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만족도에 따른 보행서비스수준 지표개선 - 서울시 저층부 용도를 대상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on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Pedestrian Satisfaction - Focused on Lower Floor Building Use in Seoul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6, 2018년, pp.979 - 990  

문영기 (홍익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김동준 (홍익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한제현 (홍익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강준모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보행서비스수준은 보행의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에 변별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보행만족도를 연계하여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을 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1,157개 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보행과 관련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재분류한 결과 기존 A등급으로 치중되었던 결과와 달리 보행서비스수준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둘째, 개선된 보행서비스 수준 중 B등급과 C등급에서 보행만족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향후 보행로 계획 시 적정 물리적 시설이 충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군집유형별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보면 각 등급의 보행교통류율이 다르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로계획 시 보행서비스수준을 측정할 때 주변 시설의 종류에 따라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은 도시개발사업과 보행계획에 있어 보다 현실적이고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riminat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simple calculation such as using the matrix from pedestrian level of service. However, the general use of pedestrian level of service cannot discriminate the environment of footpaths, especially in Seoul. Most of the pas...

주제어

표/그림 (1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환경이란? 보행환경이란 교통 환경의 하위 개념으로 보행자가 이동하는 과정 속에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또는 사회적 환경을말한다(교통개발연구원, 2002). 보행환경과 관련된 법률로는 보행 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도로교통법,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등 보행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정하였다(Table 2참고).
우리나라의 보행서비스수준이 대부분 A등급인 이유는? 우리나라의 보행서비스수준은 대부분 A등급이 많으며 특히 아침시간대는 약 80% 이상이 A등급으로 나타났다.이러한 현상은 출근시간대에 서울 외곽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가덜 유입됨과 동시에 관광객, 상인의 활동시간이 아닌 점에서 사료된다. 점심시간대는 A등급이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퇴근시간대는약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보행이란? 이와 같은 요소들이 기본적으로 보장받게 되면 가로는 사람들에게 무의식적 으로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제공해주며 타인과의 접촉과 관계를 형성하는 공간을 제공해준다(Jacobs, 1995). 그만큼 보행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사람들과 소통하는 도구이다. 또한 서울시 대표 비전 중 하나인 보행친화도시서울비전 정책을 2012년 12월에 발표 하면서 가로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bishiai, P., Joseph, L. S. and Ariela, U. (1983). "Pedestrian flow and level of service."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09, pp. 46-56. 

  2. Allan, B. J. (1995). Great streets, Revised edition, MIT Press Ltd, Cambridge. 

  3. Architectural Data (2017). Available at: http://open.eais.go.kr/ (Accessed: March 2, 2017). 

  4. Ban, D. I. (2015). A study of improving standards for evaluating pedestrian level of service : focusing on the commercial walkway of Seoul, Master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in Korean). 

  5. Bruce W. L., Aicp P. E., Venkat R. V. and Martin G. (2014). "Modeling the roadside walking environment: pedestrian level of service."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773, pp. 82-88. 

  6.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8).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study (in Korean). 

  7. Huang, T. H. and Chiun, C. J. (2007). "Modeling level of service on pedestrian environment."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6, pp. 226-236. 

  8. Jang, Y. J. (2010). The study on assessment of walking environment using conjoint analysi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Myongji (in Korean). 

  9. Jasmina, B. T. and Marija, M. T. (2012). "Contribution to sidewalk pedestrian level of service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Problems, Vol. 7, pp. 5-13. 

  10. John, M., Jeremy, B. and Nicholas, C. (2014). "Calibrating pedestrian level of service metrics with 3D visualization."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705, pp. 9-15. 

  11. Jonathan, B. and Virginia, P. S. (2006). "Comparison of level of service methodologies for pedestrian sidewalk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5th Annual Meeting Conference. 

  12. Jyeon, S. W.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 through pedestrian space." Master Thesis, University of Myongji (in Korean). 

  13. Jyeon, S. W. and Son, Y. T.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 through pedestrian space."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34, No. 2, pp. 168-179 (in Korean). 

  14. Jyeong, T. W. (2013).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edestrian level of service in shared space based on pedestrian safety, Master Thesis, University of Gachon (in Korean). 

  15. Kim, D. J. and Lee, Y. Y. (2012).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for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road types."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012, No. 1, pp. 636-641 (in Korean). 

