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 KF-NAP(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의 비교
Assessments of Spatial Neglect : Comparison of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 and Pencil-Paper test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1, 2018년, pp.27 - 35  

정은화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도구 중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 (직선이분검사, 글자소거검사, 알버트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와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서울 소재의 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9명, 여성 13명, 평균연령 61.8세). KF-NAP과 지필평가는 입원 7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결과 값으로 편측 공간무시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편측 공간무시 정도는 KF-NAP 93.8%, 직선이분검사 53.1%, 글자지우기 53.1%, 알버트 검사 37.5%로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평가도구는 KF-NAP이었다. KF-NAP은 직선이분검사(r=.430), 글자 지우기(r=.641), 알버트 검사(r=.398)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결론 : KF-NAP은 환자의 일상생활 동안 편측 공간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지필검사에 비해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에 더 민감할 뿐 아니라 편측 공간무시의 중증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편측 공간무시의 평가에 KF-NAP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KF-NAP and Pencil-Paper test(Line bisection test, Letter cancellation, Albert's test) and to determine the high sensitive assessment tool for spatial neglect. Method : Thirty-two stroke patients who admitted to an inpatient reh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편측 공간무시 평가로 임상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필검사인 직선이분 검사(Line Bisection Test), 알버트 검사(Albert's Test), 글자 지우기(Letter Cancellation)와 기능적 검사인 KF-NAP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을 위한 최상의 평가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좌측과 우측 상관없이 한쪽으로의 공간 무시가 있는 경우 편측 공간무시가 있는 것으로 하였고, 재활의학과 입원 또는 전과 후 7일 이내에 편측 공간무시를 확인하기 위한 4가지 평가를 시행하였다: (1)지필검사(직선이분 검사, 글자 지우기, 알버트 검사), (2) KF-NAP.
  • , 2003) 실제 일상생활 동안 나타날 수 있는 편측 공간무시의 증상을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Halligan & Marshall, 1992).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평가인 지필검사와 기능적 평가인 KF-NAP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을 위한 최상의 평가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측 공간무시란 무엇인가? 편측 공간무시는 뇌 손상 방향 반대편 공간에 대한 주의력, 공간지각과 구성, 그리고 자극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주는 신경인지적 장애이다(Paolucci, Antonucci, Grasso & Pizzamiglio, 2001; Corbetta & Shulman, 2011). 이러한 편측 공간무시가 있는 환자는 시각적, 청각적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 손상 반대 측 공간의 물체 또는 사람을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뇌 손상 반대 측 공간으로 움직임의 실행이 어려우며(Cusack, Carlyon & Robertson, 2000; Halligan, Fink, Marshall & Vallar, 2003; Vallar, 2001) 공간에 대한 개념과 공간 정보에 대한 정신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의 문제를 보인다(Chen, Hreha & Pitteri, 2014).
편측 공간무시의 정확한 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뇌 병변 부위와 평가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며, 그런 이유로 실제 임상에서는 편측 공간 무시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민감도가 낮고 편측 무시 확인에 대한 임상가들의 일치 도가 떨어진다(Azouvi, Samuel, & Louis-Dreyfus, 2002; Halligan et al., 2003).
편측 공간무시 환자에게는 어떤 증상이 있는가? 편측 공간무시는 뇌 손상 방향 반대편 공간에 대한 주의력, 공간지각과 구성, 그리고 자극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주는 신경인지적 장애이다(Paolucci, Antonucci, Grasso & Pizzamiglio, 2001; Corbetta & Shulman, 2011). 이러한 편측 공간무시가 있는 환자는 시각적, 청각적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 손상 반대 측 공간의 물체 또는 사람을 인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뇌 손상 반대 측 공간으로 움직임의 실행이 어려우며(Cusack, Carlyon & Robertson, 2000; Halligan, Fink, Marshall & Vallar, 2003; Vallar, 2001) 공간에 대한 개념과 공간 정보에 대한 정신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의 문제를 보인다(Chen, Hreha & Pitteri, 2014). 따라서 편측 공간무시는 사지위약, 감각이상, 인지 또는 언어장애 등과 같은 많은 뇌졸중 후유 장애와 함께 기능적 예후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소이다(Paolucci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zouvi, P., Samuel, C., & Louis-Dreyfus, A. (2002). Sensitivity of clinical and behavioural tests of spatial neglect after right hemisphere strok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psychiatry, 73, 160-166. 

  2. Bob, U., & Carolyn, P. T. (2001). Letter cancellation performance across the adult life span,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5(4), 521-530. 

  3. Chen, P., Hreha, K., Fortis, P., Goedert, K. M., & Barrett, A. M. (2012). Functional assessment of spatial neglect: A review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and an introduction of the Kessler Foundation Neglect Assessment Process.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9, 423-435. 

