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생활하수의 비점오염 유출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 and Improvement Plan of Domestic Sewage(NPS) in Rural Area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4 no.4, 2018년, pp.37 - 46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창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윤성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공민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덕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동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방훈 (농촌진흥청 농업빅테이터일자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is irregular in the amount of generated and runoff. About 70% of the water pollution sources in Korea are NPS. Most of the rural areas are small towns with less than 50 families. This is where sewerage supply is poor. This is where the domestic swage of the hou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사업 및 정책적 제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국 87개의 시군 지방자치단체의 마을하수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담당자를 대상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에 대한 인식 현황, 농촌지역의 비점오염 관련 사업 실태, 비점오염원의 교육 및 홍보실태, 비점오염 관련 업무 시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시 지자체 정보 및 담당자의 개인정보(학력, 경력 등)는 설문하지 않고 우편 및 사례품 전달에 필요한 정보만 취득하고 바로 폐기하여 담당자에 대한 정보와 설문문항 간의 관계는 분석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마을하수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비점오염 관련 사업, 교육 및 실태 조사를 통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농촌의 자연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가정단위의 비점오염의 발생 정도를 파악하고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수질개선사업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데이터비스 체계가 필요하며, 관련 환경교육을 위해 중앙부처와 지자체간의 정보 교류 및 관련 학술회의 등에 지자체 담당자의 참여를 확대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농촌주민에 대한 비점오염 관련 인식제고와 정부의 정책구성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국가적 예산확대와 관심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마을하수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비점오염 관련 사업, 교육 및 실태 조사를 통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농촌의 자연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가정단위의 비점오염의 발생 정도를 파악하고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유출 된 생활하수의 시간대별 농도 분석결과 가정에서 처리되지 않고 바로 하천으로 유출하고 있는 하수의 특성으로 인해 BOD, COD, TN, TP, SS 농도가 높게 분석되어 자연수와 결합 또는 자연정화 공법선 처리 후 처리시설로 투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활하수가 비점오염원으로 유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 된 만큼 전국적으로 계절, 인구,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해 시설 투입이 될 수 있도록 상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 된 관리방법으로 적용 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 또한 산간 및 농촌의 소규모 자연마을의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대한 현황 조사 및 배출정도 파악을 지속적으로 추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수질개선사업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데이터비스 체계가 필요하며, 관련 환경교육을 위해 중앙부처와 지자체간의 정보 교류 및 관련 학술회의 등에 지자체 담당자의 참여를 확대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농촌주민에 대한 비점오염 관련 인식제고와 정부의 정책구성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국가적 예산확대와 관심을 제시하였다.
  • 농어촌마을 89%가 50호 미만의 소규모 형태로 배출수의 용량 및 오염원에 대한 부하 정도를 파악해 시설 투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마을하수 담당자들 설문을 진행하여 비점오염 관련 사업, 교육 및 실태 조사를 통해 정책적 제언을 하고 가정단위의 비점오염의 발생 정도를 파악해 마을하수 처리시설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또한 비점오염원의 체계적인 관리 없이는 수질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소용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중앙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해당 업무 담당자들의 실무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내용으로는 비점오염원과 관련한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원은 무엇인가? 비점오염원이란 넓은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며, 토양에 축적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강우에 의해 유출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도를 증가시키며, 발생량 및 배출특성이 불규칙하고 다양한 오염물질을 포함한다(Shin, 2004; 2002). 그런 이유로 지형의 형태 및 수리 수문 특성, 우수 성격에 따라 비점오염의 유출 특성이 달라지므로 개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Lee, 2008).
비점오염 유출의 형태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비점오염원이란 넓은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며, 토양에 축적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강우에 의해 유출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도를 증가시키며, 발생량 및 배출특성이 불규칙하고 다양한 오염물질을 포함한다(Shin, 2004; 2002). 그런 이유로 지형의 형태 및 수리 수문 특성, 우수 성격에 따라 비점오염의 유출 특성이 달라지므로 개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Lee, 2008). 더불어 우리나라 하천, 호소 등에 유입되는 오염원 중 68% 이상이 비점오염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 70%를 육박하는 있는 추세이며(MOE, 2012; MOE, 2014; Lee and Kim, 2014), 관리 및 수질 개선을 위해 국가적, 지자체별, 주요 강 유역별 등에서 많은 연구와 사업을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 준해 시행 중에 있다.
국내 농어촌 마을하수처리사업의 관리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농어촌지역 하천의 수질오염 방지와 상수원 수질보전을 위해 환경부, 행정자치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지속적으로 마을 하수도 사업을 추진해왔다. 1997년 3월 제7차 하수도법 개정으로 공공하수도로 수용되었으며, 97년 마을 하수도 통합지침을 마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관리되고 있다(Lee, 2002b).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마을하수처리시설 설치와 관리 체계에 대한 검토와 재원 마련이 부족하고, 중앙부처의 업무 성격에 따라 실과 단위 중심의 독립적인 설치 및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IS. 2013. The policy proposals through the analysis of small scale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 Han, GB, Lee, YJ, Kwon, WJ, Hong, SM, Lee GS and Jang, ES. 2002. A Study on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Small Scale Sewage Treatment Facilities(II), Report of NIER, Korea. 24, pp. 287-2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Im, JY and Gil, GI. 2016. Effect of sewage flow on treatment efficiency of small scal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rural communit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3) : 267-274. 

