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한국은 농촌관광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유형은 농사체험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태체험이 도입되고 있다. 농촌 생태체험의 공간인 연못의 콘텐츠, 교육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못형습지 식물의 전통한방이용형태를 분석하였다. 전통한방은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전통지식으로 요즘에도 의학, 약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한다. 분석된 내용은 생태체험 교육자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조사는 농촌지역 연못형습지 40개소의 식물을 조사하였다. 전통한방이용형태는 특허청에서 운영하는 전통지식포탈의 내용을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40개 연못형습지에서 조사된 식물은 총 108과 457종이며, 그 중 전통한방이용형태에 대한 정보가 있는 종은 53과 314종이다. 이것은 연못형습지 주변의 식물 중 68.8%가 전통한방을 함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밖에도 음식, 공예, 전통농업 등의 활용 형태를 포함한다면 70~80% 이상 전통지식을 포함할 것이라 예상한다. 전통한방에 사용 된 314종의 효능은 570가지, 325가지의 병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1종당 평균 4.0(0~20)가지의 효능으로 6.6(0~20)가지의 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 자료는 체험, 교육,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많은 가치가 있는 연못형습지는 계속적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days, the demand of farm tours is on the rise in Korea. However, most of them are related to farming experience. To overcome the situation, ecological experience is introduced.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of ponds, the space of farming and 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못형습지의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조사목록을 활용하여 전통한방이용형태를 분석 하고자 한다. 더불어 전통 한방이용형태를 분석한 목록과 많은 연구대상지에서 출현한 식물을 선별하여 체험콘텐츠 개발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선별하고자 한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은 농촌마을 생태체험 시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활용가치가 사라진 농촌마을 연못형습지의 가치를 인식시켜 국가 생물다양성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못형습지의 보전가치 제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못형습지의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조사목록을 활용하여 전통한방이용형태를 분석 하고자 한다. 더불어 전통 한방이용형태를 분석한 목록과 많은 연구대상지에서 출현한 식물을 선별하여 체험콘텐츠 개발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선별하고자 한다.
  • 식물자원은 과거부터 음식, 한방(약재), 농업, 공예 등에 활용하였으며, 약용으로 활용하는 한방이용형태는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선조들의 역사로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못형 습지의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전통한방이용형태를 분석하여 체험콘텐츠 개발에 우선적으로 활하고자 하였다.
  • 농촌관광의 수요 증가와 소비자의 다양한 체험활동 요구로 인하여 농촌관광 분야의 체험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 농업문화의 일부 요소로서 단순한 물의 저장기능 뿐만이 아닌 해당 생물을 이용한 음식, 민간요법 등 다양한 전통지식이 포함된 전통생태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는 연못형습지의 식물을 대상으로 체험학습 대상 식물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식물자원은 과거부터 음식, 한방(약재), 농업, 공예 등에 활용하였으며, 약용으로 활용하는 한방이용형태는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선조들의 역사로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선별결과 40과 74종류가 선정되었 으며, 이를 활용하여 교육교재나 학습지도서 등의 개발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된 내용은 농촌마을 생태체험 시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활용가치가 사라진 농촌마을 연못형습지의 가치를 인식시켜 국가 생물다양성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못형습지의 보전가치 제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더불어 전통 한방이용형태를 분석한 목록과 많은 연구대상지에서 출현한 식물을 선별하여 체험콘텐츠 개발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선별하고자 한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은 농촌마을 생태체험 시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활용가치가 사라진 농촌마을 연못형습지의 가치를 인식시켜 국가 생물다양성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못형습지의 보전가치 제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생태자원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연못형습지는 과거 우리나라 농업문화의 일부 요소로서 단순한 물의 저장기능 뿐만이 아닌 어류, 양서 파충류, 조류, 식물 등의 서식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고 해당 생물을 이용한 음식, 민간요법 등 다양한 전통지식이 포함된 전통생태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다. 이것은 전통지식 (Traditional Knowledge, TK), 전통생태지식(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TEK), 전통환경지식(Traditional Environmental Knowledge, TEK) 등으로 일컬어지며, 세대에 걸친 생태학적, 문화적 관습, 지식, 문화, 역사, 경제, 관행, 의식 등 의 모든 계승되는 유무형의 자원을 의미한다 (Berkes 1993; Usher 2000; International Indigenous Forum on Biodiversity 2003;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15). 이러한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전통지식 (Traditional Knowledge)은 요즘에도 의학, 약학, 과학 등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한국에서 생태체험은 어떤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려고 하는가? 최근 한국은 농촌관광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유형은 농사체험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태체험이 도입되고 있다.
다양한 시도에도 한국의 농촌관광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 2013; Lee and Lee, 2012; Jeju-si, 2011). 농촌관광 프로그램 개발은 많은 종류의 자원에 대해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지만 규모의 협소, 자원 정보의 부족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보유자원이 관광마을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로 거론되므로 해당 자원에 대한 보전, 유지와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rkes, F. (1993).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inperspective. In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Concepts and Cases, J. T. Inglis (ed.). Ottawa: International Program on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Pp 1-9. 

