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시 가정어린이집 운영자의 영유아급식 알레르기 관리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Analysis on Food Allergy Management of Home Childcare center's Directors in C c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287 - 294  

이주은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이들의 식품 알레르기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어린이의 비율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시에 등록된 가정어린이집 운영자인 원장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급식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현황과 이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을 조사하고 이를 융합적으로 해석하여 어린이들의 안전한 급식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정 어린이집 운영자에 비하여 교사와 조리원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많이 부족하였고, 알레르기 교육을 받은 운영자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실천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집 운영자와 교사, 조리원을 위하여 수준별 맞춤식으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교육을 계획하고, 다양한 콘텐츠와 매체를 활용하여 제공하여야 하며, 어린이집 급식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안전한 급식제공을 위해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영유아 급식의 알레르기 관리현황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ldren's food allergi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proportion of children who go to childcare centers is also on the rise due to the increase of women's soci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directors of home childcare centers in C city was suppo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o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시 가정어린이집 운영자인 원장을 대상으로 영유아 급식의 알레르기 관리현황과 지식, 태도, 실천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급식의 식품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어린이집 운영자인 원장을 대상으로 급식의 식품알레르기 관리현황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지식과 태도, 실천을 조사하여 가정어린이집 영유아 급식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 전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 19]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시 가정어린이집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리현황과 지식, 태도, 실천정도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알레르기란? 식품알레르기란 음식 섭취 후 우리 몸의 과민한 임상 반응이 나타나는 알레르기 질환 중 하나로, 식품 중 단백질 성분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체내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1]. 체내 항체의 한 종류인 면역글로불린 E(IgE)가 매개하는 경우 발현시간이 짧아 특정 음식 섭취 후 즉각적인 피부질환이나 호흡기질환 등이 나타난다.
아나필락시스는 원인 식품 섭취 후 인체에서 어떤 증상을 나타나게 할 수 있는가? 이 외에도 IgE와 면역세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타 여러 증상들도 있다[1,2]. 특히 IgE가 매개하는 증상 중 아나필락시스는 원인 식품 섭취 후 즉시 또는 수 분 안에 일어나는 안면창백, 피부발진, 호흡곤란, 혈압 저하, 탈진, 쇼크 등으로 인하여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치명적인 증상이다[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에서 2018년부터 통합되어 적용되고 있는 3차지표에는 원아들의 식품알레르기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도록 하는 새로운 문항이 추가되어 있지만 미흡한 점은? 또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어린이급식 영양관리 체크리스트 문항에는 원아들의 식품알레르기 조사를 실시하고, 이들에 대해 대체식품을 제공하는지 알아보고 있다[14]. 그러나 어린이집 평가인증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회원가입은 어린이집의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영유아들의 식품 알레르기 조사와 관리에 소홀할 여지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 Cianferoni & J. M Spergel. (2009). Food allergy: review,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Allergol Int, 58(1), 457-66. https://doi.org/10.2332/allergolint.09-RAI-0138 

  2. H. Morita, I. Nomura, A. Matsuda, H. Saito, & K. (2013). Matsumoto. Gastrointestinal food allergy in infants. Allergol Int, 62(3), 297-307. https://doi.org/10.2332/allergolint.13-RA-0542 

  3. H. Lemon-mule, A. Nowak-wegrzyn, C. Berin, & A.K. Knight. (2008). Pathophysiology of food-induced anaphylaxis. Current Allergy Asthma Reports, 8(3), 201-208.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882-008-0034-6 

  4. Jackson KD, Howie LD, & Akinbami LJ. Trends in allergic conditions among children: United States 1997-2011. NCHS Data Brief 2013;(121):1-8.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309.2796&reprep1&typepdf 

  5. R. S. Gupta, E. E. Springston, M.R. Warrier, B. Smith, R. Kumar, J. Pongracic, & J. L. Holl. (2011). The revalence, severity, and distribution of childhood food allergy in the United States. Pediatrics, 128(1), 9-17. http://pediatrics.aappublications.org/content/early/2011/06/16/peds.2011-0204 