  4. Jang, JY, Um, HY, Joung, MC and Kim, BK. 2015. Effectiveness of Man-power Enhancement Program for Agricultural NPS Management in Saemangeum Watershed.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pp. 2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Jeonbuk Institute. 2014. Agricultur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tegrated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6. Jeonbuk Institute. 2014. Agricultur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tegrated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7. Kang, BH, Kim, NC, Son, JK, Kim, MH, Cho, SJ and Lee, SY. 2011. The Study on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Streams in Rural Area : The Focus of Han-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2) : 23-3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ang, HC. 2013. Effect of Qwareness on the Change of Polluting Emissio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mics Review, 22(3) : 437-457. 

  9. Kim, HJ, Yoon, KS, Lee, KS, Shin, HB, Pae, YS and Kwun, TY. 2004.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Sewage Treatment in Rural Village. Rural and Environment. 82, pp. 93-10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im, HJ. 2014. Roles and Responsibilities os Landowners or Occupiers to Effectively Manage Non-point Souce Pollu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im, MS. 2015. A study on stakeholder participation and knowledge sharing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pollution control in the Saemangeum. Konkuk University Doctorate Thesis.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SJ, Song, YH and Lee, JH. 2016. A Study on Management Strategy of Non Point Source Pollutants in Stream Basin. J. Korean Soc. Hazard Mitig., 16(2): 515-522. 

  13. Kim, SS, Kim, JS, Bang, KY, Gwon, EM and Chung, WJ. 2002. The Estimation of the Unit Load and Ch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Discharge According to Rainfall in Kyongan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11), pp. 2019-202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KARICO). 2003. The Development of Nutrients Reduction System by Reclying in Rural Sewerage (Final). http://rri.karico.co.kr. (in Korean) 

  15.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KARICO). 2005. Management and Contro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Rural Area (I). http://rri.karico.co.kr. 

  16. Lee, BS, Jeong YJ, Park, MJ, Gil, KI. 2008.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Kyongan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2) : 169-1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Lee, CK, Kim, JS, Jung, KH, Park, JJ, Kim, JS, Lee, BC, Koo, JH and Lim, BS. 2002.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Efficiency of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Korean Water and Wastewater Society . Korean Water Environment Society. pp. 407-41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Lee, JH, Song, YH, Kim, DH, Park, SY, Kim, JY and Park, MJ. 2013. EMC Analysis by Land Use Types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Geum River Basin. J. Korean Soc. Hazard Mitig., 13(6) : 411-422. 

  19. Lee, SJ, Jung, JG, Lim, BS and Heo, JY. 2005. Alternatives for Optimum Installation of Rur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Chungchongnam-do Province, Korean Water and Wastewater Society. 19(4), pp. 462-47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Lee, SJ and Kim, YI. 2014. Improvement on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TMDL : Focusing on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J. Kor. Soc. Environ. Eng., 36(10) : 719-723. 

  21. Lee, SM, Kim, KH and Shin, IS. 2002. Development of the Treatment System for Small-scal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inal Report,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in Gangwon Province. 

  22. Lee, SS, Lee, DS, Park, SR, Choi, SM, Kim, HJ, Lee, HN and Kim, IS (2010). Field Study for Tributaries of Water Shed in City of Cheongju, Joural of the Insti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9(2), pp. 81-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Michael, ED, John, CC and Karen, KF. Education and Changes in Residential Nonpoint Source Pollu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34(5) : 684-690. 

  24. Minestry of Environment (MOE). 2006. The study on per capita emissions of domestic sewage in rural-fishery areas. 

  25. Minestry of Environment (MOE). 2012. Nonpoint pollution source management II. pp9-16. (in Korean) 

  26. Minestry of Environment (MOE). 2014. White paper of environment, pp160-168. (in Korean) 

  27. Minestry of Environment (MOE). 2016. 2014 Sewage statistics. 

  28. Minestry of Environment (MOE). 2018. Korea Sewer Information System. https://www.hasudoinfo.or.kr. 

  29. Oh, HE. 2015. Study of People's Consciousnes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5), 803-813. 

  30. Park, MS, Im, JY and Gil, GI. 2017. Analysis of RCSTP And MWTP Pollutants Treatment Efficiency in Bong-Hwa Gu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1) : 69-79. 

  31. Qitao Yi, Heo, JH, Kim, YC. 2008. Dynamic Runoff of Non-point Sources Pollutants from Agricultural Areas. Korean Socience Water Environment. 24(6) : 773-7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2. Ronald L. Droste. 1997. Theory and Pratice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John Wiley & Sons, Inc. 

  33. Schmacher, I. 2009. The Dynamics of Environmentalism and the Environment, Ecologicl Economics. 68911, pp147-162. 

  34. Shin, HJ, Park, GA and Kim, SJ. 2004. Simulation of Hydrological Behavior and Water Quality Using AnnAGNPS in Gyeongan-Cheon Watershe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p. 2209-221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5. Shin, MH, Choi, JW, Lee, JJ, Lee, JA, Choi, JD. 2010. Runoff Characteristics of NPS in small watershed. Journal of Hydro Environment Research. 1134-113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1993. Guidance specifying management measures for sources of nonpoint pollution in coastal waters. EPA 840-B-92-002.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2000. Stormwater Phase II Final Rule. Public education and outreach minimum control measure. Fact Sheet 2.3. EPA 833-F-00-005.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8. Yang, NI. 2017. The Study on Capacity of Small Scale Sewerage Facilities in Korea.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39. Yi, SJ and Kim, YI. 2014. Improvement on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TMDL - Focusing on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6(10) : 719-723. [http://Dx.Doi.Org/10.4491/KSEE.2014.36.10.71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