  16. Kim, J. H., Oh, Y. T., Son, Y. T. and Park, W. S. (2002).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0, No. 1, pp. 149-156 (in Korean). 

  17. Kim, K. H, Park, S. H. and Kim, D. H. (2006). "Estimating the Level-Of-Service for Walkways by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6, No. 2, pp. 241-250 (in Korean). 

  18. Kim, K. H. (1999). "Evaluation criteria of the walkway level-of-service in Korea."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44, No. 3, pp. 31-46 (in Korean). 

  19. Kim, K. Y, Kim, H. C. and Oh, S. H. (2002). "Characteristic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on local street in residential area."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2, No. 2, pp. 197-205 (in Korean). 

  20. Kim, K. Y., Park, S. H. and Kim, D. H. (2006). "Estimating the level-of-service for walkways by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2, pp. 241-250 (in Korean). 

  21. Kim, S. M. (2008). The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standard evaluation with the walkway through the pedestrian conflicting analysi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22. Kim, S. M. (2011). The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Standard Evaluation with the Walkway through the Pedestrian Conflicting Analysi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23. Kim, T. H. (2008). 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network-wide pedestrian quality of service toward sustainable pedestrian environment,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nyang (in Korean). 

  24. Kim, T. H. (2008). 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network-wide pedestrian quality of service toward sustainable pedestrian environment, Ph.D.Dissertation, University of Hanyang (in Korean). 

  25. Kim, Y. S. and Choi, J. S. (2006). "A balanced approach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urban streets."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4, No. 6, pp. 55-64 (in Korean). 

  26. Lee, C. H. (2007). Improvement for pedestrian environment of older pedestrian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Hanbat (in Korean). 

  27. Lee, J. A. (2014). The effect of street and block structure on street vitalization : focused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nyang (in Korean). 

  28. Lee, J. K. (2010). Evaluation of vehicle & Ped. environments in urban streets using grey system theor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yongji (in Korean). 

  29. Lei, K., Yingge, X. and Fred, L. M. (2013). "Statistical anlaysis of pedestrian percetions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in the presence of bicycles."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PartA: Policy and Practice, Vol. 53, pp. 10-21. 

  30. Lim, J. K, Shin, H. S. and Kim, H. C. (2004). "New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Trip Purpose and Walkway Function."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4, No. 5, pp. 723-728 (in Korean). 

  31. Lim, J. K. and Kim, H. C. (2003). "New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trip purpose and walkway function."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4, No. 5, pp. 1-6 (in Korean). 

  3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Building code (in Korean). 

  33.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17). Available at: http://www.law.go.kr/main.html/ (Accessed: March 2, 2017). 

  34. Nursyamsu, H., Kasem, C. and Kunihiro, K. (2011). "Pedestrian level of service model incorporating pedestrian perception for sidewalk with vendor activities."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9, pp. 1012-1023. 

  35. Prianka, N. S. (1985). "Level of service on pedestrian facilities." Journal of Transportation Quarterly, Vol. 39, pp. 109-123. 

  36. Public Data (2017). Available at: http://www.data.go.kr/ (Accessed: March 2, 2017). 

  37. Seoul Metropolitan City (a) (2017). Available at: http://data.seoul.go.kr/ (Accessed: March 2, 2017). 

  38. Seoul Metropolitan City (b) (2017). Available at: http://stat.seoul.go.kr/jsp3/index.jsp/ (Accessed: March 2, 2017). 

  39. Seoul Metropolitan City (c) (2017). Available at: http://www.seoul.go.kr/main/index.html/ (Accessed: March 2, 2017). 

  4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3). 2012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 (in Korean). 

  41. Sisiopiku, V. P. (2006). "Comparison of level of service methodologies for pedestrian sidewalk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42. Soren, U. J. (2007). "Pedestrian and bicyclist level of service on roadway segments." The Bicycle Transportation Committee. 

  43. Suck, J. S. (2010). "Study on assessment models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level." The Incheon Institute (in Korean). 

  44. Tan D., Wang W., Lu J. and Bian Y. (2007). "Research on methods of assessing pedestrian level of service for sidewalk." Journal of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7, pp. 74-79. 

  45. The Office of Legislation (2017). Available at: http://www.moleg.go.kr/main.html/ (Accessed: March 2, 2017). 

  46. Yordphol, T. and Jocelyn, A. G. (1989). "Level of service standards for pedestrian facilities in bangkok: a case study." Journal of ITE, Vol. 59, pp. 39-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