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카오프레토 등 복합물의 개별인정 시험법인 총 폴리페놀 시험법에서 Folin-phenol 시약 선정, 발색시약인 35% 탄산나트륨반응시간 및 온도, 시료량 등을 비교 실험하여 총 폴리페놀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표준화된 시험법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한 결과 회수율은 102.3~112.4%, 정밀도의 표준편차는 0.81~3.18%였으며 검량선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9이상을 나타냈고 검출한계$5{\mu}g/mL$, 정량한계$15{\mu}g/mL$이었다. 유통제품에 대해 표준화된 총 폴리페놀 시험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1건의 검체를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표시 함량 대비 105.6%로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generic health functional food items have been expanded, this research project has been conducted to prepare a scientific and systematic standardized analytical method of relevant food item and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for health/functional foods on sale. Total polyphenol was neces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개별인정형 원료를 고시화하여 건강기능식품공전에 등재하기 전에 원료 중심의 시험법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며 여러 가지 부형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에 대한 적용성 검토도 요구된다. 이와 같은 개별인정형 원료 중 피카오프레토 등 복합물(Complex of picao preto)은 총 폴리페놀을 지표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공전을 비롯하여 개별인정형으로 인정받은 시험법의 경우, Folin-phenol 시약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공전에 등재된 구아바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시험법과 개별인정형인 피카오프레토 등 복합물(Complex of picao preto)의 총 폴리페놀 시험법을 비교 분석하여 피카오프레토 등 복합물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총 폴리페놀 시험법을 확립하고 밸리데이션 및 유통 제품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속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효능은? 1). 폴리페놀은 각종 베리, 차, 커피, 와인 등에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렇게 식품 속에 포함된 식이 폴리페놀은 항산화, 항염증 및 함암작용을 가진다는 다수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5-7). 총 폴리페놀 측정 시 사용되는 대표 표준물질로는 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등이 있으며 탄닌산의경우 갈릭산의 중합체로 갈로탄닌이라고도 불린다.
폴리페놀이란 무엇인가? 폴리페놀은 분자 내에 다수의 수산화기가 있는 페놀을 지칭한다. 폴리페놀은 페놀 링 구조의 수에 따라 분류되며, 대표적으로 플라보노이드와 비 플라보노이드로 나눌 수 있다1-2).
폴리페놀 측정 시 사용되는 대표 표준물질로 탄닌산, 카테킨, 살릭산 등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총 폴리페놀 측정 시 사용되는 대표 표준물질로는 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등이 있으며 탄닌산의경우 갈릭산의 중합체로 갈로탄닌이라고도 불린다. 이들 표준물질은 다른 표준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건조 형태로 안정하여 단일 표준물질로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총 폴리페놀(표준물질: 탄닌산)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현행 건강기능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원료(고시형 원료)는 구아바잎 추출물(Extract of Psidium Guajava leaves)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dressa B., Gisely CL., Joao CP de Mello.: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Folin Ciocalteu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otal phenolic content from Limonium Brasiliense L, Molecules, 18, 6852-6865 (2013). 

  2. Bravo L.: Polyphenols: Chemistry, Dietary Source,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ition Reviews, 56(11), 317-333 (1998). 

  3. Claudine M., Augustin S., Chritine M., Christine R., Liliana J.: Polyphenols: food sources and bioavailability, Am J Clin Nutr, 79, 727-747 (2004). 

  4. Stevenson D.E., Hurst R.D.: Polyphenolic phytochemicals -just antioxidants or much more?, Cell. Mol. Life Sci, 64, 2900-2916 (2007). 

  5. Mokhtar M., Soukup J., Donato P., Cacciola F., Dugo P., Riaze A., Jandera P., Mondello L.: Determination of the polyphenolic content of a Capsicum annuum L. extract by iquid chromatography coupled coupled to photodiode array and mass spectrometry detection and evaluation of its biological activity J. Sep. Sci, 38, 171-178 (2015). 

  6. Adeolu A., Florence J., Anthony A.: Comparison of the nutritive value and bilogical activities of the acetione, m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the leaves of bidens pilosa and chenopodium album, Aceta Poloniae Pharmaceutica, 68, 83-92 (2011). 

  7. Hong J.G., Kim H.J., Kim J.Y.: Factors affecting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J Korean Soc Food Sci, 40(2), 205-213 (2011). 

  8. Jaiarj P., Wongkrajang Y., Thongpraditchote S., Peungvicha P., Bunyapraphatsara N., Opartkiattikul N.: Guava leaf extract and topical haemostasis, Phytother. Res., 14, 388-391 (2000). 

  9. Deguchi Y., Osada K., Uchida K., Kimura H., Yoshika M., Kudo T., Yasui T., Watanuki M.: Effect of extract of guava leaves on the development of diabets in the db/db mouse and on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of human subjets. Nippon Nogeikagaku kaishi, 71, 923-931 (1998). 

  10. MFDS. Law for health functional foods in 20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2017). 

  11. Everette J.D., Bryant Q.M., Green M.B., Abbey Y.A., Wangila G.W., Walker R.B.: A thorough study of reactivity of various compound classes towards the folin-ciocalteu reagent, J Agric Food Chem, 58(14), 8139-8144 (2010). 

  12. Tsumbu C.N., Deby-Dupont G., Tits M., Angenot L., Frederich M., Kohnen S., Mouithys-Mickalad A., Serteyn D., Franck T.: Polyphenol contet and nodulatory activities of some tropical dietary plant extracts on the oxidant activities of neutrophils and myeloperoxidase, Int. J. Mol. Sci, 13, 628-65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