  4. Chen, P., Hreha, K., & Pitteri, M. (2014). Kessler Foundation Neglect Assessment Process: KF-NAP 2014 Manual. West Orange, New Jersey: Kessler Foundation. 

  5. Chen, P., Chen, C. C., Hreha, K., Goedert, K. M., & Barrett, A. M. (2014). Kessler Foundation Neglect Assessment Process uniquely measures spatial neglect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6(5), 869-876. 

  6. Chen, P., & Hreha, K. (2015). Kessler Foundation Neglect Assessment Process: KF-NAP 2015 Manual. West Orange, New Jersey: Kessler Foundation. 

  7. Corbetta, M., & Shulman, G. L. (2011). Spatial neglect and attention networks.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34, 569-599. 

  8. Cusack, R., Carlyon, R. P., & Robertson, I. H. (2000). Neglect between but not within auditory object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2, 1056-1065. 

  9. Fullerton, K. J., McSherry, D., & Stout, R. W. (1986). Albert's test: a neglected test of perceptual neglect. The Lancet, 327(8478), 430-432. 

  10. Geldmacher, D. S., Fritsch, T., & Riedel, T. M. (2000). Effects of stimulus properties and age on random array letter cancellation tasks.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7, 194-204. 

  11. Gillen, R., Tennen, H., & McKee, T. (2005). Unilateral spatial neglect: relation to rehabilitation outcomes in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 763-7. 

  12. Goedert, K. M., Chen, P., Botticello, A., Masmela, J. R., Adler, U., & Barrett, A. M. (2012). Psychometric evaluation of neglect assessment reveals motor exploratory predictor of functional disability in acute-stage spatial neglec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 137-42. 

  13. Halligan, P. W., & Marshall, J. C. (1992). Left visuo-spatial neglect: A meaningless entity?, Cortex, 28(4), 525-535. 

  14. Halligan, P. W., Fink, G. R., Marshall, J. C., & Vallar, G. (2003). Spatial cognition: evidence from visual neglect. Trends in cognitive science, 7, 125-133. 

  15. Jehkonen, M., Laihosalo, M., & Kettunen, J. E. (2006). Impact of neglect on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A review of methodological issues and recent research findings.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4(4-6), 209-215. 

  16. Karnath, H. O., Rennig, J., Johannsen, L., & Rorden, C. (2011). The anatomy underlying acute versus chronic spatial neglect: A longitudinal study. Brain, 134, 903-912. 

  17. Kim, B. R., Jeong, E. H., Oh-Park, M., Lee, K., Kim, H., Yoo, S. D., Yi, T., Kim, M. Y., & Lee, J. (201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Kessler Foundation Neglect Assessment Process. Brain & Neurorehabilitation, 10(2). https://doi.org/10.12786/bn.2017.10.e10 

  18. Maeshima, S., Truman, G., Smith, D. S., Dohi, N., Shigeno, K., Itakura, T., & Komai, N. (2001). Factor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12 standard test batteries, for unilateral spatial neglect, reveals that they contain a number of discrete and important clinical variables. Brain injury, 15(2), 125-137. 

  19. Mesulam, M. M. (1999). Spatial attention and neglect: parietal, frontal and cingulate contributions to the mental representation and attentional targeting of salient extrapersonal event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 354(1387), 1325-1346. 

  20. Paolucci S., Antonucci G., Grasso MG., & Pizzamiglio L. (2001). The role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rehabilitation of right brain-damaged ischemic stroke patients: a matched comparis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2, 743-9. 

  21. Plummer, P., Morris, M. E., & Dunai, J. (2003). Assessment of unilateral neglect. Physical Therapy, 83(1), 732-740. 

  22. Robertson, I. H., & Halligan, P. W. (1999). Spatial Neglect: A Clinical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Hove, England: Psychology Press. 

  23. Schenkenberg, T., Bradford, D. C., & Ajax, E. T. (1980). Line bisection and unilateral visual neglect in patients with neurologic impairment. Neurology, 30, 509 -17. 

  24. Vallar, G. (2001). Extrapersonal visual unilateral spatial neglect and its neuroanatomy. Neuroimage, 14, S52-S58. 

  25. Vangkilde, S., & Habekost, T. (2010). Finding Wally: Prism adaptation improves visual search in chronic neglect. Neuropsychologia, 48(7), 1994-2004. 

  26. Walker, R. (1994). Unilateral Neglect: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edited by Ian H. Robertson and John C. Marshall. PSYCHE, 1, 8. 

  27. Yoo, E. Y., Jung, M. Y., Park, S. Y., & Choi, E. H. (2006).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3), 27-37. 

  28. Zoltan, B., & Siev, E. (1996).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a manual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neurologically impaired adult. Slack Incorpora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