  6. S. H. Sicherer & H. A. Sampson. (2018). Food allergy: A review and update on epidemiology, pathogenesis, diagn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J Allergy Clin Immunol, 141(1), 41-58. https://doi.org/10.1016/j.jaci.2017.11.003 

  7. K. M. Ahn et al. (2012). Prevalence of immediate-type food allergy in Korean schoolchildren: a population-based study. Allergy Asthma Proc, 33(1), 481-487. https://doi.org/10.2500/aap.2012.33.3598 

  8. M. J. Kim et al. (2017). Prevalence of immediate-type food allergy in Korean schoolchildren in 2015: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Allergy Asthma Immunol Res, 9(5), 410-416. https://doi.org/10.4168/aair.2017.9.5.410 

  9. Korea Consumer Agency. (2018). Necessity of improvement in allergen labelling system. Press Release of Korea Consumer Agency. https://www.kca.go.kr/brd/m_32/view.do?seq2395&srchFr&srchTo&srchWord알레르기&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item10&page1 

  10. JTBC. (2014.1.30) Student with dairy allergy got brain-dead after eating school meals.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422121 

  11. Y. J. Jang. (2014). Problems and Direction of the Food Allergy Management System.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Issues and points. No. 807. http://www.nars.go.kr/brdView.do?brd_Seq10467&currtPg1&cmsCdCM0018&categoryb3&src&srcTemp&pageSize10 

  12. W.K. Cho, & J.A. Kim. (2015). The Current State of Food Allergy of Preschool Childcare Facilities in Ha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4), 251-258. 

  13.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8). The 3rd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information. http://www.kcpi.or.kr/site/hp3/contents/data_n/reference02_1.jsp 

  14.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8). Guideline for Center for Children' Foodservice Managemen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hild Care Statistics. http://www.kcpi.or.kr/site/hp3/contents/data_n/reference 04_1.jsp 

  16. K. S. Kwon, & J. Y. Park. (2012). A study of the directors' discourse on the home based child care facilities management. J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9(3), 1-27. 

  17. S. Y. Lee. (2015).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food allergy. Report on Policy Studie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8. S.B. Kim, & J.H. Kim. (2017). Food allergy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by preschooler's faculty members of child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2(4), 298-306. 

  19. W. H. Seo, E. Y. Jang, Y. S. Han, K. M. Ahn, & J. T. Jung. (2011).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young children at a child care center and hospital in Korean. Pediatric allergy & respiratory disease, 21(1), 32-38 

  20. S. Y. Lee. (2016). Food allergy and detary factors of infants in Gyeonggi province. MS Thesis. Suwon University, Suwon. 

  21. S. B. Kim. (2016). Food allergy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by preschooler's parents and faculties of childcare center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2. J. H. Choi. (2012). University foodservice employees' food allergy knowledge, attitudes, practices, training and training needs. MS Thesis. Iowa State University, Iowa. 

  23. Y. M. Lee. (2012). Investigation of food allergy training and child nutrition professional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food allergies. Doctoral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Kansas. 

  24. N. Ramli, W. N. Nawawi, M. H. Kamal, J. Anuar. (2017). Food allergy: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among food handlers in school canteen. J Tourism, Hospitality & Culinary Arts, 9(2), 541-550. https://fhtm.uitm.edu.my/v2/images/jthca/Vol9Issue2/6-11.pdf 

  25. B. J. Lanser, R. Covar, J. A. Bird. (2016). Food allergy needs assessment, training curriculum, and knowledge assessment for child care.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116(6), 533-537. http://pediatrics.aappublications.org/content/140/Supplement_3/S199.1 

  26. J. H. Choi. (2015). Food allergy perception providing safe meals : Food and nutrition and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6(1), 63-67. 

  27. Jang MS, Park HH, Park EH, Park HR. (2015). Changes of Knowledges and Attitudes on Nutrition after 'NutriPlus Program', part of Convergence Education. J Digital Convergence. 13(5), 385-392. 

  28. Yun KM, Jeon BJ,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 by Child Care Center's Types. J Digital Convergence, 13(1), 25-35. 

  29. Kim YO, Shin SM, (2018).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for the Fusion Ag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181-188. 

  30. Song YH. (2017).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J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47-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