  2. Beon, MS, Oh, HK, Kim, JB. (2006). Vascular plants and deterioration status of Osongjae, Ogongjae, Shinyongjae and Eodujae reservoir in Jeonju.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4) : 24-35. [Korean Literature] 

  3.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raditional Knowledge Information Portal. http://www.cbd.int/tk/. 

  4. International Indigenous Forum on Biodiversity. (2003). Opening Statement . December 8, 2003, Item 7 Sub-Working Group II on Development of Elements of a Sui Generis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Innovations and Practices of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 (UNEP/CBD/WG8J/3/7). 

  5. Jeju-si. (2011). Jeju Olle eco-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guidelines. [Korean Literature] 

  6. Jeong, HR, Choi, K, and Moon, HS, (2012). The Regional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 J. Agric. Life Sci. 46(5) : 25-36. [Korean Literature] 

  7. Jeong, HR ,Kwon, HJ, Choi, K, Chung, JM and Moon HS. (2014).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Korean J. Plant Res., 27(4) : 309-325. [Korean Literature] 

  8. Kang, B. Son, JK, Lee, SH and Kim NC. (2009).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3) : 33-48. [Korean Literature] 

  9. Kim, DS and Choi, HS. (2007). Development of Green-Tourism Potential Evalu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Considering Amenity and Human Resources. J.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2) : 7-16. [Korean Literature] 

  10. Kim, EJ, Lee, YK, Kim, SB, Lim, CS and Park, MJ.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course of guideline for fostering the Rural village roads. J.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 189-207. [Korean Literature] 

  11. Kim, J.H. (2010). Contrarian strategy of excavating new business 'Hidden market'. Leadersbook, Korea. [Korean Literature] 

  12. Korea Traditional Knowledge Portal(KTKP) Homepage. (2015). http://www.koreantk.com. 

  13. Lee, CB. (2012).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14. Lee, JH and Lee, HY.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 Sets for Evaluating the Sustainable Eco-tourism and It's Application. J.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6), 853-869. [Korean Literature] 

  15. Lee SY, Kim, MH, Kang, BH & Son, JK. (2014).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for Eco-experience in Rural Village. J.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1(4), 1125-1148. [Korean Literature] 

  16.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Korean Literature]. 

  17. Minestry of Environment(MOE). (2014). 3r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Korean Literature] 

  18.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2008).Agricultural bio-technology research. [Korean Literature] 

  19.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4). Ramsar Convention Manual. [Korean Literature] 

  20.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larendon Press. Oxford. 

  21. Son, JK. (2009). The study on the environment fators affecting biodiversity at pond wetland in rural area.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22. Son, JG, Kim, NC and Kang, BH. (2010).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6) : 117-131. [Korean Literature] 

  23. Son, JK, Kang BH, Kim, NC, and Kim, MH. (2013). The Execu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Palustrine Wetland Plant for Eco-experience in Rural Area, Korea. Korean J. of Agricultural History, 12(1,2) : 19-45. [Korean Literature] 

  24. Son, JK, Kang, DH, Lee, SY and Kang BH. (2014). The Functional Se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Pond Wetland in Agricultural Landscape. Conference book. [Korean Literature] 

  25. Usher, P.J. (2000).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i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anagement. Arctic 53(2): 183-1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