

  13. H. J. Yu. (2018). The clinical approach of mental health to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uch as developmnetal disability etc. Classroon of a psychiatris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UBH, The psychiatry department, presentation material. 

  14. M. S. Kim & H. J., Kim. (2011). Understand and Education of Special Childre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Changjisa. 140-146. 

  15. D. L. Bowring et al. (2017). Challenging behavior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total poupulation study and exploration of risk indices. Br J Clin Psychol. 56(1). 16-32 

  16. J. Y. Kwon. (2009). Diagnostic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orean Med Assoc. 52(6), 601-610. 

  17. M. Y. Choi. (2009). Health and Medic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 Health And welfare Forum, 46-63. 

  18. M, Weiss et. al. (2009). A naturalistic study of predictors and risks of atypical antipsychotic use in a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linic.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19, 575-582. 

  19. S. B. Lee et. al. (2016). Differences of obstetric complication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Intellectual Disability. Psychosmatic, 24(2), 165-173. 

  20. E. Y. Oh et. al. (2013). Comparison of Therapeutic Efficacy between Haloperidol and Risperidone in Tic Disorder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1(3), 270-277 

  21. H. W. Sin. (2011).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he assessment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rapeutic facilities for disables pers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22. H. K. Lim(2014).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minimum service standards of residental 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23. S. K. Park.(2016). The present condition and task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8(1), 205-234. 

  24. Y. Inoue et al. (2016). Psychotropic Prescribing Pract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 cohort Study Using a Large-Scale Health Insurance Database. Psychiat. neurol. Jap, 118(11), 823-833. 

  25. Japanese Association on intellectual & Welfare Disabilities. (2016). National Intellectual Disabilities Report on actual condition of entrance facility. 235-295. 

  26. Y. I. Chung & S. H. Park. (2006). Development History of Antipsychotic Drug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7(3), 283-290. 

  27. T. Doan et. al. (2014). Psychotropic medication use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iving in the community. Pharmacoepidemiol Drug Saf, 23(1), 69-76. 

  28. I. Kimura et. al.(2016). Treatment for self-injurious in mentally hadicapped populatons -a report from our practice. Hattatsu, 48, 117-121. 

  29. S. W, Hsu er. al. (2014). Trends in the use of psychotropic drug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aiwan: a nationwide outpatient service study, 1997-2007. Res Dev Disabil., 35(2), 364-372. 

  30. J. S. Kwon & K. J. Lee. (2004). Atypical Antipsychotics : The Benefit and Disadvantage. Korean J Psychopharmacol, 15(2), 125-134. 

  31. J. W. Park & H. Y. Im.(1993). The Experiences of Antipsychotic Agents in Mentally Disabled. Korean J Str Res, 20, 21-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