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강인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Job Stress, Coping Behavior, Hardiness on Burnout in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7 no.4, 2018년, pp.215 - 223  

하도경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job stress, coping behavior, and hardiness on burnout in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Data were acquired via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148 nurses in EDs at one general hospital, four university hospitals, and six hosp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이 부분적으로만 다루어 졌으며, 응급실 간호사를 대 상으로 이들 변수 간의 관계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강인성 및 소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무 방안을 모색 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 간호사들이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상황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응급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이 예고 없이 방문하고 있어 응급실 간호사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상황을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하게 된다(Yoon & Lee, 2003). 이러한 많은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상황으로 인한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소진을 발생시키고(Yoon & Kim, 2010), 환자 간호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이들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소진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Yoon, 2009).
직무 스트레스가 문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상간 호사를 대상으로한 연구들(Kwon & Lee, 2012; Lee, 2014)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트레스가 문제가 되는 것은 외적인 스트레스 요인의 증가보다는 각 개인의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부정적인 대처방식이 이들의 소진에 더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Kwon & Lee, 2012). 직무 스트레스는 대처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Chang et al.
응급실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응급실 간호사는 업무량이 매우 과중한 가운데 항상 긴장된 상황에서 근무하므로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데(Byun & Hong, 2002),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는 응급실 간호사의 사기를 저하시킨다(Park & Kim, 2001). 임상간 호사를 대상으로한 연구들(Kwon & Lee, 2012; Lee, 2014)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un, G. J., & Hong, H. S. (2002).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 and in admission ward.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6(2), 1-22. 

  2.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A. H.,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3. Cho, H. N., & Kim, S. J. (2014). Relationship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among emergency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1), 11-19. 

  4.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5. Han, K., Kim, N. S., Kim, J. H., & Lee, K. M. (2004).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s of stres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307-1314. 

  6. Jeong, H. W., & Kim, Y. C. (2015). A study on assessment of stress at work between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in shipy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0(5), 80-85. 

  7. Kang, N. H. (2013). Mediator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8. Kim, J. E. (2013). Hardiness,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9. Kim, S. Y., & Ko, I. S. (2016). Association among health behaviors, occupational stress and obesity of male army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4(1), 30-41. 

  10. Kim, W. O., Moon, S. J., & Han, S. S. (2010). Contingent nurses' burnout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882-891. 

  11. Kobasa, S. C., Maddi, S. R., & Kahn, S. (1982). Hardiness and health: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1), 168. 

  12. Kwon, K. J., & Lee, S. H. (2012).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yles as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8(4), 383-393. 

  13. Kwon, M., & Kim, S. L. (2010).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workpla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159-169. 

  14. Lee, J. H., & Park, J. S. (2017). End of life care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geriatric hospitals nurses affect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449-458. 

  15. Lee, J. W. (2014). Influences of job stress, coping, self-efficacy on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6(5), 1003-1012. 

  16. Lim, D. S., & Cho, B. H. (2007). The study on stress, hardiness, and professional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1), 120-127. 

  17.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2), 99-113. 

  18. Oh, K. S., & Han, J. S. (1990). Stressful life events, health symptoms,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3), 414-429. 

  19. Park, C. S. (2002).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in working nurses at hospita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4), 550-558. 

  20. Park, M. K. (2017). Relationship among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97-405. 

  21. Park, S. E., & Kim, J. H. (2001).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s of behavior pattern; a study of staf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2), 349-359. 

  22. Wu, S., Zhu, W., Wang, Z., Wang, M., & Lan, Y. (2007).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nurses in Ch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 233-239. 

  23. Yang, J. H., & Jung, H. Y. (2009).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103-111. 

  24. Yoon, C. K., & Lee, H. N. (2003).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8(2), 95-109. 

  25. Yoon, G. S., & Kim, S. Y.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507-516. 

  26. Yoon, K. S. (2003).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coping of emergenc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7.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463-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